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월가 투자은행 절반 이상 "美 최종금리 5.00∼5.25% 전망"]
한국은행 뉴욕사무소가 지난 7일 현지 12개 투자은행(IB)을 상대로 자체 조사를 진행한 결과 3분의 2인 8곳이 미국의 최종 정책금리 수준을 5.00∼5.25%로 전망했다. 한 달 전인 지난달 10일 조사 당시에는 12곳 중 3곳만 5.00∼5.25%라고 응답한 것과 비교하면 5곳이 늘어난 셈이다. 지난달 조사에서는 절반이 넘는 7곳이 최종 정책금리를 5.50∼5.75%로 전망했지만, 이번 조사에서는 1곳으로 급감했다. 최종금리 수준을 5.25∼5.50%로 예상한 곳은 지난달과 같은 2곳이었고, 4.75∼5.00%로 내다본 곳은 지난달에는 없었지만, 이번 달에는 1곳으로 집계됐다. 한은은 보고서에서 "연준은 향후에도 물가 목표 수준으로 인플레이션을 안정시키기 위해 긴축적 통화기조를 당분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발생한 은행 위기가 향후 실물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면밀히 점검하면서 통화정책을 조정해 나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시카고 연은 총재 "은행 문제로 금융긴축 이어지면 금리인상 덜해야"]
오스탄 굴스비 시카고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는 신용 여건이 더 긴축될 수 있는 가능성을 주목하면서 미 연방준비제도가 추가 금리 인상에 신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최근 시카코 이코노믹클럽 연설에서 "금융 역풍이 어디로 가고 있는지에 대한 불확실성이 얼마나 많은지를 고려해 신중해야 한다"며 "추가적인 데이터를 수집하고, 너무 공격적으로 금리를 인상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홍콩 재정사 사장 "지금은 웹3 발전을 위한 골든 타임"]
천마오보(陳茂波) 홍콩 특구 정부 재정사(司) 사장(국장)이 2023 홍콩 웹3 페스티벌에서 "지금은 웹3 발전을 위한 골든 타임"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그는 "웹3는 과학 기술 발전의 역사라는 관점에서 봐야 한다. 인터넷 기술이 그랬듯 역사적으로 과학 기술 혁명은 상업 발전을 주도했고, 이러한 상업 행위들은 또 과학 기술 혁명을 뒷받침하는 힘이 됐다. 블록체인 기술이 발전하며 인터넷은 이제 웹3 시대에 접어들었다. 홍콩은 가상자산 시장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책임감 있는 자세로 임할 것이며, 적절한 규제 환경과 기술 발전을 위한 토대를 마련할 것이다. 웹3의 성장 과정에 진통은 있을 수 있지만 결국 빠르게 발전하는 궤도에 오를 것"이라고 설명했다.
[홍콩 증권당국 관계자 "디파이 및 자동화 거래 서비스, SFC 규제 범위 속해"]
홍콩 홍콩증권선물위원회(SFC) 관계자 차이중후이(Cai Zhonghui)가 홍콩 웹3 페스티벌에 참석해 "탈중앙화 금융(DeFi, 디파이) 프로젝트는 SFC의 규제를 받아야 하며, 자동화 거래 서비스(automatic trading services)도 SFC 규제 범위에 속한다"고 말했다. 또 그는 "특정 가상자산이 탈중앙화 거래소와 연관된 경우 라이선스를 당국에 신청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코빗 4/13 ARB 상장]
코빗이 4월 13일 오후 12시 아비트럼(ARB)을 상장한다고 공지했다. 입금은 오늘 오후 12시 오픈된다.
[BTC 도미넌스, 21년 7월 이후 최고]
비트코인 도미넌스(시총 점유율)가 오늘 49%를 일시 터치하면서 2021년 7월 이후 최고 수준을 기록 중이다. 트레이딩뷰에 따르면 현재 BTC 도미넌스는 48.92%다.
