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카카오, AI 에이전트용 개방형 플랫폼 '플레이MCP' 베타 출시

프로필
연합뉴스
댓글 0
좋아요 비화설화 1

카카오는 외부 개발자와의 협업 강화를 위해 AI 에이전트 기반 개방형 플랫폼 '플레이MCP'를 베타 공개했다. 이를 통해 AI 생태계 확장과 기술 상용화를 가속화할 계획이다.

 카카오, AI 에이전트용 개방형 플랫폼 '플레이MCP' 베타 출시 / 연합뉴스

카카오, AI 에이전트용 개방형 플랫폼 '플레이MCP' 베타 출시 / 연합뉴스

카카오가 인공지능(AI) 기반 서비스의 확산을 대비해 외부 개발자와의 협업을 확대할 수 있는 새로운 플랫폼 구축에 나섰다. AI 기술이 실생활과 더욱 긴밀하게 연결되는 흐름 속에서, 카카오는 이를 위한 기반 기술과 생태계 조성에 속도를 내고 있다.

카카오는 2025년 8월 13일, AI 에이전트 기술을 중심으로 한 개방형 플랫폼 ‘플레이MCP’를 베타 버전으로 일반에 공개했다. 이번 조치는 AI가 사용자의 명령을 받아 자율적으로 업무를 처리하는 ‘에이전틱 AI’ 시대를 앞두고, 다양한 개발 주체들이 기술을 함께 실험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환경을 만들기 위한 전략적 움직임으로 해석된다.

플레이MCP에서 핵심이 되는 MCP는 ‘멀티 서버 커뮤니케이션 프로토콜(Multi-server Communication Protocol)’의 줄임말로, AI 모델이 외부 시스템이나 도구와 쉽게 소통할 수 있도록 해주는 통신 규약이다. 쉽게 말해, AI가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다양한 도구를 활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주는 표준언어라고 할 수 있다. 이 플랫폼을 활용하면 외부 개발자도 자신이 만든 MCP 서버를 카카오 플랫폼에 등록하고, 실시간 대화 시나리오에서 해당 서버가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테스트할 수 있다.

이번 플랫폼 공개의 의미는 개방성과 협업을 기반으로 한 생태계 확대에 있다. 카카오는 그동안 자사 중심의 AI 개발 환경에 머물렀던 한계를 넘어, 이제는 외부 전문가와 개발자들이 함께 참여하는 공유 모델로 전환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AI 기술의 적용 가능성을 넓히고, 새로운 서비스와 기술의 등장을 촉진하겠다는 전략이다.

카카오 유용하 성과리더는 플레이MCP에 대해 “AI가 사용자의 의도를 정확히 이해하고 자율적으로 행동하는 시대가 도래하고 있다”며, “이 플랫폼은 카카오 내부 개발진뿐 아니라 외부 전문가들이 함께 AI 생태계를 실험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공간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 같은 흐름은 향후 국내 AI 산업 전반에 걸쳐 개발자 간 기술 교류를 활성화시키고, AI 기반 상용 서비스 출시를 앞당기는 촉매제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기술 개방에 적극 나서는 플랫폼 기업이 늘어날수록, 신생 스타트업과 대기업 간의 협업 구조도 자연스럽게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0

추천

1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1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위당당

15:13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