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 시장에서 알트코인 중심의 자금 이탈과 USDT 집중 유입이 동시에 나타났다. 매도세는 SOL·XRP·SUI 등에서, 유입세는 USDT·USDC 등 스테이블코인으로 향하며 뚜렷한 방향성이 관측됐다.
29일 기준 크립토미터에 따르면 최근 24시간 동안 글로벌 암호화폐 시장에서 가장 활발한 유입을 보인 자금은 미국 달러로, 총 4660만 달러가 유입됐다.
달러 자금의 상당 부분이 ▲BTC(3550만 달러)로 이동했고, ▲SOL(500만 달러) ▲USDC(210만 달러) ▲LTC(200만 달러) ▲RLUSD(140만 달러)로도 움직였다.
한국 원화 자금은 총 4670만 달러가 유입돼 대부분 ▲USDT(3100만 달러)로 흘렀으며 ▲BTC(920만 달러) ▲USDC(570만 달러) ▲TRX(58만 달러)로 분산됐다.
유로 유입액은 총 1930만 달러로, ▲BTC(970만 달러) ▲USDC(830만 달러) ▲USDT(140만 달러) 등으로 흘러들었다.
터키 리라 자금은 670만 달러로, ▲USDT(260만 달러) ▲USDC(200만 달러) ▲FDUSD(약 85만 달러) 등 스테이블코인으로 움직였다. 아르헨티나 페소(69만 달러)는 USDT로, 일본 엔화(84만 달러)는 ETH로 전량 이동했다.
테더(USDT) 자금은 총 2억5410만 달러로, 이 중 상당 부분이 ▲USDC(1억7900만 달러)로 이동했으며, 나머지 자금은 ▲USDE(2280만 달러) ▲TRX(1910만 달러) ▲USD1(940만 달러) ▲BNB(550만 달러) ▲OP(430만 달러) ▲WBETH(330만 달러) 등 다양한 알트코인으로 폭넓게 분산됐다.
USDC에는 총 1억9710만 달러가 유입됐으며, 이 중 약 880만 달러가 ▲SUI로 이동했다. ETH 유입 자금(2430만 달러) 중 일부는 ▲WBETH(950만 달러)로 전환됐다.
여러 법정화폐에서 비트코인(BTC)으로 유입된 자금 5540만 달러는 ▲ETH(2340만 달러) ▲TRX(710만 달러) ▲BNB(710만 달러) ▲WBTC(670만 달러) ▲DOGE(140만 달러) ▲XLM 등으로 재분배됐다.
또한 FDUSD 기반 자금 710만 달러는 전량 ▲XRP로 이동했다.

이날 SOL에서는 총 1억2570만 달러 규모의 자금이 유출됐다. 이 중 1억1800만 달러는 USDT로, 770만 달러는 USDC로 이동했다.
XRP에서는 총 1억2370만 달러가 빠져나가 ▲USDT(6630만 달러) ▲원화(3590만 달러) ▲USDC(1210만 달러) ▲유로(940만 달러)로 분산 유출됐다.
DOGE에서는 총 7390만 달러가 유출되며 ▲USDT(5550만 달러) ▲원화(1100만 달러) ▲달러(740만 달러)로 이동했다.
SUI에서는 3860만 달러가 유출, 이 중 ▲2780만 달러는 USDT로, ▲1080만 달러는 BTC로 전환됐다.
이밖에 ADA(2280만 달러), ERA(4920만 달러), ES(1780만 달러)를 비롯해 TRUMP, LINK, HBAR, PENGU, ENA, BONK, WIF, LTC 등 여러 알트코인에서 스테이블코인 및 현금성 자산으로의 매도 전환 흐름이 나타났다.
ETH에서는 총 3억8660만 달러가 유출되어 ▲USDT(2억2010만 달러) ▲FDUSD(8340만 달러) ▲달러(4600만 달러) ▲USDC(2900만 달러) ▲원화(810만 달러) 등으로 분산됐다.
BTC에서는 1억6980만 달러가 빠져나가 ▲USDT(1억10만 달러) ▲FDUSD(4330만 달러) ▲USDC(2630만 달러)로 이동했다.
이날 USDT로 집결된 자금은 총 8억4210만 달러에 달했으며 이 중 일부는 ▲달러(1억6550만 달러) ▲BRL(720만 달러) ▲USDC(630만 달러)로 흘러나갔다.
FDUSD는 1억2420만 달러 규모의 유동 자산을 연결하며 ▲USDT(3490만 달러) ▲USDC(1140만 달러) 등으로 전환 흐름을 보였다. USDC에는 총 1억1490만 달러가 모였다.
최종적으로 매도 자금이 도달한 법정화폐는 ▲달러(2억3990만 달러) ▲원화(6980만 달러) ▲유로(940만 달러) ▲브라질 헤알(BRL, 720만 달러) 등으로 집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