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정부, 압수한 9조원대 BTC 매각 추진
영국 재무부가 약 50억파운드(9.3조원) 상당의 압수한 비트코인을 매각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라고 영국 일간지 텔레그래프가 보도했다. 매체에 따르면 영국 내무부와 레이첼 리브스 재무장관은 경찰 및 관련 기관과 협력해 압수한 비트코인을 매각하는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이번 조치는 경기 침체에 따른 예산 부족을 메우기 재원 마련 차원으로 풀이된다고 매체는 분석했다. 지금까지 영국 정부가 압수한 BTC 총량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지난해 1월 중국계 대규모 투자 사기 사건과 관련해 6.1만 BTC를 압수한 바 있다. 이와 관련 암호화폐 옹호단체 비트코인 콜렉티브 설립자 조던 워커는 영국 정부에 보낸 서한에서 "단기 재정 문제 해결을 위해 BTC 등 전략적 자산을 처분하는 건 영국의 경제적 입지를 약화시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해당 폰지사기 피해자들은 영국이 압수한 BTC 반환을 요구하며, 중국 외교부에 양국간 협상을 요청한 상태다.
지난주 ETH 현물 ETF 3조원 순유입...역대 최대
지난주 미국 이더리움(ETH) 현물 ETF에 21.8억달러(3조원)가 순유입됐다고 코인텔레그래프가 전했다. 이는 ETH 현물 ETF 출시 이후 최대 주간 순유입이다. 같은 기간 BTC 현물 ETF에는 23.9억달러(3.3조원)가 순유입됐다.
분석 "BTC·ETH, 기관 수요↑...대규모 매도세 없을 것"
더블록에 따르면 알고리즘 트레이딩 기업 프레스토 산하 프레스토 리서치 애널리스트인 민 정(Min Jung)은 "현재 비트코인은 글로벌 기관들의 강한 매수세에 힘입어 사상 최고치 부근에서 안정적인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매수 주체가 장기 보유 성향을 띤 기관 중심이라는 점에서 단기간 내 대규모 매도세가 출현할 가능성은 낮다. 다만 신고가 경신 이후 일부 고래들이 차익 실현에 나설 경우 단기적으로 변동성이 확대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더리움에 대해선 “최근 현물 ETF에서 기록적인 순유입이 발생했고, 이로 인해 기관 모멘텀이 강화되고 있다. 점점 더 많은 상장사들이 이더리움을 전략적 준비 자산으로 채택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美 은행 단체들 "암호화폐 기업 은행업 인가 신청, 우려된다"
미국 은행 및 신용협동조합 단체들이 암호화폐 기업들의 은행업 인가 신청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다고 코인텔레그래프가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이들 단체는 연방 당국인 통화감독청(OCC)에 서한을 발송, "서클, 리플랩스 등 스테이블코인 발행사에 은행 라이선스를 승인한다면, 이는 심각한 정책 및 절차상 우려가 야기될 수 있다. OCC는 이들의 신청서에 작성된 사업 계획에는 상당한 정책적, 법적 오류가 있다. 따라서 해당 신청서를 대중에도 공개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앞서 리플랩스, 서클, 비트고 등이 은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내셔널 트러스트 뱅크 설립 인가를 신청한 바 있다.
64,203 ETH 이체... 익명 → 세푸
웨일 얼럿에 따르면, 익명 주소에서 세푸 주소로 64,203 ETH가 이체됐다. 2.4억 달러 규모다.
60,991 ETH 이체... 바이낸스 → 익명
웨일 얼럿에 따르면, 바이낸스 주소에서 익명 주소로 60,991 ETH가 이체됐다. 2.3억 달러 규모다.
하이퍼리퀴드 고래, BTC·ETH·HYPE 롱포지션 오픈
하이퍼리퀴드에서 총 7366만달러 수익을 올린 고래('0x4a20'로 시작)가 BTC 40배, ETH 25배, HYPE 10배, PEPE 10배 롱포지션을 오픈했다고 룩온체인이 전했다. 총 포지션 규모는 1.21억달러, 미실현수익은 114만달러다.