[샌티멘트 "11일 $7.1억 상당 23,500 BTC 이체...올해 4번째 규모"]
온체인 분석 회사 샌티멘트가 공식 트위터를 통해 "11일(현지시간) 7.1억 달러 상당의 23,500 BTC 이체는 올들어 네 번째로 큰 대규모 이체였다"고 분석했다. 이어 샌티멘트는 "BTC가 30,000 달러 저항선을 돌파한 시점에서 이와 같은 대규모 이체는 보다 자주 관측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탈중앙화 메타버스 프로젝트 '메타포인트', 해킹 피해로 운영 중단]
블록체인 보안 솔루션 제공 업체인 써틱에 따르면 탈중앙화 메타버스 프로젝트 메타포인트(POT)가 공식 텔레그램 커뮤니티를 통해 해킹 공격 노출로 인해 모든 운영을 중단했다고 밝혔다. 써틱은 이번 공격으로 인해 POT 가격이 78% 이상 하락했다고 설명했다.
[코인베이스 내부자 거래 당사자, 거래소와 47만 달러 배상 합의]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미국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를 통해 내부자 거래를 한 혐의를 인정해 복역 중인 전 코인베이스 제품 관리자 이산 와히의 동생 니킬 와히(Nikhil Wahi)가 코인베이스에 47만 달러를 배상하기로 합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원고와 피고는 지난 6일(현지시간) 해당 합의서에 서명하고, 합의 내용은 10일(현지시간) 뉴욕 지방 법원을 통해 공개됐다. 니킬 와히는 복역을 마친 뒤 20년 이내에 해당 금액을 코인베이스에 배상해야 한다. 배상금은 법원이 몰수한 내부자 거래 부당이득(약 89만 달러)과는 별개로,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및 법무부(DOJ)의 조사에 투입된 비용과 손실을 합친 금액이다. 앞서 코인베이스는 해당 비용을 보전해달라고 법원에 요청한 바 있다.
[Cocos-BCX, COMBO로 리브랜딩]
홍콩 웹3 페스티벌 기간, 웹3 게임 개발자를 위한 스케일링 솔루션인 Cocos-BCX가 COMBO로의 리브랜딩을 발표했다. COMBO는 BNB체인 최초의 게임 중심 롤업을 개발 중이다. 4월 중 테스트넷을 출시할 계획이다.
[문버드 '미씩 에그' 클레임 4/17 시작]
NFT 프로젝트 문버드가 미씩 에그(Mythic Eggs) 클레임이 4월 17일 시작된다고 공지했다. 미씩 에그(신화 알)는 곧 출시될 PFP 컬렉션 문버드 미씩 생태계에 포함된다.
[바이낸스US, 4/19 SPELL 및 TRX 상장폐지]
바이낸스의 미국 법인 바이낸스US가 공식 사이트를 통해 4월 18일(현지시간) 스펠(SPELL) 및 트론(TRX)을 상장폐지한다고 공지했다. 한국시간 기준 4월 19일 12시 바이낸스US 내 모든 SPELL 및 TRX 거래가 중단된다.
[홍콩 최대 인터넷은행, 규제 준수 암호화폐→법정화폐 환전 서비스 준비중]
홍콩 최대 인터넷은행(가상은행)인 ZA뱅크(ZA Bank) 최고경영자(CEO)인 로날드 이우(Ronald Iu)가 블룸버그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현재 암호화폐를 법정화폐로 환전해주는 서비스와 디지털 자산 전용 계좌 제공 서비스 출시를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우리는 허가된 거래소를 통해 암호화폐를 법정화폐로 교환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다. 궁극적으로는 고객들이 암호화폐를 홍콩 달러, 중국 위안, 미국 달러로 인출할 수 있도록 돕는 결제은행 역할을 추구할 방침이다. 아울러 ZA은행은 현재 홍콩의 규제 샌드박스를 이용해 웹3 스타트업 등에 온라인 계좌를 제공하고 있다. 다만 이같은 서비스들은 규제 조건을 고려했을 때, 중국 본토에는 제공하지 않을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ZA은행은 중국의 억만장자로 유명한 오우 야핑(Ou Yaping)이 지난 2020년 3월 설립했으며, 홍콩 내 8개 가상자산 은행 중 순자산 규모가 가장 크다.
