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건크릭 공동창업자 "SEC, BTC 현물 ETF 승인 결정해야 할 때"]
크립토베이직에 따르면 모건크릭디지털애셋 창업자 앤서니 폼플리아노(Anthony Pompliano)가 최근 CNBC 스쿼크 박스와의 인터뷰에서 "비트코인은 올해 상반기 가장 좋은 성적을 낸 자산"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그는 블랙록, 피델리티 등 금융 기관들의 비트코인 현물 ETF 출시 신청과 관련 "현재 월가는 비트코인에 대해 관심을 표현하며, 문을 두드리는 중이다.이제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어떤 신청서를 승인해야 할지 결정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앞서 미국 SEC는 블랙록 등 금융기관이 제출한 비트코인 현물 ETF 출시 관련 자료가 불충분하다고 지적했고, 피델리티 등은 신청서를 업데이트해 ETF를 재신청한 바 있다.
[지난주 이더리움 기반 NFT 거래량 전주 대비 63%↑]
더블록 데이터에 따르면 이더리움 기반 NFT 거래량이 88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전주 대비 63% 증가한 수치다. 이는 지난 2월 마지막 주(전주 대비 109% 증가) 이후 약 4개월 만에 가장 큰 주간 거래량 증가폭이다. 아즈키의 새로운 NFT 시리즈 아즈키 엘리멘탈 거래 규모가 3,650만 달러를 기록하면서 가장 큰 점유율을 차지했다. 다만 엘리멘탈 NFT 시리즈는 기존 NFT 시리즈와 유사하다는 비판이 제기돼 논란을 겪고 있다.
[NFT 대출 파라스페이스, 아주키 담보 대출 12건 청산 중단]
NFT 대출 프로토콜 파라스페이스가 12건의 아주키(Azuki) 담보 대출 청산을 중단하면서, 관련 채무 금액이 46만 달러에 육박하고 있다.
[2Q 글로벌 거래소 현물 거래량 반토막...한국 나홀로 6월 급증]
카이코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 2분기 암호화폐 현물 거래량이 2021년 이후 가장 적은 수준까지 줄었다.바이낸스가 70% 이상 급감했고, 코인베이스, 크라켄, OKX, 후오비 등의 현물 거래량도 50% 이상 줄었다. 반면 6월 마지막주 한국 주요 거래소의 거래량은 하루 기준 40억 달러 이상으로 급증했다.
[마이크로스트래티지 주가 52주 신고가]
152,333 BTC를 보유한 나스닥 상장사 마이크로스트래티지 주가가 52주 신고가($367.99)를 터치했다. 현재 6.47% 오른 $364.57에 거래 중이다. 코인베이스 주가도 현재 9.53% 오른 $78.38에 거래되고 있다.
[이더스캔, 신규 도메인 검색 기능 추가]
이더리움 블록 익스플로러 이더스캔이 새로운 이더리움 도메인 검색 서비스를 추가했다고 밝혔다.
[보고서 "상반기 블록체인 보안 사고 피해액, 전년비 54% 감소"]
슬로우미스트는 상반기 블록체인 업계 보안 사고가 185건으로 집계됐으며 이로 인한 피해액은 $9.2억이라고 전했다. 2022년 상반기(187건, 피해액 $20억) 대비 손실 규모가 54% 감소했다. 보안 사고 유형 중 디파이/NFT/브릿지 사고 건수가 131건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거래소, 퍼블릭체인, 지갑 관련 보안 사고는 각각 7건, 10건, 5건으로 집계됐다.
[DYDX 큰 손 윈터뮤트, 130만 달러 규모 DYDX 거래소로 이체]
룩온체인에 따르면 마켓메이킹 업체 윈터뮤트 트레이딩이 지난 4시간 동안 653,295 DYDX를 거래소로 입금했다. 약 137만 달러 상당이다. 윈터뮤트 월렛에는 250만 DYDX가 남아있다.