분석 "ETH, $4000 돌파 실패시 $3130까지 하락 가능성"
이더리움(ETH)이 4,000 달러를 돌파하지 못할 경우, 3,130 달러까지 하락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암호화폐 애널리스트 와이즈크립토는 X를 통해 "ETH은 지난 일주일간 27% 상승했다. 이 기간 동안 투자자들은 거래소에서 31.7만 ETH를 출금하며, 총 11.8억 달러에 달하는 매집이 이뤄졌다. 그러나 현재 ETH NUPL(미실현 순손익 지수)은 '믿음-부정(Belief-Denial)구간에 진입했다. 이 구간은 통상적으로 홀더들이 차익 실현을 시작하면서 조정 국면이 나타날 수 있는 시점으로 해석된다. 이더리움이 4,000만 달러 저항선을 돌파한다면 추가 랠리가 가능하지만, 반대로 실패할 경우 3,130 달러까지 하락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코나아이, 국내 최초 스테이블코인 발행 시연 예고
국내 소프트웨어 개발 상장사 코나아이가 자체 보유한 블록체인 플랫폼을 활용해 오는 31일 최초로 스테이블코인 발행 시연을 한다고 뉴시스가 전했다. 코나아이는 상용화에 앞서 스테이블코인 관련 상표 출원을 완료한 상태이며, 이번 시연을 통해 완성된 시스템의 검증을 받은 후 4분기부터 본격적인 상용화에 나선다는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더리움 레이어2 강세...TAIKO, $0.6 일시 회복
코인니스 마켓 모니터링에 따르면, 이더리움(ETH) 단기 강세에 힘입어 이더리움 레이어2 계열 토큰들의 약진이 도드라지고 있다. 특히 이더리움 기반 레이어2 블록체인 타이코(TAIKO)는 오늘 오전 0.61 달러를 일시 회복하며, 지난 6월 22일 기록한 저점($0.3424) 대비 약 78% 상승하기도 했다. 레이어2 테마의 대표격인 아비트럼(ARB), 옵티미즘(OP) 등도 뚜렷한 상승세를 나타냈다. ARB는 최근 일주일 사이 약 16%, OP는 약 17%의 상승폭을 기록했다.
컨센시스 “일부 사용자 메타마스크 버그 발견...곧 수정”
메타마스크 개발사 컨센시스(Consensys)가 일부 사용자의 메타마스크 내에서 비정상적인 디스크 활동을 발견했으며, 이를 조만간 수정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메타마스크의 일부 브라우저 확장 프로그램에서 하루 수백 기가바이트에 달하는 데이터가 SSD에 기록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컨센시스 측은 "문제를 적극 조사 중이며, 수정 솔루션이 곧 배포될 예정"이라고 전했다.
3대 선물 거래소 BTC 무기한 선물 롱숏 비율
미결제약정 기준 세계 3대 암호화폐 선물 거래소 내 최근 24시간 BTC 무기한 선물 롱·숏 포지션 비율은 다음과 같다.
전체 거래소: 롱 49.18% / 숏 50.82%
1. 바이낸스: 롱 48.72% / 숏 51.28%
2. 바이비트: 롱 49.54% / 숏 50.46%
3. 게이트아이오: 롱 46.56% / 숏 53.44%
더블록체인그룹, 22 BTC 추매
프랑스 블록체인 전문 기업 더블록체인그룹(ALTBG)이 22 BTC를 추가 매입했다고 밝혔다. 220만 유로 상당이다. 현재 1,955 BTC를 보유 중이다.
영국 상장사 볼트즈캐피털, 20 BTC 추가 매수
영국 상장사 볼트즈캐피털(Vaultz Capital)이 20 BTC를 추가 매수했다고 공시를 통해 밝혔다. 현재 볼트즈캐피털은 70 BTC를 보유 중이다.
바이낸스, CTK 입출금 중단
바이낸스가 셴투(CTK) 네트워크 업그레이드 및 하드포크 지원으로 7월 22일 21시(한국시간) CTK 입출금을 일시 중단한다고 공지했다.
코인원, NFP 상장 폐지
코인원이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오는 8월 20일 15시 엔에프 프롬프트(NFP)를 상장 폐지한다고 공지했다.
빗썸, OAS 입출금 일시 중단
빗썸이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7월 29일 7시 오아시스(OAS) 네트워크 업그레이드 지원에 따라 OAS 입출금을 일시 중단한다고 공지했다.
분석 "BTC 도미넌스, 4개월래 최저...알트시즌 기대감↑"
비트코인 도미넌스가 최근 5일 동안 64.5%에서 60.9%로 하락했다고 비인크립토가 전했다. 이는 4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알트코인 시즌 도래 신호라는 해석이 나온다.
BTC $119,000 상회
코인니스 마켓 모니터링에 따르면 BTC가 119,000 달러를 상회했다. 바이낸스 USDT 마켓 기준 BTC는 119,057.8달러에 거래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