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팔 스테이블코인, 이베이 거래액 70% 대체 전망 나와]
글로벌 회계·컨설팅법인 언스트앤영(EY) 출신의 디지털자산 컨설턴트가 페이팔 스테이블코인 페이팔USD(PYUSD)가 이베이 판매액의 70%를 차지할 것이라는 분석을 내놨다. 8일(현지시간) @S4mmyEth 디지털자산 컨설턴트가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페이팔이 스테이블코인 페이팔USD(PYUSD)을 출시한 의도와 향후 미칠 영향을 분석했다. @S4mmyEth는 크게 ▲페이팔 성장의 둔화에 따른 신 성장동력 ▲결제 시스템 비용 부담 ▲이베이(eBay) 결제 수단 ▲타 기업들의 PYUSD 결제 도입 등을 들었다
[레딧 커뮤니티 토큰 MOON·BRICK 급등...전날 크라켄 프로 상장]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크라켄 프로 거래소가 전날 레딧 커뮤니티 토큰 MOON, BRICK을 상장하면서 24시간 동안 두 토큰이 각각 46%, 94% 급등했다. 지난 7월 코인니스는 레딧이 커뮤니티 포인트 토큰 거래를 명시적으로 허용하면서 MOON, BRICK이 급등했었고, 크라켄 관계자가 레딧 서비스 약관 변경을 언급하면서 커뮤니티에서 MOON, BRICK 상장 기대감이 커졌었다고 전한 바 있다.
[분석 “10만~1000만 ADA 보유 주소, 5/21 이후 $1.16억 매집”]
암호화폐 온체인 분석 플랫폼 샌티멘트(Santiment)가 공식 트위터를 통해 카르다노(ADA, 에이다)가 0.29달러를 약간 웃돌면서 10만~1000만 ADA를 보유한 상어, 고래 주소가 2022년 9월 이후 가장 많이 ADA 매집에 나서고 있다고 전했다. 해당 고래들은 지난 5월 21일 이후 1억1,610만 달러 이상 ADA를 매집했다. 온체인 트랜잭션도 지난 6개월 동안 거의 매주 증가하는 추세다.
[아베 커뮤니티, 500만 aCRV 전략적 매수 제안 거버넌스 투표]
암호화폐 대출 플랫폼 아베(AAVE)커뮤니티에서 Aave DAO 트레저리의 200만 aUSDT를 사용해 500만 aCRV를 전략적으로 매수하자는 거버넌스 제안에 대한 투표가 8월 9일(현지시간)부터 11일까지 진행된다. 아베 커뮤니티 측은 이번 aCRV의 전략적 매수가 스테이블코인 GHO 유동성 확대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아베 V3, CRV LTV·LT 축소 제안]
암호화폐 대출 플랫폼 아베(AAVE) 커뮤니티가 이더리움과 폴리곤 기반 Aave v3 프로토콜 내 CRV 담보인정비율(LTV)과 청산 임계값(LT)을 낮추는 제안에 대해 투표 중이다. 이더리움 Aave V3의 경우 LTV 55%→35%, LT 61%→41%로, 폴리곤 Aave V3은 LTV 70%→35%, LT 75%→65%로 낮추는 것을 골자로 한다. 현재까지 찬성률은 100%이며 투표는 내일 종료된다. 앞서 아베 커뮤니티는 이더리움(ETH) 기반 Aave v2 프로토콜 내 CRV LTV을 0으로 조정하는 내용의 거버넌스 제안을 통과시켰다.
[3대 선물 거래소 BTC 무기한 선물 롱숏 비율]
미결제약정 기준 세계 3대 암호화폐 선물 거래소 내 최근 24시간 BTC 무기한 선물 롱·숏 포지션 비율은 다음과 같다.
전체 거래소: 롱 49.8% / 숏 50.2%
1. 바이낸스: 롱 50.2% / 숏 49.8%
2. OKX: 롱 49.0% / 숏 51.0%
3. 데리비트: 롱 50.6% / 숏 49.4%
[CF 프라이빗 에쿼티, 블록체인 전용 펀드 출시 계획]
블록웍스에 따르면 기관투자자를 위한 자산 운용사인 커먼펀드의 전액 출자 자회사 CF 프라이빗 에쿼티가 블록체인 전용 펀드를 출시할 계획이다. 펀드 목표 모금액은 1억 달러이다. CF 프라이빗 에쿼티는 설립 이래 220억 달러 출자 약정을 받았다.