[NBA탑샷 4/17 NBA 플레이오프 NFT 리뎀션 출시]
NBA탑샷이 2023 NBA 플레이오프 NFT 리뎀션(Redemption)을 미국 동부표준시 4월 17일 오후 1시 출시한다고 공지했다. 각 리뎀션은 1라운드, 컨퍼런스 세미파이널, 컨퍼런스 파이널, NBA 파이널에서 해당 선수의 한정판 모멘트와 1:1로 교환 가능하다.
[홍콩 암호화폐 자산운용사 메탈파, 그레이스케일 신탁 기반 펀드 출시]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홍콩 소재 디지털자산(암호화폐) 자산운용사 메탈파(Metalpha)가 세계 최대 암호화폐 자산운용사 그레이스케일의 암호화폐 신탁 상품 기반 펀드를 홍콩서 출시했다고 12일 발표했다. 펀드의 상환 프로세스 역시 그레이스케일 신탁 상품의 일정을 따른다. 메탈파 측은 "해당 펀드는 지난 3월부터 1억 달러 모금을 목표로 자금 조달을 시작했으며, 현재까지 약 2,000만 달러 조달에 성공했다"고 덧붙였다.
[디파이 프로토콜 센스파이낸스, 아우라서 wstETH·sfrxETH·rETH 풀 출시]
이더리움(ETH) 기반 디파이 프로토콜 센스파이낸스(Sense Finance)가 공식 트위터를 통해 아우라파이낸스(AURA)와 통합, AURA-wstETH-rETH-sfrxETH-rETH 유동성 풀을 출시했다고 12일 발표했다. 사용자는 해당 풀에 자산을 예치하고 유동성 공급에 기여, 고정 금리에 따른 보상을 지급받을 수 있다는 게 센스 측의 설명이다.
[코빗 "샤펠라 업그레이드 후 ETH 대량 매도 가능성 낮아"]
코빗 리서치센터가 보고서를 통해 "샤펠라(Shapella) 업그레이드 이후에도 이더리움(ETH) 매물이 시장에 대량으로 발생할 가능성은 작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코빗 리서치센터는 부분 인출할 수 있는 이더리움이 모두 출금될 때까지의 소요 시간을 먼저 계산한 후 전체 인출되는 상황에 합쳐서 일자별로 최대 인출 가능한 이더리움 수치를 계산했다. 그 결과 스테이킹된 이더리움이 모두 인출될 때까지는 약 1년 5개월 정도의 기간이 걸리는 것으로 추산됐다. 코빗 리서치센터는 매일 이더리움이 최대로 출금되는 상황을 가정해 결과를 산출했기 때문에 이더리움 대량 매물 발생 가능성은 작고, 혹시 실제로 많은 물량이 나오더라도 시장에서 충분히 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삼성 넥스트, 가상화폐 지갑업체 '앱솔루트 랩스' 투자]
상화폐 지갑업체 앱솔루트 랩스는 12일 삼성 넥스트가 참여한 시드 펀딩 라운드를 통해 800만 달러(약 106억 원)를 조달했다고 발표했다. 삼성 넥스트 외에 △아글레 벤처스 △알파 프레토리안 캐피탈 △럭셔리 펀드 △니어 파운데이션 △문페이 △플라사 캐피탈 △펀자 글로벌 벤처스 △스파클 벤처스 △W3i 등이 참여했다. 앱솔루트 랩스는 기존 웹2.0 CRM(고객관계관리) 솔루션이 블록체인 기반 마케팅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지 못한다고 판단, 웹3 CRM을 기반으로 한 WRM 플랫폼을 개발했다. WRM 플랫폼은 기업이 퍼블릭 블록체인에서 지갑 데이터를 수용·활용해 심층적인 데이터 인사이트를 얻고 실행 가능한 세그먼트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NFT(대체불가능토큰) 에어드롭을 포함한 크로스 채널 캠페인을 자동화하고 소셜 커뮤니티 참여를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분석 "BTC 무기한 선물 OI 하룻새 10%↑...변동성 주의"]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비트코인 오퍼튜니티 펀드 매니징 파트너 제임스 라비쉬는 "트레이더들은 이번 주 미국 CPI 수치가 연준이 다음 회의에서 금리 인상을 중단할 이유를 제공할 수 있는 수준으로 나올 수 있다고 추측하고 있다. 이는 비트코인 같은 자산에 상승을 가져올 것이다. 비트코인이 확신을 가지고(with conviction) 계속 상승한다면 3만달러 중후반대로 바로 진입할 수 있으며 숏 커버링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K33 리서치 애널리스트들은 화요일 고객에 보낸 노트에서 "비트코인 무기한 선물 미결제약정(OI) 규모가 월요일 10% 증가한 297,000 BTC를 기록하며 작년 10월 초 이후 일일 최대 미결제약정 증가폭을 기록했다. 이런 경우 변동성이 커졌다. 롱/숏 스퀴즈가 일어나는 경향이 있다. 2022년 봄 랠리, 2021년 7월 숏 스퀴즈 등이 그 예"라고 전했다.
