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현물 ETF 기대감에 GBTC 할인율 '33%'까지...8개월 최저 수준]
블랙록의 비트코인 현물 상장지수펀드(ETF) 소식 이후 그레이스케일 비트코인 신탁(GBTC)의 상환 및 ETF 전환에 대한 낙관론이 확산하면서 GBTC 주가가 급등세를 보였다. 21일 기준 구글파이낸스에 따르면 GBTC는 유통 시장에서 전날 대비 11% 상승한 16.85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지난달 10월 이후 처음 16 달러선을 넘었다. 블랙록 소식 이후 24% 가량 급등했다.
[난센 CEO "SEC 거래소 공격 직후 전통금융 거인들 시장 진입...석연찮다"]
암호화폐 데이터 분석 업체 난센의 최고경영자(CEO) 알렉스 스바네빅(Alex Svanevik)이 트위터를 통해 "게리 겐슬러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위원장이 미국에서 암호화폐 거래소들을 쫓아내고 있는 가운데 전통금융 거인들이 암호화폐 시장 진입을 본격화하고 있다. 이를 단순히 우연의 일치라고 할 수 있을까"라고 밝혔다. 운용자산 1경 규모인 블랙록과 미국 자산운용사 위즈덤트리(WisdomTree), 그리고 미국 투자회사 인베스코(Invesco)는 최근 SEC에 비트코인 현물 ETF 상장 신청서를 제출한 바 있다.
[레이어3 프로젝트 옵사이드, 라이트 페이퍼 V2 발표]
영지식 증명(ZK) 롤업 레이어3 서비스 제공 프로젝트 옵사이드(Opside)가 공식 채널을 통해 라이트 페이퍼 V2를 발표했다. 라이트페이퍼 V2에는 옵사이드의 ZK롤업 확장 및 탈중앙화 방식에 대한 내용이 담겼다. 아울러 옵사이드는 "추후 자체 토큰인 IDE를 통해 네트워크 활성화를 촉진하고, 밸리데이터가 해당 토큰을 스테이킹해 네트워크 보안을 유지하도록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인베스코, SEC에 BTC 현물 ETF 출시 승인 재도전]
비트코인매거진에 따르면 약 1.49조 달러 규모의 자산을 운용 중인 미국 투자회사 인베스코(Invesco)가 자체 비트코인 현물 ETF 신청 절차를 재개했다. 인베스코는 지난 2021년 암호화폐 금융 서비스 및 투자운용사 갤럭시 디지털(Galaxy Digital)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비트코인 현물 기반 ETF 출시 승인 신청서를 제출했지만, 같은해 10월 경 해당 계획을 철회한 바 있다.
[휴먼스케이프, 최고기술책임자에 메타 출신 영입]
디지털 헬스 스타트업 휴먼스케이프가 장재환 전 메타 CTC(Community Trending&Culture) 개발총괄을 최고기술책임자(CTO)로 영입했다고 21일 밝혔다고 데일리팜이 전했다. 신임 장 CTO는 미국 실리콘밸리 소재 빅테크 기업인 메타에서 영상검색, 해시태그, Trending, 증강현실(OpenXR) 등을 주도한 기술 전문가로 꼽힌다. 장 CTO는 휴먼스케이프에서 기술과 제품개발 조직을 총괄할 예정이다.
[분석 "BTC·ETH 가격 상승에 암호화폐 거래량 전주 대비 30%↑"]
암호화폐 온체인 분석 플랫폼 샌티멘트(Santiment)가 공식 트위터를 통해 "비트코인(BTC)이 28,800 달러를, 이더리움(ETH)이 1,820 달러를 상회하면서 암호화폐 시장 전반에 상승 분위기가 연출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샌티멘트가 모니터링하는 2,648개 암호화폐의 전체 거래량은 지난주 대비 30% 이상 증가했다. 또 SNS 상에서 암호화폐에 대한 언급도 뚜렷하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파라파이 캐피털 추정 주소, $764만 상당 MKR 코인베이스로 이체]
암호화폐 온체인 애널리스트 비트코인엠버에 따르면, 암호화폐 투자사 파라파이 캐피털(ParaFi Capital)이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주소가 21일 오전 9시 45분경 1만 MKR(764만 달러 상당)를 코인베이스로 이체했다. 해당 주소는 2021년 5월부터 지난해 6월 사이 1만 3148 MKR을 매수했으며 꾸준히 MKR을 거래소로 입금한 바 있다.
[지난 24시간 약 1.53억 달러 상당 암호화폐 선물 강제 청산]
코인글래스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 24시간 약 1억 5,333만 달러 상당의 암호화폐 선물 포지션이 강제 청산된 것으로 나타났다. 강제 청산된 선물 포지션 중 약 78.15%는 숏 포지션이었다. 청산액 기준 바이낸스에서 가장 많은 5,038만 달러가 청산됐으며, OKX에서 그 다음으로 많은 4,762만 달러가 청산됐다. BTC 선물에서만 지난 24시간동안 7,229만 달러가 청산됐다. 한편 지난 1시간 기준 강제 청산된 선물 포지션 중 숏 포지션의 비중은 약 90%를 기록하고 있다.
