밸런서 해커, 토네이도캐시로 탈취 ETH 이체 시작
디파이 프로토콜 밸런서(BAL) 해커가 탈취한 이더리움(ETH)을 토네이도캐시(TORN)로 옮기기 시작했다고 온체인렌즈가 분석했다. 그는 밸런서에서 탈취한 ETH를 중간 주소로 옮겨 토네이도캐시에 전송하고 있으며, 100 ETH씩 쪼개어 송금하는 패턴을 보이고 있다. 밸런서는 지난 3일 취약점 노출로 인해 약 1억 달러 이상의 해킹 피해를 입은 바 있다.
블룸버그 "DAT 기업 자금 조달 방식, 개인 투자자에 리스크 전가"
블룸버그가 10x리서치의 보고서를 인용 "디지털 자산 트레저리(DAT) 기업들의 자금 조달 방식은 개인 투자자들에게 리스크를 전가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여기서 DAT 기업은 기업의 자산으로 암호화폐를 집중 보유하는 상장사를 의미한다. 이와 관련 블룸버그는 "최근 DAT 기업들은 자금 조달 방식으로 현금 대신 자체 보유 토큰을 그대로 출자하는 '인카인드 컨트리뷰션'(In-kind contribution) 구조를 채택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다만 이러한 토큰들은 상장되지 않았거나 유동성이 낮은 경우가 많아 가치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어려운 리스크가 존재한다. 이 때문에 주주들은 실제 거래 가능한 시장가보다 더 비싼 가격에 투자하는 손해가 생길 수 있다. 만약 이러한 토큰들의 시장가가 더 낮은 경우 개인 투자자들이 손실분의 상당 부분을 떠안게 되는 셈이다. 실제로 이러한 모델에 투자한 개인 투자자들은 현재까지 약 170억 달러 규모의 손실을 본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DAT 주식을 보유 중이거나 신규 진입을 고민하고 있다면, 토큰 구조, 기여 방식, 상장 후 유동성 리스크 등을 반드시 체크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멀티코인캐피털, ENA 전략 투자..."큰 포지션 구축"
암호화폐 전문 투자사 멀티코인캐피털(Multicoin Capital)의 수석 투자자 비샬 칸카니(Vishal Kankani)가 자신의 X를 통해 "멀티코인은 합성달러 USDe 발행사 에테나(ENA) 프로토콜의 네이티브 토큰 ENA에 전략 투자했다"고 밝혔다. 구체적인 투자액은 공개되지 않았다. 이와 관련 그는 "합성달러 USDe는 금융 시장에서 완전 담보 델타 중립 거래 전략을 통해 수익을 창출한다. 에테나는 베이시스 트레이딩을 통해 시장의 레버리지 수요를 현금화하고 수익을 창출한다. 또한 스테이블코인, 퍼피피케이션, 토큰화 등 현재 금융을 재편하는 세 가지 강력한 트렌드에 에테나는 모두 해당한다"고 설명했다. 또 카일 사마니(Kyle Samani) 멀티코인캐피털 공동 설립자는 "우리는 올해 ENA에 대한 큰 포지션을 구축했다"고 덧붙였다.
골드만삭스, 3분기 블랙록 ETH 현물 ETF 1,740만 주 추가 매입
골드만삭스가 지난 3분기 블랙록의 이더리움(ETH) 현물 ETF ETHA를 1,740만 주 추가 매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로헷지에 따르면, 골드만삭스는 3분기 기준 총 4,230만 주 보유해 지난 2분기에 이어 ETHA를 가장 많이 보유한 기관 투자자에 이름을 올렸다. 또 글로벌 헤지펀드 밀레니엄매니지먼트는 총 2,810만 주를 보유해 골드만삭스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ETHA를 보유한 것으로 전해졌다.
