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토큰포스트 브리핑] 코인베이스, 머지 관련 14일 ETH 및 ERC20 토큰 입출금 일시 중단 外

프로필
토큰포스트 기자
댓글 2
좋아요 비화설화 0
 사진 = 코인베이스 CI / 코인베이스

사진 = 코인베이스 CI / 코인베이스

[코인베이스, 머지 관련 9/14 ETH 및 ERC20 토큰 입출금 일시 중단]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가 공식 채널을 통해 오는 9월 14일 20시(PST 기준)경부터 이더리움 머지(PoS 전환)와 관련해 ETH 및 ERC-20 토큰 입출금 지원을 일시 중단할 예정이라고 공지했다.

[FTX 창업자 "암호화폐 하락 주요 요인은 통화 정책·인플레이션"]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샘 뱅크먼 프리드(Sam Bankman-Fried) FTX 창업자가 12일(현지시간) 뉴욕에서 열린 SALT 컨퍼런스에 참석, "올해 암호화폐 하락의 주요 요인은 통화 정책과 인플레이션"이라고 말했다. 그는 "올해는 정책 변화의 해"라며 "이러한 변화 속에서 암호화폐 가격이 하락했다"고 전했다. 또한 그는 "어떤 식으로든 암호화폐 산업에 대한 합당한 연방 차원의 규제가 있어야 한다"며 "우리가 라이선스를 취득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향후 1년 안에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이 사이에 암호화폐를 위한 프레임워크가 나올 것으로 예상한다"고 덧붙였다.

[알고랜드 임원 등 "헬륨 솔라나 마이그레이션 반대"]

헬륨(HNT) 재단이 솔라나(SOL) 블록체인 마이그레이션을 고려하고 있다고 밝힌 가운데, 다수의 알고랜드 임원이 다른 블록체인도 고려해봐야 한다고 말했다. 알고랜드(ALGO) 개발자 중 한 명이자 이탈리아 컴퓨터 사이언티스트 실비오 미칼리(Silvio Micali)와 알고랜드 CTO 존 앨런 우드(John Alan Wood)는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헬륨에는 안전하고 강력하며 확장가능한 체인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또한 알고랜드에 중점을 둔 VC이자 헬륨 투자자인 보더리스 캐피털(Borderless Capital)도 "헬륨이 자체적으로 레이어1 체인을 유지 및 운영할 수 없다는 주장에 동의한다. 다만 관련 분석 및 투명성 없이 솔라나 마이그레이션을 결정해서는 안된다. 헬륨은 솔라나 마이그레이션 관련 투표를 중단하고 다른 주요 블록체인에 대한 평가를 진행해야 한다"고 전했다.

[美 블록체인협회, 친 암호화폐 후보자 지원 위한 PAC 구축]

인데스크에 따르면 미국 블록체인협회(Blockchain Association)가 암호화폐 관련 정치행동위원회(PAC)를 구축했다. BA PAC는 양당의 친 암호화폐 후보자를 후원하게 된다. PAC는 11월 선거를 위해 계속해 후보자를 후원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구체적인 후보자 명단은 공개하지 않았다. 이와 관련해 블록체인협회 전무이사 크리스틴 스미스(Kristin Smith)는 "암호화폐는 초당파적 문제를 다루고 있다. 이러한 정신을 기반으로 후보자를 지원할 것이다. 어느 당파 출신인지는 중요하지 않다"고 설명했다.

[지난주 이더리움 펀드서 6200만 달러 유출]

런던 소재 암호화폐 투자펀드 코인쉐어스(Coin Shares)의 주간 자금 흐름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주 글로벌 암호화폐 투자 펀드에 6300만 달러의 자금이 순유출됐다. 5주 연속 자금 순유출이다. 비트코인 펀드에서는 1300만 달러가 순유출, 5주 연속 유출세를 보였다. 특히 이더리움(ETH) 펀드에서는 6200만 달러가 유출됐다. 이와 관련해 코인쉐어스는 "이더리움 머지를 앞두고 해당 업그레이드가 계획대로 진행되지 않을 수 있다는 우려 속에서 이러한 결과가 나온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8월 NFT·게임 벤처 투자액, 전월비 66% 증가]

더블록에 따르면 지난 8월 블록체인 관련 NFT 및 게임 벤처 투자액이 8.42억 달러로, 7월(5.07억 달러) 대비 66% 증가했다. 전체 벤처 규모는 4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였으나, NFT 및 게임 분야 투자액은 증가세를 보이는데 성공했다는 설명이다. 8월 NFT 및 게임 관련 투자 거래 건수는 총 53건이다.