[아르헨티나 증권당국, BTC 선물 계약 첫 출시 승인]
벤징가에 따르면, 아르헨티나 증권 규제기관인 국가증권위원회(CNV)가 아르헨티나 현지 암호화폐 파생상품 거래소 마트바 로펙스(Matba Rofex)의 비트코인 지수 추종 선물 계약 상품 출시를 승인했다. 이는 아르헨티나 당국의 첫 규제 승인이다. 해당 선물 계약은 아르헨티나 페소로 거래되고 청산된다. 이를 통해 아르헨티나 현지 투자자들은 비트코인을 직접 소유하지 않아도 상품에 간접 투자할 수 있다는 게 마트바 측의 설명이다. 이와 관련 미디어는 "아르헨티나에서 첫 비트코인 선물 계약 상품이 규제 승인을 받았다는 것은 현지 자본 시장에 긍정적인 발전"이라며 "변화하는 금융 환경에 적응하고 규제 준수 기업을 위한 혁신 상품 출시를 장려하는 규제 당국의 의지 표명"이라고 진단했다.
[아디다스 산하 NFT 프로젝트, 풀HD 제작 NFT 출시]
아디다스의 NFT 프로젝트인 인디고 허츠(Indigo Herz)가 공식 트위터를 통해 '알트 에고(ALT[er] Ego)' NFT 시리즈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이 시리즈는 풀HD 영상으로 제작된 NFT이며, 인디고 허츠는 조만간 유틸리티 등 구체적 내용에 대해 공개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대선 출마' 존 F 케네디 조카 "BTC, 버블 붕괴시 대중에 탈출구 제공"]
크립토포테이토에 따르면 존 F. 케네디 전 미국 대통령의 조카이자 최근 대선 출마를 선언한 로버트 F 케네디 주니어가 "비트코인(BTC) 둥 암호화폐는 미국 경제에 버블이 터질 때 대중에게 탈출구 역할을 맡을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정부 기관을 무기화 해 일부 은행들이 암호화폐 기업에 타격을 입히도록 하고 있다. 현 정부는 중앙은행 발행 디지털 화폐(CBDC)를 이용해 사회를 감시하고 통제하는 메커니즘을 구축하려고 한다"고 지적했다. 앞서 그는 "CBDC는 금융노예제로 가는 길이며, 이는 정부가 BTC를 금지하는 첫 발을 내딛는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릭 에델만 "BTC보다 ETH 더 많이 보유 중"]
데일리호들에 따르면 미국 유명 투자자이자 작가 릭 에델만(Ric Edelman)이 리얼비전 인터뷰에서 ETH가 상업적으로 더 많은 사례를 만들어낼 수 있다며 현재 BTC보다 ETH를 더 많이 보유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많은 투자자들, 특히 '뉴비'들은 비트코인, 이더리움에 투자하는 게 더 나을 수 있다고 조언했다.
[크립토 '공포·탐욕 지수' 65...탐욕 단계 지속]
암호화폐 데이터 제공 업체 알터너티브(Alternative)의 자체 추산 '공포·탐욕 지수'가 전날보다 3포인트 내린 65를 기록했다. 투심이 소폭 악화됐으며 탐욕 단계가 유지됐다. 해당 지수는 0에 가까울수록 시장의 극단적 공포를 나타내며, 100에 가까울수록 극단적 낙관을 의미한다. 공포 탐욕 지수는 변동성(25%), 거래량(25%), SNS 언급량(15%), 설문조사(15%), 비트코인 시총 비중(10%), 구글 검색량(10%) 등을 기준으로 산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