[그레이스케일 GBTC 마이너스 프리미엄 회복세 '-36% 수준']
코인글래스에 따르면 글로벌 최대 가상자산 자산 운용사 그레이스케일의 비트코인 신탁 상품의 프리미엄이 -(마이너스) 36.60%를 기록하고 있다. 이는 지난 2022년 12월 최고 할인율을 기록했던 -48.89% 대비 약 25.1% 회복된 수치다. 이외에 그레이스케일 ETH 신탁 상품의 마이너스 프리미엄은 -52.76%, ETC는 -59.97%, LTC는 -44.43%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BTC, 29,000 달러 일시 회복...약 1개월 반 만]
코인니스 마켓 모니터링에 따르면, BTC가 상승폭을 확대하며 29,000 달러선을 일시 회복했다. 지난 5월 7일 이후 약 1개월 반 만이다. 바이낸스 USDT 마켓 기준 BTC는 현재 상승폭을 일부 반납해 28,900 달러 부근에서 거래되고 있다.
[특정 고래주소, 지난주부터 크라켄에서 $4460만 상당 ETH 출금]
룩온체인에 따르면 특정 고래 주소(0x2c74)가 9시간 전 크라켄에서 230만 달러 상당의 1,269 ETH를 출금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주소는 지난주에만 크라켄에서 23,660 ETH를 인출한 바 있다. 이에 따라 현재까지 총 출금량은 24,930 ETH($4,460만)로 집계됐다.
['반려견 플랫폼 개발 코인' 미끼로 1600억 챙긴 일당 검거]
서울경제에 따르면 경기남부경찰청 광역수사단 반부패·경제범죄수사대는 반려견 플랫폼 개발 사업을 빙자해 가상자산에 투자할 경우 고수익을 얻을 수 있다고 투자자들을 속여 1년여간 1664억원 상당 투자금을 모집한 다단계 조직 관련자 67명을 검거하고 지난 5월 관련자 3명을 구속했다. 이들은 전국 62개 다단계 판매 지점을 만들어 영업해 총 5만여개 계정을 모집한 혐의를 받는다. 경찰은 지난 5월 대표 등 관련자 3명을 구속하고 범죄 수익금을 83억원으로 분석, 기소 전 추징보전했다.
[아스타리아 "보안 취약점 문제로 신규대출 중단...고객 자금은 안전"]
전 스시 CTO 조셉 드롱(Joseph Delong)이 공동 창립한 NFT 대출 플랫폼 아스타리아(Astaria)가 트위터를 통해 "20일 13시 42분(한국시간) 스마트 컨트랙트 생성 과정에서 공격자가 비콘을 조작할 수 있는 문제점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화이트햇 보안 전문가들과 복구 스크립트를 실행해 모든 LP, 차입자의 ERC-20과 ERC-721토큰을 복구했다. 모든 이용자 자금과 NFT는 안전하며 신규 대출은 일시 중단했다"고 설명했다.
[아즈키 "공식 SNS 계정 해킹 사건, FBI에 수사의뢰"]
NFT 프로젝트 아즈키(Azuki)가 트위터를 통해 "지난 4월 발생했던 우리의 인스타그램 공식 채널 해킹 사건에 대해 미국 연방수사국(FBI)에 정식으로 수사를 요청했다"고 밝혔다. 아즈키는 "우리의 SNS 계정은 앞으로도 해커의 표적이 될 수 있다. 이에 이용자들의 각별한 주의를 당부한다. 트위터와 디스코드, 인스타그램 등 모든 공식 채널에 동시에 올라온 소식은 공식 발표이니, 그 외에 다른 정보에는 유의해달라"고 설명했다. 앞서 아즈키는 지난 4월 인스타그램 계정을 해킹 당했다가 이틀 만에 복구한 바 있다.
[코인베이스 CLO "법원, '암호화폐 규제법 제정' 청원 관할권 유지 결정"]
미국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의 폴 그레왈(Paul Grewal) 최고법률책임자(CLO)가 트위터를 통해 "제3순회항소법원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게 '암호화폐 규제법 제정' 관련 답변을 요청한 코인베이스의 이의제기 신청에 대한 관할권을 유지하겠다고 결정했다. 이에 따라 120일 이내에 추가 보고서를 법원에 제출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깜깜이 운영으로 일관해온 SEC의 절차를 문제삼을 수 있도록 한 법원의 결정에 감사하게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난센 "규제 명확성·인플레이션, 암호화폐 강세장 진입 선결조건"]
더블록에 따르면 암호화폐 데이터 분석 업체 난센이 보고서를 통해 "암호화폐 강세장이 시작되기 위해서는 규제 명확성 확보와 인플레이션 해결이라는 두 가지 조건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현재 BTC 매도세는 잦아든 상태고, 변동성도 줄어들고 있다는 것은 거시적 악재가 이미 가격에 충분히 반영됐음을 시사한다. 경기 침체 시나리오는 다소 설득력을 잃어가고 있으며 인플레이션은 여전히 높은 수준에 머물고 있다. 이는 암호화폐 등 위험자산에 대한 역풍을 야기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분석 "레이어X 캐피털, $900만 상당 MATIC 스테이킹"]
온체인 분석 업체 룩온체인에 따르면 블록체인 투자업체 레이어X 캐피털(LayerX Capital)이 소유한 것으로 추정되는 주소가 약 5시간 전 바이낸스에서 235만 MATIC(148만 달러 상당)을 출금한 뒤 다시 총 1436만 MATIC(900만 달러 상당)을 스테이킹한 것으로 전해졌다.