[페이팔 PYUSD 동명 토큰 무더기 발행...스캠 주의]
코인텔레그래프가 덱스스크리너(DexScreener) 데이터를 인용, 페이팔이 자체 스테이블코인 PYUSD를 출시한 후 16시간 동안 PYUSD와 같은 이름의 토큰 30여종이 잇따라 발행됐다고 전했다. 이들 토큰은 BSC체인, 이더리움, 베이스 등 다양한 블록체인에서 발행됐다. 이중 이더리움에서 발행된 PYUSD 토큰은 한때 거래량이 260만달러를 기록하기도 했다. 매체는 "대다수는 허니팟 스캠(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토큰 구매만 가능하고 판매는 불가능한 프로젝트)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OKX 월렛, USDC로 가스 수수료 결제 지원]
달러 연동 스테이블코인 USDC 발행사 서클 CEO인 제레미 알레어(Jeremy Allaire)가 트위터를 통해 OKX 계정 추상화(AA) 월렛이 가스 수수료를 USDC로 지불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고 밝혔다. 그는 "올해 말까지 다른 웹3 월렛 앱들도 이를 지원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비트겟 임원 "YGG발 게임파이 토큰 열풍, 오래가지 못할듯"]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겟(Bitget) 매니징 디렉터 그레이시 첸(Gracy Chen)이 트위터를 통해 YGG는 지난 6일 이후 약 200% 상승하면서 게임파이 메타를 이끌고 있으나 그 분위기는 오래 가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그는 "YGG가 상승하면서 MC, ILV, GALA 등 다른 게임파이 프로젝트 토큰들도 15~50%씩 상승했다. 하지만 MC와 GALA는 10~20% 하락하면서 게임파이 열풍이 순식간에 식었음을 보여줬다. 단, 게임파이 시장의 바닥은 기관의 관심을 가늠할 수 있는 척도일 수 있다는 점, 게임 프로젝트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는 잠재력을 보여준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140% 수익' OP 고래, 30분 전 $841만 상당 OP 바이낸스로 전송]
암호화폐 온체인 애널리스트 엠버CN(EmberCN)이 트위터를 통해 지난 1월 OP로 140% 수익률을 기록했던 특정 고래 주소가 약 30분 전 바이낸스로 472만 OP($841만 상당)를 전송했다고 전했다. 엠버CN은 "이 주소가 현재 가격으로 OP를 매도할 경우 약 156만 달러 상당의 수익을 볼 수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
[암호화폐 하드월렛 원키, 북한 등서 신규 사용자 접수 중단]
암호화폐 하드웨어 월렛 원키(OneKey)가 공식 트위터를 통해 오는 9월 31일부터 이란, 북한 등 일부 국가에서 신규 사용자 신청 접수를 중단한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는 ▲이란 ▲북한 ▲시리아 ▲러시아 ▲북마케도니아 ▲중국 ▲수단 ▲베네수엘라 ▲짐바브웨다. 해당 국가의 기존 사용자는 이번 조치에 별다른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원키 측은 설명했다. 아울러 원키는 향후 애플 페이와 협력한 실물 카드 서비스를 준비 중이라고 덧붙였다.
[바이낸스, 8/10 ASR/TRY 등 6종 거래페어 추가]
바이낸스가 오는 10일 17시(한국시간) ASR/TRY, ATM/TRY, ACM/TRY, BAR/TRY, JUV/TRY, PSG/TRY 거래 페어를 추가한다고 공지했다.
[클레이튼, 디앱 개발 원스톱 솔루션 출시]
클레이튼(KLAY)이 공식 블로그를 통해 디앱 개발 지원 원스톱 솔루션 이그나이트 온 클레이튼 프로그램(Ignite On Klaytn Program·IOK)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개발 시간 단축, 비용 절감 등의 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된다고 클레이튼 측은 설명했다.
[외신 "페이팔, 스테이블코인 코드에 자산 동결·압수 기능 포함"]
유력 암호화폐 미디어 우블록체인이 "깃허브에 올라온 코드를 분석한 결과, 페이팔이 자체 스테이블코인 PYUSD에 심각한 보안 문제가 발생하면 전송 기능을 중단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PYUSD 발행을 맡은 팍소스는 법 집행 기관의 요청이 있을 경우, 범죄자의 자산(PYUSD)을 동결하거나 압수할 수 있다. 또 자산보호역할(Asset Protection Role) 권한을 갖고 있는 주소는 PYUSD 동결부터 해제, 잔액 삭제 등도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편집됨)
[북한 라자루스, 가짜 구인 광고로 $3700만 암호화폐 탈취]
DL뉴스에 따르면 북한 해킹 그룹 라자루스(Lazarus)가 가짜 구인 광고를 통해 에스토니아 소재 암호화폐 결제 서비스 업체 코인스페이드(CoinsPaid)로부터 3,700만 달러를 훔친 정황이 포착됐다. 해커들은 고액 연봉을 제시한 가짜 구인 광고를 통해 코인스페이드 직원들에게서 정보를 얻었다. 코인스페이드 직원이 가짜 면접을 보는 동안 악성 코드를 다운받게 했고, 이를 통해 코인스페이드의 인프라에 접근한 것으로 알려졌다. 소프트웨어 취약점을 악용한 해커는 코인스페이드 핫월렛에서 자금을 인출해 대부분을 암호화폐 브릿지 SwftSwap으로 보냈고, 일부는 트론 기반 DEX 선스왑과 심플스왑으로 보냈다. 신밧드(Sinbad) 같은 암호화폐 믹서에도 일부 탈취금을 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24시간 암호화폐 무기한 선물 강제청산 규모]
최근 24시간 암호화폐 무기한 선물 강제청산 규모 및 청산 비율은 다음과 같다.
