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LS일렉트릭, 일본 전력시장 직접 진출…ESS 운영까지 나선다

프로필
연합뉴스
댓글 0
좋아요 비화설화 0

LS일렉트릭이 일본에서 에너지저장장치(ESS) 발전소 건설과 직접 투자·운영에 나서며 일본 전력시장에 본격 진출했다. 이는 단순 설비 수출을 넘어선 첫 사례다.

 LS일렉트릭, 일본 전력시장 직접 진출…ESS 운영까지 나선다 / 연합뉴스

LS일렉트릭, 일본 전력시장 직접 진출…ESS 운영까지 나선다 / 연합뉴스

LS일렉트릭이 일본에서 에너지저장장치(ESS) 발전소 건설에 착수하며, 일본 전력 시장에 본격적으로 투자자로 참여하기 시작했다. 기존의 설비 공급을 넘어 운용까지 직접 수행하는 방식은 이번이 처음이다.

회사는 지난 11월 27일 일본 치바현 이치하라시에서 전력변환장치(PCS) 2메가와트, 배터리 용량 8메가와트시 규모의 계통연계형 ESS 발전소 기공식을 열었다고 밝혔다. 계통연계 ESS는 전력망과 연결돼 전기를 저장하고 필요할 때 방출해 전력 수급의 안정성을 높이는 기술로, 태양광과 풍력처럼 출력이 일정하지 않은 신재생에너지의 단점을 보완해주는 데 필수다.

이번 프로젝트는 단순한 설비 수출에서 한발 더 나아가 LS일렉트릭이 직접 투자하고 발전소 운영까지 맡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그동안 글로벌 ESS 프로젝트에서는 금융기관이나 전력회사가 자금을 대고, 제조기업은 설계·조달·시공(EPC) 및 운영 유지관리(O&M)를 담당하는 구조가 일반적이었다. 하지만 LS일렉트릭은 이번 사업을 통해 투자자로서의 역할까지 확대하며 시장 참여 방식을 변화시키고 있다.

이 같은 변화는 LS일렉트릭이 수년간 일본 시장에서 쌓아온 실적과 경험에 기반한 것이다. 회사는 2022년 일본 홋카이도와 규슈지역에서 처음으로 계통연계형 ESS 발전소를 구축한 데 이어, 올해 4월에는 일본 미야기현 와타리 지역에서 20메가와트, 90메가와트시 배터리 용량의 ESS 프로젝트를 수주했다. 이는 한국 기업이 일본에서 수주한 프로젝트 중 최대 규모다.

일본 정부도 이런 흐름을 적극 뒷받침하고 있다.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 ESS 설치비용 일부를 보조하고 있으며, 2030년까지 전체 전력 생산에서 신재생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중을 36~38%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다. 이러한 정책적 지원 덕분에 일본의 ESS 시장은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추세다.

LS일렉트릭은 앞으로도 일본에서의 직접 투자를 확대하고, 현지의 전력 거래에도 참여하면서 시장 점유율을 끌어올릴 방침이다. 일본 내에서의 실적을 토대로 기술 경쟁력과 운용 능력을 인정받고 있는 만큼, 향후 아시아 전체 에너지 시장에서도 존재감을 확대해 나갈 가능성이 크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관련된 다른 기사

주요 기사

코인베이스 CEO “이더리움, 암호화폐 흐름 바꿨다”…BTC 진영 반발

코인베이스 CEO “이더리움, 암호화폐 흐름 바꿨다”…BTC 진영 반발

댓글

댓글

0

추천

0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