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웹3.0 산업 육성 위한 태스크포스 조직]
홍콩 정부가 웹3.0 개발을 촉진하기 위한 태스크포스를 설립했다고 지난달 30일(현지시간) 공식 발표했다. 홍콩 재무장관이 태스크포스의 의장을 맡으며 그외 주요 정부 및 금융 당국 관계자 10명과 업계 전문가 15명이 참여한다. 업계 전문가 15명의 임기는 이달 1일부터 2년 동안 유지된다.
[월 스트리트 밈즈, 프리세일로 140억원 모금]
코인데스크코리아에 따르면 월 스트리트 밈즈(Wall Street Memes)가 한달여 만에 약 140억원($1090만)를 모금했다고 3일 밝혔다. WSM은 총공급량의 50%를 프리세일에서 판매하고 30%는 커뮤니티 보상, 10%는 중앙화 거래소 유동성, 10%는 탈중앙화 거래소(DEX) 유동성 공급 물량으로 할당했다. 그간 구축해온 100만명 규모의 커뮤니티를 기반으로 140억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할 수 있었다는 것이 WSM 측의 설명이다.
[스페이스ID, 310만 ID 바이백]
BNB체인 기반 도메인 서비스 제공업체 스페이스ID(ID)가 공식 트위터를 통해 3,107,377.8 ID 규모의 바이백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스페이스ID는 이번 바이백 및 소각에 1,031,115.4 달러 상당의 스테이블 코인을 활용했다고 덧붙였다.
[아즈키DAO, 설립자 '엘리멘탈 판매수익' 회수 제안]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아즈키DAO 커뮤니티가 프로젝트 설립자 자가본드(Zagabond)로부터 새 NFT 시리즈 엘리멘탈에 대한 수익(2만 ETH)을 회수하자는 내용의 거버넌스 제안을 발의했다. 현재 찬성율 88.1%를 기록하고 있다. 해당 제안은 오늘 16시경 종료될 예정이다. 미디어는 "현재 아즈키 팀은 엘리멘탈 출시 이후, 짧은 사전판매 기간과 차별화 부족 등의 비판을 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앞서 더블록은 지난달 30일 아즈키 엘리멘탈 NFT 출시 이후 기존 시리즈 홀더들이 대량 매도에 나서고 있다고 보도한 바 있다.
[바이낸스, 오늘 PENDLE 이노베이션존 상장]
바이낸스가 오늘 19시 펜들(PENDLE)을 이노베이션존에 상장한다고 공지했다. 지원 거래 페어는 PENDLE/BTC, PENDLE/USDT, PENDLE/TUSD다.
[코인베이스 인스티튜셔널 "AI 관련 코인, 장기 관점서 우상향 전망"]
미국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 산하 기관 전용 솔루션 코인베이스 인스티튜셔널(Coinbase Institutional)이 보고서를 통해 "인공지능(AI) 관련 암호화폐가 장기적 관점에서 폭발적인 성장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AI 관련 암호화폐로 분류되는 코인들의 시가총액은 이미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다. 물론 시총 기준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0.07%로, 디파이, 스테이블코인, 비트코인 등 주류와 비교해서는 아직 미미하다. 그럼에도 AI와 암호화폐가 아직 개발 초기 단계라는 점을 고려하면 앞으로의 성장성은 기대할만 하다. AI와 암호화폐 분야의 교집합은 웹3 기업들에게도 중요한 기회를 제공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코빗, 7/5 ZIL 입출금 일시중단]
코빗이 질리카(ZIL) 네트워크 업그레이드로 인해 오는 5일 12시 ZIL 입출금을 일시 중단한다고 공지했다.