1. BTC
청산 규모: $1,668만(롱 $1,109만, 숏 $559만)
청산 비율: 롱 66.49%
2. ETH
청산 규모: $1,279만(롱 $1,091만, 숏 $188만)
청산 비율: 롱 85.31%
3. YGG
청산 규모: $1,062만(롱 $549만, 숏 $513만)
청산 비율: 롱 51.67%
[특정 고래, 바이낸스로 $841만 OP 이체]
비트코인엠버가 트위터를 통해 "1월 OP 매매로 317만달러 수익을 거둔 특정 고래가 30분 전 472만 OP(841만달러)를 바이낸스로 이체했다. 만약 현재 가격에 매도한다면 그는 156만달러 수익을 거두게 된다"고 분석했다.
[아담 코크란 "저스틴 선, 고객자금 유용 의혹에 2억 USDT 반환한 듯"]
블록체인 투자사 시니암하인벤처스의 파트너 애널리스트인 아담 코크란(Adam Cochran)이 웨일얼럿 데이터를 인용해 "저스틴 선 트론(TRX) 창시자 추정 주소가 방금 전 저스트렌드(JustLend)에서 2억 USDT를 개인 월렛으로 전송한 뒤 이를 다시 새주소로 보냈다. 최근 그가 사용자 자금을 유용한다는 의혹이 나오자 해당 자금을 다시 거래소로 보낸 것으로 추정된다"고 트위터를 통해 전했다. 그는 "새주소는 후오비에 입금한 내역이 있는 것으로 보이며, 그는 후오비 핫월렛에서 자금을 출금한 뒤 이를 사용하고 다시 자신의 입금 주소로 보낸 것으로 추정된다. 아무래도 여러 의혹을 의식해 '자신감이 있다'는 제스처를 취한 것같다. 과거 알라메다 리서치의 행보를 비슷하게 밟고 있다"고 강조했다. 앞서 그는 "저스틴 선이 고객 및 회사 자금으로 저스트렌드와 같은 디파이 앱을 지원하는데 사용하고 있다"고 주장한 바 있다.
[비트디어, 부탄에 채굴기 2.3만대 추가 배치]
더블록에 따르면 우지한 비트메인 공동창업자가 이끄는 클라우드 마이닝 플랫폼 비트디어(Bitdeer)가 부탄에 설립한 채굴 데이터센터 게두(Gedu)에 채굴기 23,000대를 추가 배치했다고 밝혔다. 단, 아직 채굴기를 가동하지는 않았다. 비트디어는 "이번에 추가한 채굴기를 모두 가동하면 2.5EH/s의 해시레이트가 추가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아전트 "일부 스타크넷 아전트 계정 업그레이드 필요"]
스마트컨트랙트 월렛 아전트(Argent)가 트위터를 통해 "스타크넷(STRK)이 오는 21일 업그레이드를 진행함에 따라 일부 스타크넷 아전트 계정도 업그레이드가 필요하다. 업그레이드하지 않으면 보유 자산을 잃을 수 있다. 모바일 사용자를 비롯해 아전트X 계정 95%는 업그레이드를 할 필요 없다"고 전했다. 앞서 아전트는 스타크넷 지원 월렛 아전트X를 출시한 바 있다.
[커뮤니티 "MEXC·비트겟 일부 YGG 선물거래 유저 계정 동결"]
커뮤니티 제보에 따르면, MEXC와 비트겟 거래소에서 YGG 선물 거래를 한 일부 유저의 계정이 동결된 것으로 알려졌다. 한 MEXC 사용자는 YGG 선물거래 수익금을 출금하려다 취소를 당했다고 주장했다. 수익금은 물론 원금도 몰수해갔다는 제보도 있었다.
[보안업체 "프락스 파이낸스 디스코드 서버 해킹"]
블록체인 전문 보안 업체 서틱(CertiK)이 공식 트위터를 통해 "알고리즘 기반 스테이블코인 프로젝트 프락스 파이낸스(Frax Finance)의 디스코드 서버가 해킹됐다. Frax 측의 공지가 있기 전까지 해당 링크를 클릭하지 마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