[케빈 오리어리 "HBAR·SOL·MATIC, ETH의 경쟁자"]

데일리호들에 따르면 캐나다 억만장자 유명 기업가 케빈 오리어리(Kevin O'Leary)가 인터뷰를 통해 이더리움 경쟁자로 헤데라(HBAR), 솔라나(SOL), 폴리곤(MATIC)을 언급했다. 그는 "느리고 비싼 이더리움의 단점이 해결되지 않으면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것"이라며 "HBAR, SOL, MATIC에는 금융 서비스 작동 방식, 비용, 속도, 수수료, 투명성, 보안 등과 관련된 다양한 아이디어가 존재한다"고 설명했다.

[아브라, 미국 규제 승인 첫 암호화폐 은행 출시 계획]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암호화폐 브로커리지 플랫폼 아브라(Abra)가 은행 플랫폼 설립을 준비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이는 미국 정부가 승인한 기관으로, 암호화폐 산업의 첫 규제 은행이 될 예정이다. 은행 플랫폼은 오는 2023년 출시될 예정으로, 미국 고객이 암호화폐를 예치 및 커스터디할 수 있도록 지원하게 된다. 이와 관련해 아브라 CEO 빌 바르하이드(Bill Barhydt)는 "해당 플랫폼이 미국 정부의 승인을 받은 첫 암호화폐 예탁 기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아브라는 미국 외 고객을 대상으로 유사한 서비스를 출시하는 아브라 인터네셔널(Abra International) 비즈니스를 2022년 말에 출시할 계획이다.

[코인베이스 내부거래 혐의 피의자 3인 중 1인, 유죄 인정]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내부거래 혐의로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로부터 기소된 전 코인베이스 매니저 외 두명 중 1인이 유죄를 인정했다. 전 코인베이스 매니저 본인과 함께 기소된 1인은 무죄를 주장하고 있다. 지난 7월 말 SEC는 2021년 6월부터 2022년 4월까지 특정 암호화폐 상장 발표 전 거래를 추진했다며 이들 3인에 소송을 제기했다. 이후 SEC는 해당 소송과 관련해 9종 암호화폐를 증권으로 분류했다. SEC가 증권이라고 발표한 암호화폐는 AMP, RLY, DDX, XYO, RGT, LCX, POWR, DFX, KROM 등이다.

[아르헨티나 국세청, 암호화폐 채굴 작업장 급습]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아르헨티나 국세청(AFIP)이 지난주 산후안(San Juan) 등 지역의 암호화폐 채굴 작업장을 급습했다. 이들 채굴 작업장의 장비 보유량, 암호화폐 보유량 등 관련 정보는 공개되지 않았다. 현재 아르헨티나에는 암호화폐 채굴자 관련 공식 레지스트리가 없는 상태로, 합법적으로 운영되는 기업은 소수다. 대다수의 채굴자는 세금을 납부하지 않은 채 산업용이 아닌 주거용 전기요금을 사용해 암호화폐를 채굴하고 있다. 이에 국세청이 처음으로 암호화폐 채굴장에 대한 급습을 진행했다는 설명이다.

[아크 인베스트먼트 연구 책임자 "BTC-ETH, 경쟁상대 아니다"]

더블록에 따르면 캐시 우드가 이끄는 아크 인베스트먼트의 연구 책임자인 브렛 윈턴(Brett Winton)이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은 라이벌이 아니라고 말했다. 그는 "시장에는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이 경쟁 상대라는 인식이 있다. 이는 사실이 아니며, 이더리움 머지 이후에는 더욱 그러할 것이다. 이더리움이 지분증명(PoS)으로 전환됨에 따라 이들은 더욱 분리될 것"이라며 "이더리움은 금융 중개업자(Financial Intermediaries) 시스템을 변화시키고 모든 종류의 자산에 디지털 소유권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반면 비트코인의 역할은 화폐 시스템을 변화시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충분한 시간이 지난 후에 암호화폐는 2021년 가치 이상으로 성장할 것이다. 현재 다양한 프레임워크 등 시장 개발이 예정돼 있다. 다양한 시장 참가자가 유입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카이브릿지캐피털 CEO "연준 금리 사이클 멈춰야 암호화폐 윈터도 끝"]

