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삼성 '휴머노이드 로봇 ETF', 순자산 1천억 돌파…나스닥 수익률도 앞질렀다

프로필
연합뉴스
댓글 0
좋아요 비화설화 0

삼성자산운용이 운용하는 ‘美 휴머노이드 로봇 ETF’가 국내 관련 ETF 중 최초로 순자산 1천억 원을 돌파했다. 테슬라·엔비디아 중심 투자가 수익률을 견인했다.

 삼성 '휴머노이드 로봇 ETF', 순자산 1천억 돌파…나스닥 수익률도 앞질렀다 / 연합뉴스

삼성 '휴머노이드 로봇 ETF', 순자산 1천억 돌파…나스닥 수익률도 앞질렀다 / 연합뉴스

삼성자산운용이 출시한 휴머노이드 로봇 테마 상장지수펀드(ETF)가 국내 로봇 관련 ETF 가운데 처음으로 순자산 1천억 원을 돌파했다.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AI 기반 인간형 로봇 산업에 대한 투자자들의 기대가 자금 유입으로 이어진 결과다.

삼성자산운용은 2025년 4월 상장한 ‘KODEX 미국휴머노이드로봇 ETF’의 순자산이 8월 18일 기준 1천억 원을 넘겼다고 밝혔다. 이 상품은 미국 시장에 상장된 휴머노이드 로봇 관련 기업들에 집중 투자하며, 최근 주가 상승에 힘입어 누적 수익률이 38.7%에 이른다. 이는 같은 기간 미국 나스닥100 지수 상승률보다 15.2%포인트가량 높은 수치다.

이 ETF가 주로 투자하는 종목은 테슬라, 엔비디아, 팔란티어 등 인공지능 및 로봇 관련 기술력을 보유하고 대규모 생산 역량을 갖춘 대형 기업들이다. 회사 측은 이들 기업이 기술 개발에서부터 부품 공급, 최종 제품 양산까지 전 과정에 걸쳐 산업 흐름을 주도하고 있다며, 이 같은 투자 전략이 성과로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투자 시장에서는 휴머노이드 산업이 아직 초기 단계에 있지만, 주요 기술은 이미 성숙 단계에 접어들었다는 평가가 나온다. 다만 상업화·양산 측면의 진입장벽이 여전히 존재하기 때문에, 현재 단계에서는 공급망과 자본력을 갖춘 선도 기업에 초점을 맞춘 투자가 바람직하다는 분석이다. 이에 따라 삼성자산운용도 유망 기업 중심의 포트폴리오 운영을 강조하고 있다.

한편 삼성자산운용이 함께 운용 중인 ‘KODEX 차이나휴머노이드로봇 ETF’도 주목받고 있다. 이 ETF는 중국 시장의 인간형 로봇 관련 기업에 투자하며 최근 한 달 기준 13.6%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이는 중국 내 휴머노이드 로봇 산업 역시 빠르게 성장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지표로 해석된다.

시장조사기관에 따르면 전 세계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은 2023년 24억 달러(약 3조3천억 원) 수준에서 2032년에는 660억 달러(약 90조 원) 규모로 확대될 전망이다. 인간과 유사한 외형을 지닌 로봇이 높은 범용성과 적응력을 바탕으로 산업 현장, 서비스업 등 다양한 분야로 진입하고 있어 중장기적 성장이 기대된다.

이 같은 흐름은 향후 인공지능 기반 로봇 기술이 진일보하면서 관련 기업의 실적 개선과 함께 ETF 시장의 성장성도 동시에 부각될 가능성이 크다. 특히 소재·반도체·모션 제어 등 관련 산업 전반의 파급 효과 역시 점차 가시화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0

추천

0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