[英 법률 위원회 "암호화폐, 새로운 개인 재산 범주로 다뤄야"]
영국 법률 위원회가 암호화폐의 고유 특성을 받아들이고, 이용자를 보호하기 위해 '별도의' 개인 재산 범주를 새롭게 만들어야 한다고 밝혔다.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영국 법률 위원회는 최근 암호화폐 사용과 소유권 관련 법 개정을 위한 4대 권고안을 발표했다. 위원회는 암호화폐가 탄소 배출권이나 수출 할당량과 마찬가지로 새로운 개인 자산 범주를 통해 특별한 접근 방식이 허용되어야 한다고 진단했다. 위원회는 이외에도 암호화폐에 대한 구속력 없는 조언을 제공하기 위해 기술 전문가, 법률 실무자, 학자 등으로 구성된 전문 위원회를 구성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영국 법률 위원회는 지난 2022년 말 법무부의 요청으로 암호화폐와 관련된 법적 문제에 대한 검토에 착수했다.
[월스트리트저널 "中 인민은행 1인자 내정자, 대표적인 암호화폐 회의론자"]
중국 인민은행의 1인자 격인 당서기로 판궁셩(59) 인민은행 부행장이 임명된 가운데, 그가 대표적인 비트코인 및 암호화폐 회의론자라고 월스트리트저널이 분석했다. 미디어에 따르면 판궁셩 당서기 임명자는 과거 당 중앙 인터넷 금융 리스크 해결을 총 지휘하며 암호화폐 기업 규제 및 중국 내 암호화폐 사용 단속 등을 총괄한 바 있다. 실제로 그는 2017년 한 행사에서 "언젠가 비트코인의 시체가 강가에 떠돌 것"이라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월스트리트저널은 "그의 임명이 홍콩 암호화폐 시장에 대한 긍정적인 신호에도 불구하고 중국의 암호화폐 부활에 찬물을 끼얹었다"고 진단했다.
[클린스파크, 6월 491 BTC 채굴…413 BTC 매도]
미국 비트코인 채굴업체 클린스파크가 6월 491 BTC를 채굴했다고 발표했다. 6월 매도량은 413 BTC다. 클린스파크의 올해 누적 채굴량은 3,495 BTC, 현재 보유량은 529 BTC로 집계됐다.
[카사 CTO "게리 겐슬러 사임 루머 유포자, 전문 크립토 스캐머 팀"]
제임슨 롭 카사 CTO가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게리 겐슬러 SEC 위원장이 사임했다는 루머는 지금까지 내가 수년간 경고해 온 사기꾼들이다. 이들은 whale(고래)이 들어가는 다수의 계정을 운영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해당 계정을 분석한 글을 공유했다. 해당 글을 보면 이들은 CryptoWhale_, WhaleCircle,BitHades, CryptoWelson, WelsonTrader, ParrotCapital, CryptoRandy, Bitmanny, RoryCapital, Jacob~등 12개 이상의 계정과 34개 이상의 ID를 사용하여 가짜 에어드랍과 투자 자문을 진행해 온것으로 추정된다.
[분석 "BTC 장기 홀더 보유량, 역대 최대 규모 근접"]
글래스노드는 "비트코인 장기 홀더들의 보유량이 지난 602일 동안 1.01만 BTC 늘었다. 이로써 장기 홀더 보유량은 1447만 BTC를 기록 중인데, 이는 역대 최대치(1449만 BTC)보다 고작 2만 BTC 적은 수치"라고 트윗했다.
[애니모카브랜드 창업자, 홍콩 재무장관 주재 웹3 TF 합류]
얏 시우 애니모카드랜드 창업자가 홍콩 정부가 새롭게 출범한 웹3 산업 성장 TF 조직인 웹3 발전 소조 위원으로 임명됐다. 웹3 발전 소조는 홍콩 재정사(재무부) 사장이 주석직을 맡아 총괄하며, 15명의 비관료 시장 관계자, 정부 주요 인사, 금융 기관 대표자들로 구성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