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모닝 뉴스브리핑] 美 상원, 스테이블코인 법안 초당적 합의 도달 外

작성자 이미지
강수빈 기자
1
3

미국 상원이 스테이블코인 규제법안 '지니어스법'에 공화당과 민주당 간 초당적 합의에 도달했다. 이번 주 내 상원 표결이 추진될 예정이다.

美 상원, 스테이블코인 법안 초당적 합의 도달 / Tokenpost

美 상원, 스테이블코인 법안 초당적 합의 도달

미국 공화당과 민주당이 스테이블코인 규제 법안 지니어스법(GENIUS)의 초당적 합의에 도달했다고 유투데이가 전했다. 현재까지 법안 상세 내용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공화당은 이번 주 내 상원 표결을 추진할 예정이다. 매체는 "지니어스법은 친 암호화폐 성향 일부 민주당 의원들과 공화당 내 몇몇 의원들의 반대에 휩싸였지만 이번에는 어느 정도 돌파구가 마련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뉴욕 검찰, 2023년 쿠코인 소송서 SEC에 ETH 증권 간주 요청

뉴욕 검찰이 2023년 쿠코인과의 소송에서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이더리움(ETH)을 증권으로 봐달라고 요청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고 코인데스크가 전했다. 해당 내용은 코인베이스가 정보공개법(FOIA) 통해 입수한 SEC 내부 문건을 공개하면서 드러났다. 문건에 따르면 샤미소 마스워스웨 당시 뉴욕주 투자자보호국장은 SEC에 "ETH가 증권이라는 주장에 힘을 실어달라"며 법원 의견서 제출을 요청했다. 다만 SEC는 당시 ETH의 증권 여부와 관련 의견이 정리되지 않아 공식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 매체는 "ETH의 증권성 여부 문제는 미국 암호화폐 규제 기류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다"고 부연했다.

G7, 6월 정상회의서 北 암호화폐 해킹 문제 논의 예정

G7 정상들이 오는 6월 중순 캐나다 앨버타에서 열리는 정상회의에서 북한의 해킹 및 암호화폐 절도 문제를 주요 의제로 다룰 것으로 보인다고 블룸버그가 전했다. 북한 해커들은 최근 암호화폐 기업, 거래소를 상대로 탈취한 수십억 달러 규모 암호화폐를 탈취해 제재 회피 및 대량살상무기 자금 조달 핵심 수단으로 삼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G7은 회의에서 암호화폐를 통한 불법 자금 조달 차단을 위한 국제 공조를 강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스트라이프, 스테이블코인 기반 금융 계좌 출시

글로벌 온라인 결제기업 스트라이프(Stripe)가 스테이블코인 기반 금융 계좌를 출시했다고 발표했다. 스테이블코인 및 달러·유로화 이체를 지원하며, 지난해 11억 달러에 인수한 스테이블코인 결제 스타트업 브릿지(Bridge) 기반 인프라에 구축됐다는 설명이다.

로빈후드, 유럽 내 美 자산 거래 위해 블록체인 도입 계획

미국 주식·암호화폐 거래 앱 로빈후드가 유럽 내 미국 자산 트레이딩을 위해 블록체인을 도입할 계획이라고 월터 블룸버그가 전했다.

코인베이스, 뉴욕 거주자 대상 PENDLE 거래 지원

코인베이스가 공식 X를 통해 뉴욕 거주자들을 대상으로 펜들(PENDLE) 거래를 지원한다고 발표했다.

코인베이스, PAXG 상장

코인베이스가 공식 X를 통해 5월 8일 2시(한국시간) PAXG를 상장한다고 공지했다.

10억 USDT 신규 발행

웨일 얼럿에 따르면, 10억 USDT가 Tether Treasury의 주소에서 신규 발행됐다.

500,000,000 USDT 이체... Aave → HTX

웨일 얼럿에 따르면, Aave 주소에서 HTX 주소로 500,000,000 USDT가 이체됐다. 5억 달러 규모다.

300,000,000 XRP 이체... 리플 → 익명

웨일 얼럿에 따르면, 리플 주소에서 익명 주소로 300,000,000 XRP가 이체됐다. 6.3억 달러 규모다.

미국 기준금리 동결...시장 전망치 부합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가 공식 성명을 통해 기준금리를 동결한다고 발표했다. 시장 전망치와 부합한다. 이로써 미국의 기준금리는 4.25%~4.50%를 유지했다.

美 연준 "금리 동결, 향후 추가 조정 여부 결정...물가 다소 높은 수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가 공식 성명을 통해 "최근 경제 지표들이 견조한 상황을 유지하고 있지만 기준금리를 동결한다. 향후 추가 조정 여부는 데이터에 따라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실업률은 최근 몇 달간 낮은 수준에서 안정돼 있고, 노동 시장도 견조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지만 물가는 다소 높은 수준이다. 최근 경제 전망 불확실성이 커졌고, 고실업률·고물가 리스크가 모두 상승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제롬 파월 의장을 포함한 모든 위원이 금리 동결에 찬성했다"고 설명했다.

