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LG화학, 2분기 순익 적자 전환…수익성 개선에도 매출 감소 부담

프로필
연합뉴스
댓글 0
좋아요 비화설화 0

LG화학이 2분기 영업이익은 증가했지만 매출 감소와 순이익 적자 전환으로 엇갈린 실적을 보였다. 전지소재 등 신사업 전환기의 변동성이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LG화학, 2분기 순익 적자 전환…수익성 개선에도 매출 감소 부담 / 연합뉴스

LG화학, 2분기 순익 적자 전환…수익성 개선에도 매출 감소 부담 / 연합뉴스

LG화학이 올해 2분기 실적을 잠정 공시하면서, 이익은 늘어나고 매출은 줄어든 엇갈린 실적 흐름을 나타냈다. 반면 순이익은 적자로 돌아서면서 수익성 측면에서는 아쉬운 결과를 보였다.

LG화학은 8월 7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을 통해 2025년 2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4,768억 원으로 집계됐다고 발표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1.5% 증가한 수치로, 전문가들이 예측한 평균치(연합인포맥스 기준 4,754억 원)와 유사한 수준이다. 이는 수익성 개선 노력과 원가 절감 효과 등이 긍정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풀이된다.

그러나 매출은 11조 4,177억 원으로 지난해 2분기보다 6.7% 감소했다. 이는 전방 산업의 수요 부진이나 일부 주력 제품 가격 하락 등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된다. 글로벌 경기 둔화와 더불어 전기차 배터리 등 핵심 사업 부문의 수주 일정 지연이 매출 감소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가장 큰 우려는 순이익 지표다. LG화학은 2분기에 1,119억 원의 순손실을 기록해 적자 전환했다. 이는 일회성 비용 반영이나 금융 비용 증가, 자회사 손실 등의 영향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자회사인 LG에너지솔루션의 실적 변동은 연결 실적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향후 계열사 실적 또한 유심히 지켜볼 필요가 있다.

이 같은 실적 흐름은 LG화학이 전통적인 화학사업에서 전지소재, 바이오 등 신성장 분야로의 전환을 모색하는 과도기적 상황임을 보여준다. 단기적인 수익성보다 중장기적 경쟁력 확보에 무게를 두는 전략이기 때문에, 당분간 실적 변동성은 불가피할 수 있다.

향후 LG화학이 해외 전지소재 공장 증설, 탄소중립 대응 투자 확대 등을 계속해 나간다면, 매출의 질적 개선과 경쟁력 강화를 통해 실적 안정성을 되찾을 가능성이 있다. 다만 글로벌 경기 흐름과 원자재 가격 변동, 주요 전략 사업의 투자 회수 속도 등은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주요 기사

일본, 세계 첫 XRP ETF 승인 가능성…SBI·프랭클린템플턴 합작 추진

일본, 세계 첫 XRP ETF 승인 가능성…SBI·프랭클린템플턴 합작 추진

[김프 리포트] NFT·FRAG·BAT 차익거래 수익률 60% 돌파…프리미엄 실현 기회는?

[김프 리포트] NFT·FRAG·BAT 차익거래 수익률 60% 돌파…프리미엄 실현 기회는?

잉글랜드은행, 기준금리 4.00%로 인하…경기 둔화에 완화 기조 유지

잉글랜드은행, 기준금리 4.00%로 인하…경기 둔화에 완화 기조 유지

댓글

댓글

0

추천

0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