[벨라루스, 해외 거래소 이용 개인 간 암호화폐 거래 금지]
벨라루스 정부가 자국 거래소를 제외한 기타 거래소에서의 개인 간 암호화폐 거래를 금지할 것이라고 중국 유력 매체 펑파이(澎湃)가 러시아 인테르팍스를 인용해 보도했다. 벨라루스 내무부는 "암호화폐 거래 감독 강화를 위해 벨라루스 하이테크파크(HTP) 거래소를 통해서만 암호화폐 거래를 가능하게 할 것"이라고 밝혔다. 벨라루스 사이버 범죄 당국은 올 상반기에만 암호화폐 관련 불법 서비스 27건을 적발했으며, 해당 사건에서 발생한 불법 수익은 총 6315만 달러에 달했다고 설명했다. 벨라루스 정부는 2021년 12월 암호화폐 거래를 합법화했지만, 최근에는 자금세탁 등 범죄 근절을 우선시하겠다며 입장을 선회했다.
[벤드다오 커뮤니티, 'NFT 경매에 DAO 자금 사용' 거버넌스 제안]
스냅샷 페이지에 따르면 NFT 담보 암호화폐 대출 프로토콜 벤드다오(BEND) 커뮤니티가 ETH, USDT를 포함한 다오의 자금을 NFT경매 참여에 사용하자는 거버넌스 제안을 투표에 부쳤다. 이 제안은 사용자 신뢰를 높이고 시장 안정성을 유지하는데 목적을 둔다. 현재 100% 찬성률로 투표가 진행중이며, 오는 6일 종료될 예정이다.
[트론, 메인넷 업그레이드 버전 '그레이트보이지' 출시]
트론(TRX)이 공식 블로그를 통해 메인넷 업그레이드 버전 그레이트보이지(GreatVoyage) v4.7.2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해당 버전은 스테이킹 2.0, P2P 네트워크 등의 기능을 개선한 것이 특징이라고 트론은 설명했다.
[BAYC 고래 제프리 황, 오늘 새벽 38개 MAYC 매도]
이더스캔 데이터에 따르면 BAYC 계열 NFT 고래이자 대만 유명 가수인 제프리 황(Jeffrey Huang) 추정 주소(machibigbrother.eth)가 약 6시간 전 블러에서 38개 MAYC를 194.79 ETH에 매도했다.
[보안업체 "'해킹 피해' 폴리네트워크, 개인키 4개 중 3개 유출 가능성"]
블록체인 보안 업체 디도브(Dedaub) 공동설립자 네빌 그레치(Neville Grech)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탈중앙화 크로스체인 디파이 플랫폼 폴리네트워크(POLY) 해킹 사건은 보약 취약점이 아닌 관리자의 개인키 분실이 원인일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폴리네트워크의 코드를 분석한 결과, 네트워크 관리자 4명 중 3명의 개인키가 유출됐거나 도난 당했을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한 정확한 물증까지 제시할 수는 없으나 현재로서는 가장 설득력 있는 주장"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폴리네트워크는 해킹 공격에 노출돼 일시적으로 서비스를 중단한다고 밝힌 바 있다.
[6월 227만 달러 규모 NFT 도난... 전월 대비 23%↓]
펙실드가 트위터를 통해 "6월 도난된 NFT 규모는 227만 달러로, 전월 대비 23% 감소했다"고 밝혔다. 이어 "도난된 NFT의 절반은 2시간 40분 이내에 판매됐으며, 판매된 NFT 중 86%는 블러, 13.76%는 오픈씨에서 판매됐다"고 부연했다.
[홍콩 투자자금융교육위원회, 무허가 암호화폐 거래소 이용 주의 당부]
홍콩 투자자금융교육위원회(IFEC)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미승인 암호화폐 거래소 이용에 대한 주의를 당부했다. IFEC는 "홍콩 암호화페 거래 플랫폼에 대한 새로운 규제가 6월 1일부터 시행됐지만, 홍콩 증권선물위원회(SFC)는 아직 개인 투자자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암호화폐 거래 플랫폼을 승인하지 않았다. 현재 이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거래소는 라이선스를 취득한 거래소가 아니기 때문에 유의해야 한다"고 전했다. 해외 거래소에 대해서도 "일부 플랫폼은 해외 당국 허가를 받았을 수 있지만, 각 국가별 승인 기준이 다르다. 일부 지역은 투자자 보호 조치 없이 가벼운 규제만 적용할 수 있다. 홍콩 라이선스가 없는 거래소에서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 당국은 지원이 어려울 수 있다"고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