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전산실에서 발생한 화재로 전면 중단됐던 우편 및 금융 서비스에 대해 정부가 전산 시스템을 다시 가동하며 정상화 절차에 들어갔다.
우체국 금융 및 우편 서비스를 총괄하는 우정사업본부는 9월 28일, 화재로 멈췄던 서버를 재가동하고 각 채널에서의 시스템 복구 여부를 점검하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이번 조치는 이틀 전, 대전 유성구 소재 국정자원 본원의 전산실에 큰 화재가 발생하면서 인터넷 우체국, 우체국 ATM, 예금‧보험 서비스 등이 전면 중단된 데 따른 대응이다.
정부는 사고 발생 직후인 9월 26일부터 정보기술(IT) 기반 서비스의 운영이 멈춘 상태를 해소하기 위해 기초적인 복구 작업에 착수했으며, 28일부터는 복구된 서버를 기반으로 각 서비스가 실제로 정상 작동하는지 확인하는 단계로 전환했다.
이번 화재 사태는 추석 연휴를 앞두고 발생해 사회적으로도 파장이 컸다. 특히 추석은 평소보다 택배 물량이 급증하는 시기이기 때문에, 전체 우편물 처리 시스템이 멈춘 현실은 우편 대란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를 낳았다. 이에 따라 정부와 우정사업본부는 전산 시스템의 빠른 복구와 오류 최소화를 위해 긴급 대응 체계를 유지하고 있다.
우정사업본부 관계자는 현재로서는 정확한 복구 시점을 단정하기 어렵다면서도 모든 자원을 동원해 조속한 정상화를 목표로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전했다. 장애 안내문이 부착된 우체국 지점에서는 여전히 일부 서비스 이용에 제약이 있는 만큼, 고객들은 혼란이 뒤따르고 있다.
이 같은 흐름은 향후 공공기관 전산 인프라의 위험 관리 체계를 점검하고, 유사시 재해 복구 시스템을 강화하는 정책적 논의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특히 정부의 디지털 행정 확대에 따라, 핵심 백엔드(서버·데이터 시스템) 안정성 확보가 국민 생활 서비스 신뢰의 중요한 기반으로 부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