[재생에너지 관련 블록체인 에너지웹, 폴카닷 마이그레이션 추진]
블록웍스에 따르면, 이더리움 버추얼 머신(EVM) 기반 재생에너지 초점 블록체인 프로젝트 에너지웹(EWT)이 폴카닷(DOT)으로의 마이그레이션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탈탄소화(탄소중립) 제품군을 확장한다는 게 에너지웹 측의 설명이다. 제시 모리스(Jessie Morris) 에너지웹 최고경영자(CEO)는 이와 관련 "폴카닷 마이그레이션은 웹3 서비스를 구축하기 위한 유연성을 확보하는 것이 목표"라며 "폴카닷 파라체인 슬롯 경매에도 참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EWT는 현재 5.44% 오른 2.74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프랭클린 템플턴 "BTC·ETH, 디지털자산 발전 초석일뿐"]
CNBC에 따르면 미국 투자금융사 프랭클린 템플턴의 디지털 자산 부문 이사인 로저 배이스턴(Roger Bayston)이 "비트코인(BTC)·이더리움(ETH)은 디지털자산 생태계 역사에 있어 시작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그는 "블록체인은 디지털자산 생태계 성장의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다. 블록체인 기술이 없는 디지털 시대는 상상하기 어렵다. 미래에는 블록체인 기술을 모든 네트워크에 기본적으로 탑재해 경제 발전과 안정성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을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데이터 "바이낸스US·코인베이스 시장 점유율 하락"]
암호화폐 리서치 업체 카이코(Kaiko)가 트위터를 통해 "바이낸스US 시장 점유율이 1%대로 하락했고, 코인베이스는 2023년 초 56%에서 현재 50.5%까지 하락했다. LMAX, 비트스탬프, 크라켄 등 여타 거래소들의 시장 점유율은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미국 암호화폐 거래소 시장은 어느 때보다 혼란스러운 상황"이라고 전했다.
[아발란체 개발사, 챗GPT 기반 챗봇 출시]
디크립트에 따르면 레이어1 블록체인 아발란체(AVAX) 개발사 아바랩스(Ava Labs)가 챗GPT 기반의 챗봇 아바GPT(AvaGPT)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해당 챗봇은 아발란체와 관련된 질문에 대해서만 답변 가능하다. 개발팀은 현재 반응 속도 개선 작업을 진행 중에 있다. 코인마켓캡 기준 AVAX는 현재 5.43% 오른 12.08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크립토 '공포·탐욕 지수' 59... 40여일 만에 탐욕 단계 회복]
암호화폐 데이터 제공 업체 알터너티브(Alternative)의 자체 추산 '공포·탐욕 지수'가 전날보다 10포인트 오른 59를 기록했다. 투심이 뚜렷하게 개선되며 중립 단계에서 탐욕 단계로 올라섰다. 탐욕 단계 회복은 지난 5월 9일 이후 약 40여일 만이다. 해당 지수는 0에 가까울수록 시장의 극단적 공포를 나타내며, 100에 가까울수록 극단적 낙관을 의미한다. 공포 탐욕 지수는 변동성(25%), 거래량(25%), SNS 언급량(15%), 설문조사(15%), 비트코인 시총 비중(10%), 구글 검색량(10%) 등을 기준으로 산출된다.
[블랙록 이어 위즈덤트리도 BTC 현물 ETF 신청서 제출]
비트코인매거진에 따르면 미국 자산운용사 위즈덤트리(WisdomTree)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위즈덤트리 비트코인 트러스트(WisdomTree Bitcoin Trust) 상장 신청서를 제출했다. 미디어는 "해당 상품 이름에는 '트러스트'가 들어가지만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면 비트코인 현물 ETF와 유사하다. 기관 승인을 받으면 CBOE 산하 증권 거래소 BZX(CBOE BZX Exchange)에 상장된다. 블랙록에 이어 위즈덤트리까지 비트코인 현물 ETF를 신청하면서 전통금융 분야의 암호화폐 시장 진입이 가시화 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앞서 블랙록은 지난 15일(현지시간) SEC에 현물 기반 BTC ETF 'iShares Bitcoin Trust' 출시 신청서를 제출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