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토큰포스트 오후 브리핑] 토큰화 채권 시장 6억 달러 넘었다..."전통금융 수익 기회 활용" 外

프로필
토큰포스트 기자
댓글 9
좋아요 비화설화 0
 사진 = 미국 국채·채권·현금 등가물 토큰화 시장 데이터 / RWA.xyz

사진 = 미국 국채·채권·현금 등가물 토큰화 시장 데이터 / RWA.xyz

[토큰화 채권 시장 6억 달러 넘었다..."전통금융 수익 기회 활용"]

암호화폐 투자자들이 전통 금융 수익 기회를 적극 활용하면서 토큰화(Tokenized)된 채권 시장의 규모가 6억 달러를 넘어섰다. 12일 기준 실물 자산 데이터 분석 기업 'RWA.xyz'에 따르면 미 재무부 채권, 일반 채권, 머니마켓펀드(MMF)를 토큰 형태로 전환한 블록체인 기반 투자 상품의 시장 가치가 총 6억1757만 달러(한화 약 7980억원)를 기록하고 있다. 저위험 투자로 간주되는 미국 국채 수익률이 탈중앙화금융(DeFi, 디파이) 수익률을 앞지르면서 암호화폐 투자자 사이에서 토큰화 채권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증가한 모습이다.

[리네아 "리네아 보야주 참가자 대상 NFT 지급"]

컨센시스의 zkEVM 이더리움 레이어2 네트워크 리네아(Linea)가 미러(Mirror)를 통해 "오는 18일 메인넷에서 리네아 보야주(Linea Voyage) 참가자들에게 NFT를 보상으로 지급하겠다"고 밝혔다. 리네아 보야주는 메인넷 출시 기념 포인트 적립 프로그램으로 지난 5월 3일 시작됐다. 리네아는 "테스트 기간 동안 520만개 주소가 새롭게 늘었고, 3천만건 이상 트랜잭션을 처리했다. 모든 참가자들은 기여 증명 NFT를 발행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리네아는 이번 주 내로 이더리움 메인넷에서 리네아를 가동할 계획이다. 앞서 코인니스는 리네아가 알파 메인넷에서 출시됐다고 전한 바 있다.

[FTX "고객 클레임 접수 웹사이트 복원 작업 마무리"]

파산한 암호화폐 거래소 FTX가 공식 트위터를 통해 "현재 접속이 불가능한 고객 클레임 웹 사이트 복원 작업을 거의 마무리했다. 포털이 다시 가동되면 공식 채널을 통해 안내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유명 애널리스트 "빗썸보다 업비트가 낫다?...북한 요원들만 해당"]

블록체인 투자사 시니하인벤처스(Cinneamhain Ventures)의 파트너 애널리스트인 아담 코크란(Adam Cochran)이 트위터에서 '사용할 수만 있다면 빗썸보다는 업비트가 낫다'는 한 트윗에 "그건 북한 평양에 있는 요원에게만 해당된다(That’s just for Pyongyang agent)"고 밝혔다. 그는 해당 글을 게시하기에 앞서 자신의 트위터에 "다소 리스크가 있지만 빗썸과 비트플라이어, 쿠코인은 꽤 괜찮은 거래소"라고 트윗했다. 한 트위터 유저가 "한국의 거래소들은 외국인이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업비트는 2019년 12월부터 외국인의 출금을 막기 시작했고, 실제로 내 친구들은 업비트에 자금이 묶이기도 했다"고 하자 아담 코크란은 "나를 믿어도 된다. 나는 (빗썸을) 이용해 본 적 있다"고 답했다.