前 트럼프 암호화폐 정책 고문, BTC 투자사 설립 위해 $3억 모금 목표

2024년 대선 기간 동안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암호화폐 정책 고문을 지낸 데이비드 베일리(David Bailey)가 비트코인 투자 기업 설립을 위해 약 3억 달러의 자금을 유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는 비트코인 투자 기업으로 전환해 채권 및 자사주 매입 전략을 실현, 자금을 모으는 스트래티지(MSTR)의 전략을 채택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테더 CEO "5/14 테더 AI 발표 예정"

테더(USDT) 최고경영자 파올로 아르도이노가 "오는 5월 14일(현지시간) 밀라노 인공지능(AI) 위크에서 테더 AI와 목표를 발표할 예정"이라고 X를 통해 전했다.

자오창펑, 2주 전 트럼프에 사면 공식 신청

바이낸스 설립자 자오창펑이 인터뷰를 통해 약 2주 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 사면을 신청했다고 말했다고 워처구루가 보도했다. 올해 3월 블룸버그 및 월스트리트저널은 트럼프 일가가 바이낸스 US 지분 인수와 자오창펑에 대한 사면을 논의하고 있다고 보도한 바 있으며, 이에 그는 사실무근이라고 반박했다. 이와 관련해 자오창펑은 "언론사 보도가 나온 이후 사면 신청을 결정했다. 이런 보도가 나오고 있다면 공식적으로 사면을 신청하는게 낫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들었다"며 "담당 변호사들이 이를 진행하고 있다. 사면 절차를 위한 법적 절차를 밟을 것"이라고 전했다.

바이비트, 해킹 30일 만 유동성 수준 회복

바이비트가 지난 2월 15억 달러 규모 해킹 사건 이후 약 30일 만에 해킹 이전 수준만큼 유동성을 회복했다고 암호화폐 리서치 업체 카이코(Kaiko)가 최근 보고서를 통해 분석했다. 카이코는 "바이비트 이용자들의 리스크 회피 심리가 거래소 내 알트코인에 더 큰 타격을 줬다. 알트코인 유동성은 현재 해킹 전의 80% 수준이다. 다만 이는 해킹 여파라기보다는 거시경제 불확실성에 따른 시장 약세의 영향으로 풀이된다"고 설명했다.

유니스왑 설립자 "향후 자체 스마트 월렛 출시 예정"

유니스왑(UNI) 설립자 헤이든 아담스(Hayden Adams)가 "이더리움(ETH) 펙트라 업그레이드에 적용된 EIP-7702(계정 추상화)로 주소의 복잡한 텍스트가 제거됐다. 유니스왑은 향후 자체적으로 스마트 월렛을 출시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앞서 이더리움은 에포크 364032에서 펙트라 업그레이드를 적용했다.

바이낸스, 30개월 연속 100% 초과 준비금 비율 유지

바이낸스가 30개월 연속 100% 초과 준비금 비율(사용자 자산 대비 바이낸스 보유분 비율)을 유지했다고 우블록체인이 전했다. 비트코인, 이더리움 보유량은 전월 대비 소폭 감소했고, USDT는 소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BTC 상승으로 다수 물량 수익 전환...자본 유입 촉발"

비트코인 상승으로 300만 BTC 이상이 수익 구간으로 진입, 자본 유입을 촉발하고 있다고 글래스노드가 최근 보고서를 통해 분석했다. 보고서는 "BTC가 74,000 달러 구간이었을 때는 500만 BTC 이상이 손실 상태였지만, 지금 손실 상태인 BTC는 200만개 남짓이다. 지난 2주 동안 미국 BTC 현물 ETF에 45억 달러 이상의 자금이 유입돼 3~4월 나타난 자금 유출을 상쇄했으며, 온체인 상에서는 시장이 중대한 방향성을 결정할 것을 시사하는 지표가 나타나고 있다. 다만 옵션 시장에선 변동성 프리미엄 축소가 나타나고 있으며, 구조적으로는 폭풍 전야에 가깝다. 단기적인 급등락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분석 "BTC 투자자 차익 실현 지속...2021년 상승장 말기와 유사"

비트코인 투자자들의 차익 실현이 지속되면서 2021년 상승장 말기와 유사한 국면이 나타나고 있다고 암호화폐 애널리스트 크립토메브시미가 크립토퀀트 기고문을 통해 전했다. 그는 "BTC의 7일 이동평균 순실현손익은 지난해 초부터 일일 10억 달러 이상을 유지하고 있으며, 이는 BTC 가격이 사상 최고치에 근접했음에도 투자자들의 수익 실현이 지속되고 있다는 의미다. 과거 사이클에서 비슷한 현상이 일어났을 땐 급격한 조정이 이어지는 경우가 많았다"고 설명했다.

BTC, $97,953 돌파 시 $13.8억 숏 포지션 강제 청산

코인글래스 데이터에 따르면, 비트코인이 97,953 달러를 돌파하는 경우 주요 암호화폐 선물 거래소에서 13.8억 달러 상당 숏 포지션이 강제 청산될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BTC가 94,903 달러를 이탈하는 경우 13억 달러 상당 롱 포지션이 강제 청산될 전망이다.

BTC $96,000 하회

코인니스 마켓 모니터링에 따르면 BTC가 96,000 달러를 하회했다. 바이낸스 USDT 마켓 기준 BTC는 95,980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1

추천

3

스크랩

Scrap

데일리 스탬프

3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아이콘

1mini

20:59

등급 아이콘

JOON0531

12:17

등급 아이콘

WayneKIM

10:42

댓글 1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mini

2025.05.08 20:59:47

ㄱ ㅅ ㅇ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