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에 우호적인 정책이 또 하나 공개됐다.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 후보가 가상자산 ETF(상장지수펀드) 허용을 핵심 공약으로 내세운 것.
김 후보는 12일 대통령 선거 공식 선거운동 시작과 함께 '10대 공약'을 발표하며, 중산층 자산 확장을 위한 대책 가운데 하나로 암호화폐 ETF의 도입을 언급했다. 현재 국내에서는 가상자산 현물 기반 ETF가 허용되지 않고 있지만, 미국과 홍콩 등 세계 주요 국가에서는 이미 운용되고 있는 만큼, 도입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공식 발표에서 김 후보는 종합소득세 물가연동제 도입,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 세제 지원 확대와 함께 "가상자산 현물 ETF를 허용해 중산층 자산 증식을 돕겠다"고 밝혔다.
이 발언은 암호화폐 업계에서도 기대감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암호화폐에 투자할 수 있는 제도권 투자 상품이 늘어난다는 건 결국 시장의 유동성과 신뢰를 키울 수 있는 요인이기 때문.
이 외에도 김 후보는 AI 청년 인재 20만 명 양성, 100조 원 규모 민관 펀드 조성, GTX 전국 확대, 청년 주택 공급 등의 공약을 통해 청년층의 주거 불안과 일자리 걱정도 덜겠다는 방침이다.
세제를 포함한 투자 환경 개선과 함께 가상자산 관련 규제도 완화될 가능성이 있어, 암호화폐 투자자들은 물론 블록체인·핀테크 업계 전반이 김 후보의 행보에 주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