피터 틸 주도 '파운더스 펀드', 비트마인 주식 절반 매각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된 문서에 따르면, 페이팔 공동 창업자 피터 틸이 주도하는 파운더스 펀드가 보유하고 있던 비트마인(나스닥 티커: BMNR) 주식 포지션 중 절반을 매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트마인은 이더리움(ETH)에 집중 투자하고 있는 나스닥 상장사다. 한편 피터 틸은 포지션 축소 후 현재 비트마인 주식 2,547,001 주를 보유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외신 "아스터, ASTER 토크노믹스 일부 수정...언락 시점 연기"
우블록체인이 "탈중앙 선물 거래소(Perp DEX·퍼프덱스) 아스터(ASTER) 팀은 최근 토크노믹스 변경 및 수정을 확정했다. 원래 연내로 예정됐던 ASTER 언락 일정이 취소되고 2026년 여름으로 연기됐으며, 일부는 2035년까지 추가 지연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이러한 소식은 중국 암호화폐 칼럼니스트 콰이둥(AB Kuai.Dong)으로부터 전해졌다. 그는 자신의 X를 통해 아스터 팀원과의 대화 내용을 공개했는데, 아스터 팀은 "원래 토크노믹스 상에서는 매월 생태계 할당 언락 일정이 존재했지만, 아직 ASTER 토큰 사용 계획이 수립되지 않아 언락이 실행되지 않았다"고 언락 연기 배경을 설명했다.
블랙록 BTC 현물 ETF, 3Q 기관 보유자 수 15% 증가
블랙록의 비트코인 현물 ETF BIT의 3분기 기관 보유자 수가 전분기 대비 15% 증가했다고 트레이더T가 분석했다. 3분기 IBIT를 보유한 투자자 중 기관의 비중 역시 전분기 대비 1%p 늘어 29%를 기록했다. 또 IBIT 보유 투자자 중 국부펀드의 소유 비중은 2.14%, 아랍에미리트(UAE) 소유 비중은 4.1%를 나타냈다.
자오창펑 "암호화폐 업계, 더 많은 오라클이 필요하다"
자오창펑 바이낸스 설립자 겸 전 CEO가 "암호화폐 및 블록체인 업계에는 더 많은 오라클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한 두개의 오라클로는 충분하지 않다. 시장은 더 다양한 데이터 출처가 필요하다. 온체인 예측 시장도 이러한 오라클 수요를 견인할 것이며, AI 역시 마찬가지"라고 덧붙였다. 여기서 오라클은 블록체인 외부 데이터를 스마트 컨트랙트 안으로 가져오는 역할을 하는 서비스 혹은 프로토콜을 의미한다. 가장 대표적인 오라클 인프라로는 체인링크(LINK)가 꼽힌다.
하이퍼리퀴드 설립자 "하이퍼리퀴드, '대기업'아닌 개방된 레고 블록"
우블록체인에 따르면, 하이퍼리퀴드(HYPE) 설립자 제프(Jeff)가 최근 한 인터뷰에서 "탈중앙화 금융(DeFi, 디파이)은 대기업이 아닌 개방된 레고 블록과 같아야 한다"고 말했다. 하이퍼리퀴드의 급성장이 마치 '디파이 대기업'으로 군림하고 있다는 일각의 주장에 반박한 것. 이어 그는 "진정한 디파이는 중앙집중식 폐쇄적 시스템이 아닌 개방적이고 자유롭게 조합할 수 있는 금융 모듈 구축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이런 점에서 개방된 레고 블록과 같다고 생각한다. 하이퍼리퀴드는 이러한 비전을 추구하고 있으며, 디파이의 본질로 돌아가는 것이 금융의 미래를 구축하는 올바른 길이라고 믿는다"고 강조했다.
분석 "모두가 예상하는 바닥은 '찐바닥' 아냐...추가 하락 가능성"
모두가 바닥이라고 저점을 말하고 있을 때 '찐바닥'이 나올 가능성은 낮다고 암호화폐 소셜 데이터 분석 업체 샌티멘트(Santiment)가 분석했다.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샌티멘트는 15일 보고서를 통해 "특정 가격이 저점이라는 광범위한 컨센서스가 형성되면 오히려 조심해야 한다. 진정한 바닥은 대다수가 더 떨어질 것이라고 예상할 때 형성되는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다. 이어 보고서는 "최근 비트코인 약세에 소셜 미디어 플랫폼 내 '비트코인 바닥' 언급은 트렌드로 떠올랐다. 다수의 트레이더들은 최악의 상황이 지나갔다는 데 입을 모으고 있다. 과거 데이터를 보면 이러한 투심 완화 이후 추가 하락이 이어지는 경우가 많았다"고 덧붙였다.
ETH 현물 ETF 2614억원 순유출
14일(현지시간) 미국 이더리움 현물 ETF가 1억 7966만 달러(약 2614억원) 순유출을 기록했다고 트레이더T가 전했다. 블랙록 ETHA에서만 1억 7503만 달러가 빠져나가며 순유출을 주도했으며 그레이스케일 ETHE에서 463만 달러가 유출됐다. 이날 순유입을 기록한 ETF는 없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