[그레이스케일 CEO "현물 ETF, BTC 지속가능성에 타당성 부여"]

더블록에 따르면 세계 최대 암호화폐 자산운용사 그레이스케일(Grayscale Investments) 최고경영자(CEO)인 마이클 소넨샤인(Michael Sonnenshein)이 CNBC 인터뷰를 통해 "대형 금융사들의 비트코인(BTC) 현물 ETF 신청은 검증의 순간이 될 것이다. 세계에서 가장 큰 자산운용사(블랙록)이 암호화폐 발전을 위해 노력하겠다는 것은 BTC의 자산 클래스와 지속력에 타당성을 부여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지난해 그레이스케일이 신청했다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거부된 GBTC의 ETF 전환 소송과 관련해서도 "GBTC가 ETF 전환에 성공한다면 수십억 달러의 투자금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고, 투자자들도 추가적인 보호를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LG유플러스, 무너크루 NFT 3차 민팅 진행]

LG유플러스가 공식 채널을 통해 12일 팔라 플랫폼에서 무너크루 NFT의 3차 민팅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무너크루는 반전무너, 반전무너크루 등 총 4가지 등급으로 구성되며, 3차 민팅으로 총 2,000개가 발행된다. 그중 1,700개가 판매되며, 나머지 300개는 마케팅 및 경품으로 활용된다. LG유플러스는 해당 무너 캐릭터의 2차 창작과 상업적 권한 등을 제공한다.

[블록파이 조사보고서 "FTX 대출 과정서 불법 소지 없어"]

블룸버그 통신이 법원 문서를 인용해 챕터11 파산 보호를 신청한 암호화폐 대출업체 블록파이(BlockFi)가 과거 FTX에 자금을 융통해 주는 과정에서 불법성을 인정할 만한 요소는 없었다는 내용의 조사 보고서가 제출됐다고 보도했다. 블록파이 사외이사들은 7개월 간 조사 끝에 보고서를 내고 "블록파이는 대출 승인 전 충분한 실사를 진행했으며, FTX와 알라메다 리서치가 사기 기업이었기 때문에 결국 부실 사태를 맞은 것으로 최종 조사됐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블록파이 측은 공동설립자 잭 프린스(Zac Prince)와 플로리 마르케스(Flori Marquez)의 FTX 및 3AC 소송 협조에 잠정 합의했다. 이들이 주요 증인으로 출석하고, 블록파이에 보관 중인 개인 자산의 권리를 포기한다는 내용이다. 아울러 잭 프린스 등은 블록파이에 현금 220만 달러를 제공하는 데도 합의했다. 단, 법원이 승인해야 이 합의는 효력을 발휘한다.

[FTX 고객자금 청구 증명서 제출용 웹 사이트 1시간 만에 닫혀]

복수 외신에 따르면 암호화폐 거래소 FTX의 고객 클레임 웹 사이트가 오픈 1시간여 만에 닫힌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FTX는 해당 사이트를 통해 FTX.com, FTX.us, Blockfolio, FTX EU, FTX JP, Liquid 계정을 보유한 고객이 자금 청구 증명서(증거)를 제출하도록 공지했다. 12일 오전 9시 30분(한국시간) 현재까지 사이트는 열리지 않고 있다. 앞서 미국 파산법원은 FTX 고객의 자금 청구 증명서 제출 기한을 9월 29일(현지시간)로 확정했다고 전한 바 있다.

[코인원, 오늘 PENDLE 원화마켓 상장]

코인원이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오늘 원화마켓에 펜들(PENDLE)을 상장한다고 공지했다.

['비트코인 마약 거래' 실크로드 핵심 운영자 징역 20년형 선고]

다크웹 실크로드(Silk Road) 핵심 운영진 중 한 명인 토마스 클라크(Thomas Clark)가 뉴욕 남부지법에서 징역 20년을 선고받았다고 블록웍스가 전했다. 법원은 클라크의 마약 거래와 살인 청부 등 혐의가 인정된다며 추가로 160만 달러 범죄 이익을 몰수하도록 했다. 실크로드는 비트코인을 통해 마약 등 불법 물품을 거래할 수 있었던 다크웹으로 2013년 FBI에 의해 폐쇄됐다. 앞서 실크로드(Silk Road) 설립자 로스 울브리히트(Ross Ulbricht)은 종신형을 선고받았다.

[러시아 하원, 디지털 루블 도입 법안 통과]

블록웍스가 복수의 현지 언론을 인용해 러시아 두마(하원)가 중앙은행 발행 디지털화폐(CBDC)인 디지털 루블 도입 법안을 통과시켰다고 보도했다. 이 법안은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이 서명하면 발효될 예정이다. 법안은 디지털 루블 플랫폼 운영자를 러시아 중앙은행으로 명시하고, 오는 2024년 12월 31일까지 사용자 범위, 거래 유형 등을 규정한다는 내용이 담겨있다. 앞서 로이터 통신은 러시아 중앙은행이 오는 8월부터 실제 소비자를 대상으로 디지털 루블 테스트를 진행한다고 발표했다고 보도한 바 있다.