전 백악관 통신국장이자 미국 헤지펀드 스카이브릿지캐피털의 최고경영자(CEO)인 앤서니 스카라무치(Anthony Scaramucci)가 CNBC와의 인터뷰에서 "연준의 금리 사이클이 끝날 때까지 암호화폐 윈터는 끝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니어 기반 비수탁형 월렛 센더, 450만 달러 투자 유치]

외신에 따르면 니어프로토콜(NEAR) 기반 비수탁형 암호화폐 월렛 센더(Sender Wallet)가 450만 달러 상당의 투자를 유치했다. 이번 라운드는 판테라캐피탈(Pantera Capital)의 주도 하에 크립토닷컴(Crypto.com), 점프 캐피탈(Jump Capital), 앰버그룹(Amber Group), 우 네트워크(WOO Network), 세븐엑스 벤처스(SevenX Ventures) 등이 참여했다. 투자금은 연구개발 인력 고용 및 월렛 안전성 등 제고를 위해 사용할 방침이다.

[갤럭시디지털 CEO "피델리티 다양한 개인 투자자 대상 암호화폐 서비스 제공 기대"]

블룸버그에 따르면 마이크 노보그라츠(Mike Novogratz) 갤럭시 디지털 최고경영자(CEO)가 "미국 대형 자산운용사 피델리티가 빠른 시일 내에 더욱 다양한 개인 투자자 대상 암호화폐 서비스를 출시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최근 피델리티 인베스트먼트는 확정기여형(DC) 퇴직연금인 401(k) 이용자들이 퇴직연금 계좌에 비트코인을 입금할 수 있도록 허용할 것이라고 전한 바 있다.

[게임스탑 블록체인 책임자 퇴사... 이더리움 관련 계속 종사 계획]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미국 비디오게임 유통사 게임스탑(GameStop)의 블록체인 책임자인 맷 파인스톤(Matt Finestone)이 퇴사한다고 발표했다. 그는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이러한 소식을 전하며 "게임스탑은 떠나지만 이더리움 관련 일은 계속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는 지난 2021년 4월 게임스탑에 합류, 블록체인 관련 업무를 담당한 바 있다. 최근 게임스탑은 암호화폐 거래소 FTX와 파트너십을 체결한 바 있다. 이들 기업은 새로운 전자상거래 및 온라인 마케팅 이니셔티브와 관련해 협력할 계획이다.

[스톤릿지, 다음달 BTC 선물 펀드 청산 예정]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미국 뉴욕에 본사를 둔 자산운용사 스톤릿지(Stone Ridge Asset Management)가 다음 달에 스톤릿지 비트코인 선물 펀드 운용을 중단할 계획이다.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해당 펀드는 선물 계약을 통해 비트코인에 직접 투자하는 상품으로, 지난 2019년 말에 조성됐다. 현재 펀드 운용자금은 약 230만 달러다. 미디어는 "펀드 출범 후 약 2년이 지났으나 큰 관심이 끌지 못한 것으로 평가, 운용을 중단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볼트, 암호화폐 결제업체 와이어 인수 계획 무산]

결제 중심 금융 기술회사 볼트(Bolt)가 암호화폐 결제 인프라 스타트업 와이어(Wyre)를 15억달러(1.83조원)에 인수하려던 계획이 무산됐다고 코인데스크가 전했다. 이는 상호 합의에 의한 결정으로, 그 외 구체적 사유는 밝혀지지 않았다. 앞서 월스트리트저널은 소식통을 인용, 볼트가 와이어를 인수한다는 소식을 알리며 만약 성사 시 역대 최대 비스팩(SPAC, 기업인수목적회사) 암호화폐 기업 인수 사례가 될 것이라고 전한 바 있다.

[BofA "이더리움 머지, 기관 ETH 매수 기회 확대"]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따르면 뱅크오브아메리카(BofA) 소속 애널리스트 알케시 샤(Alkesh Shah)와 앤드류 모스(Andrew Moss)가 지난 금요일 발표한 보고서에서 "이더리움 머지(PoS 전환)로 인해 일부 기관 투자자들이 ETH를 투자할 가능성이 커졌다"고 진단했다. 보고서는 "기존 작업증명(PoW) 기반 암호화폐 투자를 하지 않았던 일부 기관 투자자들은 이더리움 머지 이후 ETH 매수를 시작할 수 있을 것"이라며 "유동성 리스크가 적은 ETH 스테이킹을 통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는 점도 기관 유입을 촉진하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한 보고서는 이러한 수익성이 디앱 등 웹3 생태계와도 관련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보고서는 "예컨대, 넥서스 뮤추얼 같은 분산형 보험 프로토콜의 경우 기존 보험사를 대체하려면 준비금을 이용해 수익을 창출해야 한다. 기존 보험회사가 회사채, 국채 등에 투자하지만 디지털 자산 생태계에서는 이와 유사한 상품을 찾기 어렵다. 이더리움 스테이킹이 지금으로선 가장 나은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폴리곤 "스타벅스와 파트너십 체결...블록체인 기술 제공"]

