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파이넥스 "내년 암호화폐 보유자 수 10억명까지 증가 전망"]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파이넥스가 보고서에서 2024년 암호화폐 보유자 수가 최대 10억명까지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보고서는 "12월 1일 기준 전세계 암호화폐 보유자는 5.75억명으로 연초 대비 1.43억명 늘었다. 이 수치는 내년 8.5억~9.5억명으로 늘어날 것"이라고 추정했다.
[미 SEC, 12/21 'BTC 현물 ETF 신청' 프랭클린템플턴과 미팅]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21일(현지시간) BTC 현물 ETF를 신청한 글로벌 자산운용사 프랭클린템플턴과 미팅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불가리아 검찰, 넥소 수사 종료...혐의 없음]
올초 암호화폐 대출 업체 넥소를 압수수색한 불가리아 검찰청이 결국 혐의 없음으로 넥소에 대한 수사를 종료했다고 블룸버그로가 전했다. 앞서 불가리아 검찰청은 넥소 사무실을 압수수색한 뒤 관계자 4명을 자금세탁, 조세 범죄, 무면허 뱅킹 서비스 제공 등 혐의로 기소한 바 있다.
[분석 "지금은 BTC 사이클 초기 또는 중간 단계...상승 여력 있어"]
인투더블록이 X를 통해 "올해 우리는 초기 상승장의 분명한 시그널을 확인했다. 역사적으로 볼 때 BTC 홀더들은 2014년, 2018년, 2022년 약세장 기간 BTC를 공격적으로 매수했다. 가격이 바닥에서 반등함에 따라 강세장 초기 단계로 진입하는 속도는 느리지만 홀더들은 계속해서 물량을 축적해왔다. 그리고 BTC가 신고가를 경신할 때 신규 홀더 유입으로 기존 홀더는 이익을 얻기 시작한다. 이러한 패턴은 과거 두 번의 사이클에서 발생했으며 현재는 이번 사이클 초기 또는 중간 단계"라고 분석했다.
[블룸버그 애널리스트 “미 SEC, 전날 아크·21쉐어스와 미팅”]
아크 인베스트와 21쉐어스가 전날 미 증권거래위원회(SEC)와 미팅을 진행했다고 블룸버그 애널리스트 제임스 세이파트(James Seyffart)가 X를 통해 전했다. 그는 "아크와 21Shares의 비트코인 현물 ETF는 CBOE에 상장될 예정이며, 블랙록과 발키리의 ETF는 나스닥에 상장될 예정이다"라고 전했다.
[매직에덴, 솔라나 기반 인스크립션 오픈 솔맵 출시]
NFT 마켓플레이스 매직에덴(MagicEden)이 공식 X(구 트위터)를 통해 "솔라나 기반 인스크립션 프로젝트 오픈 솔맵(Open Solmap)을 출시한다"고 전했다. 민팅은 18시40분(한국시간) 진행된다.
[뉴욕 금융서비스국, 팍소스 솔라나 기반 USDP 발행 승인]
스테이블코인 발행사 팍소스(Paxos)가 솔라나 블록체인에서 USDP를 발행하는 것에 대해 뉴욕주 금융서비스국(DFS)으로부터 승인을 받았다고 포춘이 보도했다. 팍소스 측은 이러한 계획에 대해 DFS가 '이의 없음'이라고 응답했다고 밝혔다.
[미 SEC 위원장 "암호화폐 분야, 규정 미준수 사례 빈번"]
게리 겐슬러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위원장이 오늘 오전 X를 통해 "암호화폐 분야에는 규정을 준수하지 않는 사례가 빈번하다. 이미 많은 사람들이 피해를 입었고 자신감을 잃었다. 이로 인해 선의의 행위자들까지 제대로 경쟁을 하기가 어려워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블룸버그 애널리스트 “미 SEC, 전날 발키리와 첫 미팅”]
발키리 인베스트먼트가 전날 미 증권거래위원회(SEC)와 첫 미팅을 진행했다고 블룸버그 애널리스트 제임스 세이파트(James Seyffart)가 X를 통해 전했다. 또한 블랙록도 같은 날 SEC와 6번째 미팅을 가진 것으로 확인됐다.
[홍콩 게임사 보야, 임시 주총서 $1억 암호화폐 매입안 통과]
홍콩 증시 상장사 소셜게임 개발 업체 보야(Boyaa)가 추진 중인 1억 달러 이내 암호화폐 매입안이 임시 주주총회에서 통과됐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보야는 4500만달러 상당 BTC, 4500만달러 상당 ETH, 1000만달러 상당 USDT 및 USDC를 매수할 예정이다. 앞서 보야는 지난 8월에도 이사회가 암호화폐 매입을 위한 500만 달러 규모 예산을 승인했다고 밝힌 바 있다.
[서베이 "미 투자자문사 50%, 고객에 BTC 현물 ETF 제공 계획"]
연구기관 DACFP가 진행한 서베이에 따르면 미 투자자문사의 50%가 비트코인 현물 ETF를 비롯한 암호화폐 상품을 고객에게 제공할 계획이라고 답했다. 다만 15%만이 실질적으로 고객과 암호화폐에 대해 논의한다고 답했다. 또한 독립 투자자문사(RIA)로부터 1500억달러 상당 자금이 이러한 ETF로 유입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번 서베이는 고액 자산가에게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브로커/딜러, 투자자문사 등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CNBC "BTC 현물 ETF 승인, 퇴직연금 암호화폐 투자에도 긍정적"]
미국에서 비트코인 현물 ETF가 승인되면 퇴직연금(401K) 투자 옵션에 비트코인을 추가하는 기업이 늘어날 수 있다고 CNBC가 업계 전문가들을 인용해 전했다. 이미 지난 수년간 주요 퇴직연금 운용사들이 암호화폐를 포트폴리오에 추가했다. 지난해 CFA 인스티튜트 연구에 따르면 주 및 지역 퇴직연금 플랜의 94%가 암호화폐에 일부 노출돼 있다. 매체는 "지금까지는 퇴직연금을 통한 암호화폐 투자가 제한적이었지만 현물 ETF 승인 후엔 더 많은 퇴직연금 운용사들이 암호화폐를 지원할 것으로 업계는 전망하고 있다"고 전했다.
[미즈호증권·JMP증권, 코인베이스 목표 주가 상향]
월터 블룸버그에 따르면 미즈호 증권과 JMP증권이 코인베이스(COIN)의 목표 주가를 각각 35달러에서 54달러, 107달러에서 200달러로 상향 조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