[컴파운드 CEO "디파이 수익률 하락, 전통 금융 토큰화 가속될 것"]

컴파운드 최고경영자(CEO) 로버트 레슈너(Robert Leshner)가 디파이 수익률 하락에 따라 전통 자산의 토큰화가 가속될 것이라고 블록웍스 팟캐스트를 통해 전망했다. 그는 지난달 이더리움 블록체인을 2차 기록 보관 툴로 사용하는 단기 국채 펀드를 조성하는 새로운 기업 슈퍼스테이트(Superstate) 설립 신청서를 제출했으며, 슈퍼스테이트는 전통 자산 토큰화를 지원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토큰화의 가장 큰 수요자는 전통 금융(TradFi)이 제공하는 수익률을 원하는 사람들일 것이다. 과거 디파이 여름(강세장) 상황과는 정반대"라고 덧붙였다.

[美 상원 재무위원회, 디지털 자산 과세안 관련 의견 수렴]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미국 상원 재무위원회 위원장 론 와이든(Ron Wyden)과 간사인 마이크 크라포(Mike Crapo)가 암호화폐 업계에 디지털 자산 과세안 관련 의견을 요청하는 서한을 공개했다. 현행 미국 국세법이 1986년 제정돼 디지털 자산 관련 분류가 명확하지 않다는 것이다. 서한에는 공정가치 회계, 디지털 자산 대출, 워시세일, 스테이킹 및 채굴 소득, 거래소 평가 문제 등이 언급됐다. 상원 재무위원회는 오는 9월 8일까지 해당 서한에 대한 답변(의견)을 받을 예정이다.

[렌즈 프로토콜, 이더리움 컨퍼런스서 V2 공개 예고]

블록체인 기반 소셜 미디어 프로젝트 렌즈 프로토콜(Lens)의 설립자(@StaniKulechov)가 트위터를 통해 약 1주일 뒤 개최되는 이더리움 커뮤니티 컨퍼런스(EthCC)에서 렌즈 프로토콜 V2를 공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크립토 '공포·탐욕 지수' 64...투심 개선 뚜렷]

암호화폐 데이터 제공 업체 알터너티브(Alternative)의 자체 추산 '공포·탐욕 지수'가 전날 대비 7포인트 오른 64를 기록했다. 투심이 뚜렷하게 개선되며 탐욕 단계가 지속됐다. 해당 지수는 0에 가까울수록 시장의 극단적 공포를 나타내며, 100에 가까울수록 극단적 낙관을 의미한다. 공포 탐욕 지수는 변동성(25%), 거래량(25%), SNS 언급량(15%), 설문조사(15%), 비트코인 시총 비중(10%), 구글 검색량(10%) 등을 기준으로 산출된다.

[email protected]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관련된 다른 기사

주요 기사

[단독] 저스틴 선 “트론, 나스닥 상장사 통해 제도권 진입…스위프트 넘어설 것”

[단독] 저스틴 선 “트론, 나스닥 상장사 통해 제도권 진입…스위프트 넘어설 것”

[BTC 사이클 트래커] 비트코인, 11만1500달러 지지선 시험…저항은 11만7000달러

[BTC 사이클 트래커] 비트코인, 11만1500달러 지지선 시험…저항은 11만7000달러

댓글

댓글

9

추천

0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1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늘봄

2023.07.12 22:32:47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legoboss

2023.07.12 22:32:12

사용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legoboss

2023.07.12 22:32:11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낙뢰도

2023.07.12 20:39:55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제우스코인

2023.07.12 19:04:51

잘봤습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Coinchoi

2023.07.12 18:33:14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엠마코스모스

2023.07.12 17:49:50

정보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토큰부자

2023.07.12 13:41:07

기사 잘 봤습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mini

2023.07.12 13:39:17

ㄱ ㅅ ㅇ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제이에스

2023.07.12 12:53:06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