폴리곤(MATIC) 개발팀이 12일 공식 블로그를 통해 "스타벅스와 협력 관계를 체결하고 최근 스타벅스가 발표한 웹3 경험 프로젝트 '스타벅스 오디세이'(Starbucks Odyssey) 구축을 위한 블록체인 기술을 제공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와 관련 폴리곤은 "이번 협력을 통해 미국 내 스타벅스 리워드 로열티 프로그램 회원과 스타벅스 파트너(임직원)들은 NFT 형태의 디지털 스탬프를 획득하고 거래할 수 있게 될 것"이라며 "이러한 로열티 프로그램 경험은 폴리곤의 지분증명(PoS) 네트워크의 낮은 수수료와 빠른 트랜잭션 처리 속도를 기반으로 구축된다"고 설명했다. 앞서 지난 8월 4일 스타벅스는 "충성도를 중심으로 한 혁신적이고 흥미로운 디지털 이니셔티브를 준비하고 있다. 스타벅스 브랜드의 디지털 수집품과 리워드, 커뮤니티 요소를 통합해 독특한 경험을 제공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코인마켓캡 기준 MATIC은 현재 1.99% 오른 0.9129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외신 "BNB체인 기반 XRP 보유량 상위 10 개 주소, 유통량 73% 점유"]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핀볼드가 리플(XRP) 블록체인 익스플로러 XRP스캔의 데이터를 인용 "12일 기준 BNB체인(BNB) 기반 XRP 보유량 상위 10개 주소가 BNB 기반 XRP 유통량의 약 73%를 보유하고 있다"고 전했다. XRP스캔에 따르면, BNB 기반 XRP 보유량 기준 상위 20개 주소는 유통량의 75.35%를 점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 핀볼드는 "XRP는 공급량이 제한된 디플레이션 코인으로 설계됐다. 대다수 BNB 기반 XRP 토큰은 바이낸스 거래소를 통해 개인들이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바이낸스는 XRP 유통량의 38.5%를 보유하고 있으며, 나머지 XRP들은 다른 플랫폼 및 지갑에 분산되어 있다. 바이낸스 내 최대 XRP 고래는 99,879,936 XRP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약 3,495만 달러 상당이다. 소유주의 실체 파악은 불가능하다. 통상적으로 어떤 코인이 몇 개의 고래 주소에 집중 분포됐다는 점은 중앙화와 관련된 비난에서 자유롭지 않다"고 설명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XRP는 현재 0.08% 오른 0.3557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니어프로토콜, '샤딩 업그레이드' 본격 추진...검증자 200명 추가 예정]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레이어1 블록체인 니어프로토콜(NEAR)이 12일 네트워크 트랜잭션 처리 속도(TPS)를 제고하기 위한 '샤딩 업그레이드'를 본격 추진하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네트워크 운영에 참여할 수 있는 스테이커들의 자격 조건이 완화됐고, 샤딩 메커니즘에 참여할 수 있지만 풀노드보다는 사양이 낮은 '청크 전용 검증자'(chunk-only validators)의 개념이 도입된다. 이에 따라 NEAR 검증자가 되기 위해 갖춰야 하는 사양은 기존보다 약 86% 완화되며, 검증자 진입 장벽이 낮아져 탈중앙화 성격을 확장한다는 게 니어 측의 설명이다. 이와 관련 니어 공동 창업자 일리아 폴로수킨(Illia Polosukhin)은 "이번 업그레이드로 니어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검증자 수는 기존 100 명에서 300 명으로 약 200 명 증가할 것으로 추산된다. 검증자 참여가 늘어날수록 니어 네트워크의 '탈중앙화'는 강화된다"고 부연했다. 니어프로토콜에 '샤딩'을 도입하기 위한 업그레이드 '나이트쉐이드'는 총 4단계의 프로그램을 통해 진행되며, 2023년 완료될 계획이다. 코인마켓캡 기준 NEAR는 현재 9.40% 오른 5.19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출금 중단' 호들넛 파산관재인, 이더리움 머지 전 자산 매각 검토]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유동성 위기로 사실상 파산 절차에 돌입한 암호화폐 대출 서비스 호들넛의 파산관재인들이 이더리움 머지(PoS 전환)를 앞두고 청산 위험이 존재하는 호들넛의 부실 자산을 매각하는 것에 대해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싱가포르 법원이 임명한 파산관재인 중 한명은 아론 로 쳉 리(Aaron Loh Cheng Lee)는 "이더리움 머지와 관련된 여러 리스크들이 있는데, 만약 리스크가 현실화될 경우 이더리움 네트워크 상에 보유하고 있는 자산에 피해를 입을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호들넛은 디파이 프로토콜에 배치한 토큰들의 락업을 해제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앞서 알고랜드(ALGO) 재단은 호들넛에 3,500만 USDC를 보유하고 있다고 11일(현지시간) 밝힌 바 있다.

