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배터리도 여권이 생긴다. 그것도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서 말이다.
경북 포항시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이 주관하는 '2025년 블록체인 공공분야 공모사업'에 부산시와 함께 선정됐다. 이 사업은 전기차 배터리의 정보를 디지털 방식으로 기록해 관리하는 '배터리 여권' 플랫폼 구축이 핵심이다.
이 플랫폼은 블록체인 기반으로 제작돼 배터리의 제조부터 운행 이력, 사용 후 상태까지 꼼꼼하게 디지털로 저장한다. 마치 진짜 여권처럼 배터리가 살아온 전 과정을 저장해 추적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블록체인은 암호화폐의 핵심 기술로 잘 알려져 있지만, 이번처럼 산업 현장에서 데이터의 신뢰성과 보안을 보장하는 데도 강력한 무기로 활용된다.
포항시는 이 플랫폼을 통해 전기차와 배터리 기업들이 배터리의 제작 정보와 성능, 잔여 수명 등 주요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효성 있는 시범 서비스를 진행할 계획이다.
이번 사업은 유럽연합(EU)의 '디지털 제품 여권' 도입 움직임에도 발맞춘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EU는 오는 2027년부터 배터리를 시작으로 디지털 제품 여권 도입을 본격화할 예정이다. 포항은 이에 선제 대응하며, 한국형 배터리 여권 플랫폼을 세계 규격에 맞춰 만들어간다는 목표다.
포항은 그동안 이차전지 산업을 키우는 데 적극 나서왔다. 배터리 리사이클링 규제자유특구와 양극재 국가전략산업 단지는 물론, 이차전지 글로벌 혁신파크도 추진 중이다. 여기에 총 14조 원 규모의 대규모 투자를 유치한 바 있다.
이강덕 포항시장은 "배터리 여권의 국제 표준화를 선도하고, 전기차 배터리 통합관리 체계를 갖춰 지속 가능한 산업 생태계를 만들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