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3 인에이블러 ㈜파라메타(PARAMETA, 구 아이콘루프, 대표 김종협)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주관하는 ‘2025년 블록체인 공공분야 집중사업’의 핵심 과제인 ‘블록체인 기반 배터리 여권 플랫폼 구축’ 사업에 참여기업으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2027년부터 EU에서 시행 예정인 디지털제품여권(DPP: Digital Product Passport)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것이다. 전기차 배터리의 생산부터 운행, 충전, 정비, 재사용, 재활용까지 전 생애주기 데이터를 블록체인 기반으로 기록·관리해 신뢰 가능한 이력 정보를 확보하고, 이를 통해 DPP 대응 요건을 충족시키는 것이 핵심이다. 수요기관은 부산광역시, 주관사는 전기차 배터리 서비스 기업 피엠그로우, 파라메타는 블록체인 전반의 기술을 맡는다.
배터리 여권 플랫폼은 전기차 배터리에 ‘여권’을 부여하듯 고유 이력을 디지털 인증서 형태로 저장하고, 다양한 산업 주체가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특히 이번 사업의 핵심은 '데이터스페이스' 구현이다. 데이터스페이스는 생산자와 소비자, 제조사와 수요처 간 신뢰 기반의 데이터 공유·거래가 가능한 분산형 데이터 환경으로, EU가 GAIA-X, Catena-X 등을 통해 추진하고 있는 개념이다.
파라메타는 자사의 블록체인 코어 기술을 바탕으로 DID(탈중앙화 신원인증)과 PDS(개인 데이터 저장소)를 접목해 참여자의 신원과 데이터 주권을 모두 보장할 수 있는 한국형 데이터스페이스 플랫폼을 구축한다.
또한, 이번 사업에는 파라메타가 개발한 공공용 블록체인 인프라 ‘MyID 2.0’이 최초로 적용된다.
MyID 2.0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의 ‘공공기관 블록체인 공동인프라 구축사업’을 통해 개발된 유일한 공공기관 전용 블록체인 인프라로, 별도의 전담 인력 없이 운영 가능한 SaaS 구조를 갖추고 있다.
CSAP 인증을 기반으로 공공기관에서도 안전하게 활용 가능하며, 기존 대비 최대 90%의 구축 비용 절감, 1주일 이내 서비스 개시, 지속적인 보안 업데이트 등 공공기관의 블록체인 도입 장벽을 획기적으로 낮춘 것이 특징이다.
본 사업을 위해 부산시는 충전소, 주차장, 도시공사 등 49개 수요처 및 15개 민간기업과의 협의를 통해 데이터 확보와 플랫폼 실사용 기반을 조성했다. 정부와 산업계가 협력해 EU 수출을 준비하고 국내 기업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할 수 있는 대표 사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파라메타 김종협 대표는 “이번 사업은 EU 수출을 준비하는 한국 기업들에게 실질적 인프라가 될 것”이라며, “블록체인 기반 데이터스페이스를 통해 민간과 공공이 함께 상생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어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EU는 탄소중립 및 자원 순환을 목표로 DPP 제도를 도입해 제품의 제조, 사용, 수리, 재활용 등 전체 이력을 디지털로 기록·공유하는 체계를 2027년부터 의무화할 예정이다. DPP는 배터리 제품을 시작으로 점차 전자기기, 의류 등 모든 유통 제품으로 확대될 예정이며, 미국, 일본 등도 유사한 제도 준비에 나서고 있다. 이로 인해 향후 디지털 이력 관리 체계는 수출 경쟁력 확보의 핵심 요소가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