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이지 인사이트] 롤업 아키텍처와 Espresso의 역할
코인이지

2025.10.01 12:06:06

🏗️ 롤업 아키텍처와 Espresso의 역할

Espresso는 롤업을 위한 베이스 레이어입니다. Espresso가 무엇을 하는지, 그리고 어떤 이점을 제공하는지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롤업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큰 그림을 알아야 합니다.

 

롤업(Rollup)이란 무엇인가?

롤업은 또 다른 블록체인(부모 체인, 혹은 세틀먼트 레이어) 위에서 실행되는 블록체인의 한 형태입니다. 모든 거래를 부모 체인 위에서 직접 실행하는 대신, 롤업은 거래를 오프체인에서 처리하고, 그 결과를 압축하여 부모 체인에 기록합니다.

이 접근법은 두 가지 핵심 장점을 제공합니다:

  1. 확장성 — 부모 체인 단독으로는 처리 불가능한 수많은 거래를 처리할 수 있음
  2. 보안성 — 모든 데이터가 부모 체인에 고정되므로, 부모 체인의 보안을 그대로 상속받음

 

롤업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

  • 옵티미스틱 롤업(Optimistic Rollups): 거래를 기본적으로 유효하다고 가정하고, 약 7일 정도의 챌린지 기간 동안 사기(Fraud) 증명을 통해 이의를 제기할 수 있습니다. (예: Optimism, Arbitrum)
  • ZK 롤업(ZK Rollups): 거래 배치마다 제로 지식 증명(ZK Proof)을 포함하여, 거래가 올바르게 실행되었음을 암호학적으로 보장합니다. 별도의 챌린지 기간이 필요 없습니다. (예: zkSync, Starknet)

 

파이널리티 vs. 세틀먼트

이 두 개념은 종종 혼동되지만, 롤업 생태계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입니다.

  • 파이널리티(Finality): 거래가 완료되었고 되돌릴 수 없음을 의미합니다. 대부분의 롤업에서 이는 거래가 배치에 포함되어 부모 체인에 업로드될 때 발생합니다.
  • 세틀먼트(Settlement): 부모 체인에 거래의 정확성을 증명하는 과정입니다. 배치가 업로드되면 상태 커밋이 제출되고, 옵티미스틱 롤업의 경우 약 7일 동안 사기 증명 제출이 가능합니다.

 

Espresso를 사용할 경우, 부모 체인 업로드를 기다릴 필요가 없습니다. Espresso는 자체 BFT 합의 기반 컨펌을 제공하여, 거래를 즉시 “확정”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롤업의 트랜잭션 흐름

  1. 사용자 거래 제출
  2. 시퀀서(Sequencer)가 거래를 모으고 순서를 결정
  3. 배치 업로드(부모 체인에 기록)
  4. 부모 체인 검증 (사기 증명 또는 ZK 증명)
  5. 세틀먼트 완료

 

Espresso가 통합된 롤업의 트랜잭션 흐름

  1. 사용자 거래 제출
  2. 시퀀싱 (중앙화 시퀀서 또는 Espresso의 탈중앙화 시퀀싱)
    3.1 Espresso 컨펌 — 거래 순서를 합의하고, 즉각적인 파이널리티 제공
    3.2 데이터 가용성(DA) — Espresso DA 또는 외부 DA 레이어(Celestia, EigenDA 등) 사용
  3. Caff Node — Espresso 데이터를 읽어 상태를 계산, 즉시 결과 확인 가능
  4. 부모 체인에 배치 업로드 + Espresso 컨펌 증명 제출 (ZK Proof, TEE 서명 등)
  5. 부모 체인 검증 (사기 증명 또는 ZK 검증)
  6. 세틀먼트 완료

 

Espresso의 정체성: 무엇을 하는가, 무엇을 하지 않는가

Espresso가 하는 것:

  • 글로벌 거래 순서를 빠르고 투명하게 합의 (HotShot BFT 합의)
  • 몇 초 내로 거래 순서 확정
  • 시퀀서의 재조작, 검열, 재편성(Reorg) 방지
  • 빠른 “임시 파이널리티” 제공

 

Espresso가 하지 않는 것:

  • 실행(Execution)은 롤업이 담당
  • 거래의 유효성 자체는 검증하지 않음 → 이는 롤업 실행 환경과 L1 세틀먼트의 영역

 

보안 가정과 TEE의 역할

  • Espresso는 스테이킹 토큰의 2/3 이상이 정직하다는 가정 하에 올바른 거래 순서를 제공합니다.
  • 최종 실행의 정확성은 여전히 롤업과 L1에 의존합니다.
  • Caff Node는 Espresso 데이터를 읽어 거래 결과를 제공하며, 이를 신뢰하려면 코드에 버그가 없어야 합니다.

 

TEE(Trusted Execution Environment)는 Espresso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안전한 코드 실행과 데이터 무결성 보장
  • 원격 인증(Remote Attestation)을 통해 올바른 코드가 실행 중임을 검증
  • Caff Node와 배치 포스터가 TEE를 활용하여 거래 순서와 실행의 무결성을 보장

 

결론

Espresso는 롤업 스택에서 “주문(Ordering)과 빠른 컨펌”이라는 특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 실행은 롤업이 담당하고,
  • 세틀먼트는 부모 체인에서 일어나지만,
  • Espresso는 몇 초 내 파이널리티와 글로벌 정렬된 거래 순서를 제공하여, 크로스롤업 상호운용성과 사용자 경험을 크게 향상시킵니다.

 

Espresso = 빠른 확정성 + 투명한 순서 보장 레이어

 

 

댓글 0

0/1000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