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레아 리서치(Alea Research)는 최신 보고서를 통해 비트코인(BTC)의 활용성과 수익화 잠재력을 극대화하기 위한 차세대 레이어2 프로젝트 ‘GOAT 네트워크’를 심층 분석했다. 이 보고서는 비트코인의 수동적 가치 저장 특성이 가지는 한계를 극복하고, 생산적 자산으로 재정의하고자 하는 시도에 주목하면서, zkRollup 기반의 탈중앙화 설계로 네이티브 수익 생태계를 구현하는 GOAT의 기술적·경제적 구조를 조명한다.
GOAT 네트워크는 비트코인 네이티브 자산을 활용해 온체인 수익을 창출하도록 설계된 최초의 zkRollup 솔루션이다. 알레아 리서치는 GOAT가 도지코인(DOGE)을 포함한 다중 자산을 스테이킹하여 시퀀서 가스 수수료와 MEV(Maximal Extractable Value) 수익을 분배하는 구조를 소개하며, 예금자, 운영자, 디앱 빌더 등 다양한 참여자 간의 인센티브 체계가 치밀하게 설계돼 있다고 평가했다.
이 롤업 생태계의 핵심은 탈중앙화된 시퀀서 네트워크다. 해당 시퀀서는 트랜잭션을 검증, 정렬, 압축한 후 zk-SNARK 기반의 실행 증명을 통해 레이어2 상태 커밋을 비트코인 메인넷에 게시한다. 이는 태프루트 UTXO 및 BitVM2/3 챌린지 시스템을 활용해 이루어지며, 무작위 다중 라운드 분쟁 해결 과정을 통해 합의의 무결성이 확보된다. 리서치는 이러한 구성 방식을 다루며 GOAT가 ‘정직한 참여자 가정(1-of-n)’ 모델에 따라 사기 행위를 방지하고 역할 교대를 통해 내쉬 균형을 유지하는 점에 주목했다.
또한 GOAT는 비트코인을 ‘가스 토큰’으로 활용하는 유일한 L2 아키텍처 중 하나로, zkEVM 호환성을 통해 스마트 컨트랙트와 프로그래머블 수익 흐름을 구현하고자 한다. 사용자는 디앱 사용, 스테이킹 활동 등을 통해 실제 트랜잭션 기반 보상을 yBTC 형태로 수령하며, 브리지 없는 유동성 출구 경로를 제공받는다. 이는 기존 EVM 디파이의 중앙화된 브릿지 의존 문제와 보관자 실패 리스크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한다는 평이다.
보고서는 특히 GOAT의 프루버 아키텍처와 지렌(Ziren) 워크플로우에 대해 세부적으로 분석했다. 오프체인 MIPS32r2 기반 실행을 STARK 및 SNARK를 통해 증명하고, 결과적으로 고처리량-저비용 온체인 검증을 실현하는 점이 기술적 차별성으로 부각됐다. 이와 함께 거래 결과는 이더리움과 비트코인 환경 모두에서 검증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경제 모델 측면에서 GOAT는 멀티체인 스테이킹을 지원하며, 수익은 거래 가능한 yBTC, yDOGE 등 토큰으로 전환된다. 고정상품인 ‘세이프박스’, 시퀀서 PoS 스테이킹, BTCB·DOGEB 볼트 등 다양한 BTCFi 전략 라인을 제공하며 다양한 위험 성향의 투자자층을 아우르는 구조가 강화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이는 국부펀드 등 기관 자금을 보관 손실 없이 BTC 수익화 경로로 유도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보고서는 GOAT를 포함한 주요 비트코인 레이어2 프로젝트인 Citrea, Bitlayer V2, Stacks, Botanix 등과의 비교 분석도 함께 제공했다. 이들 각각은 최종성, 보관, 탈중앙성, 스마트 컨트랙트 UX 등에서 상이한 트레이드오프를 보이며, 특히 GOAT와 Citrea는 가장 비트코인 지향적 보안 모델에 근접한 설계로 평가됐다.
향후 전망에 대해 알레아 리서치는 GOAT 네트워크가 실질적인 온체인 사용자 및 디앱 채택을 견인할 경우, 상호작용 기반의 수익 흐름이 활성화되어 네트워크 플라이휠이 본격화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사용자 채택 지연, 규제 불확실성, 스마트 컨트랙트 리스크, 기술 구현 난이도 등은 여전히 주요 과제로 남아 있다. 특히 GOAT의 성패는 zk기반 검증, BitVM 챌린지 경로 등 첨단 기술 요소의 안정적 운용 가능성에 크게 좌우될 것으로 보인다.
이번 리서치는 비트코인의 오랜 과제였던 ‘넥스트 유즈케이스’에 대한 새로운 답변을 제시하고 있다. 탈중앙화 시퀀서, 교대형 운영자, zk 기반 정산 구조 등은 비트코인 네이티브 수익화를 현실화할 수 있는 체계적 설계이며, 예치 자산의 생산성 회복이라는 강한 내재적 동기가 시장 채택 가능성을 뒷받침한다는 분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