[리서치 "토큰화 자산 시장, 2030년 16.1조 달러 규모 전망"]

트레이드아라비아에 따르면, 세계 3대 컨설팅 기업 중 하나인 보스턴컨설팅그룹(BCG)이 최근 디지털 거래소 ADDX와 공동 발표한 보고서에서 "토큰화 자산 시장 규모는 오는 2030년까지 약 50배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며, 16.1조 달러 규모의 비즈니스 기회를 창출해낼 것"이라고 전망했다. 보고서는 "암호화폐 약세장이 길어지며 자본이 실행 가능한 블록체인 사용 사례에 집중되고 있다. 토큰화 자산은 어떠한 투자에 대한 진입 장벽을 낮춰줄 수 있다. 최소 수백만 달러가 필요한 어떤 상품의 최소 투자액을 수천 달러로 줄일 수 있으며, 토큰화 기술 이전 이런 종류의 투자 기회는 기관 투자자에 한해 제공됐었다. 또 토큰화 자산은 국경의 제한을 받지 않아 전 세계 투자자들이 유입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노르웨이 중앙은행, 자체 CBDC 인프라 네트워크로 이더리움 채택]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노르웨이 중앙은행의 중앙은행 발행 디지털화폐(CBDC) 기술 파트너사 나미(Nahmii)가 최근 공식 블로그를 통해 "깃허브에 게시된 CBDC 관련 샌드박스는 테스트 네트워크와 상호 작용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ERC20 기반 토큰의 발행, 소각, 전송 등 기능을 지원한다. 노르웨이의 CBDC 시제품은 인프라 네트워크로 이더리움(ETH)을 채택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주 금요일 노르웨이 중앙은행 역시 공식 트위터를 통해 '자체 개발 CBDC 프로토타입은 이더리움 기술을 기반으로 개발되고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앞서 노르웨이 중앙은행은 지난 4월 CBDC 관련 테스트 계획을 공식 발표한 바 있으며, 2년간 각기 다른 디자인의 CBDC를 테스트한 뒤 솔루션을 모색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美 블록체인 로비 단체 "SEC, BTC 현물 ETF 승인 거부...투자자만 손해"]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미국 워싱턴 D.C. 소재 블록체인 로비 단체인 체임버오브디지털커머스(Chamber of Digital Commerce)가 12일 발표한 보고서를 통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비트코인 현물 기반 ETF 상품 출시를 줄곧 반대하며 미국 투자자들에게 손해를 끼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 보고서는 "비트코인 현물 ETF는 이미 다른 국가에서 거래되고 있는 거래 상품이다. ETF를 통해 투자자들은 보다 쉽고 효율적으로 비트코인 시장에 접근할 수 있지만, SEC는 투명성과 규제 접근성을 근거로 BTC 현물 ETF 출시를 반려해왔다. 결국 미국 투자자들은 ETF 상품에 투자하기 위해 외국 시장에 의존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올해 초 SEC는 BTC 현물 기반 ETF 승인 신청서들이 근거로 삼는 미국 증권법의 인용을 인정하며 투크리움(Teucrium)사의 BTC 선물 기반 ETF 출시를 승인한 바 있다. 같은 법규를 근거로 하는 상품에 차별을 두는 SEC의 입장에 업계의 불만은 커져갔지만, SEC는 독단적이고 변덕스러운 기준으로 BTC 현물 기반 ETF 출시를 방해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email protected]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댓글

댓글

2

추천

0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2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bityou

2022.09.13 14:02:46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jbm장미

2022.09.13 12:56:26

좋아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