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비트코인, 경기 침체 시 최대 80% 폭락 경고…“기술보다 유동성 붕괴가 근본 원인”

프로필
손정환 기자
댓글 2
좋아요 비화설화 4

거시경제 분석가 헨릭 제베르그는 경기 침체 시 비트코인이 최대 80% 하락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유동성 부족이 기술적 분석보다 더 위험하다고 진단했다.

 비트코인, 경기 침체 시 최대 80% 폭락 경고…“기술보다 유동성 붕괴가 근본 원인” / TokenPost.ai

비트코인, 경기 침체 시 최대 80% 폭락 경고…“기술보다 유동성 붕괴가 근본 원인” / TokenPost.ai

세계 경제가 침체에 접어들 경우, 비트코인(BTC) 가격이 최대 80% 급락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글로벌 거시경제 분석가 헨릭 제베르그(Henrik Zeberg)는 자신의 소셜미디어를 통해 “기술적 요인보다 훨씬 근본적인 수요 충격이 시장 유동성을 급속히 소진시킬 것”이라며 이 같은 전망을 내놨다. 그는 기존 비트코인 강세장의 근간으로 여겨졌던 ETF 기대감, 통화 확대, 디지털 희소성 서사의 실체에 의문을 제기하며 경고 수위를 높였다.

제베르그에 따르면 이번 비트코인 상승장은 유동성 장세에 기반한 일시적 현상에 불과하다. 그는 "현 경제는 유동성에 의존하고 있으나, 경기 침체로 인한 수요 급감이 전반적인 자산시장에서 자금을 빼내는 결정적 도화선이 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는 투자자 앤서니 팜플리아노(Anthony Pompliano)가 주장한 '양적완화 종료가 원인'이라는 해석과 확연히 다른 시각이다.

한 트위터 사용자가 “2026년까지 암호화폐 전반이 약 80% 조정을 겪을 것”이라는 주장을 내놓자, 제베르그는 이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며, 자신 역시 체계적 하락 가능성을 지지한다고 답변했다. 제베르그는 비트코인이 고점에서 무너졌던 지난 사례를 근거로 들며, 2021년 6만 9,000달러(약 9억 5,910만 원)에서 시작된 급락이 어떻게 1만 6,000달러(약 2,224만 원) 이하까지 이어졌는지를 언급했다. 당시 약 75%의 낙폭은 이번 사이클에서도 반복될 가능성을 시사한다는 것이다.

현재 비트코인은 12만 달러(약 1억 6,680만 원) 전후에서 박스권을 형성하고 있으며, 차트 상에서 기술적 상승 흐름이 유지되고 있기는 하다. 하지만 양봉 간격이 따닥따닥 붙고 거래량이 감소하는 등의 신호는 투자자들의 불확실성 증가를 반영하고 있다. 특히 미 연준의 긴축 기조 재개 가능성과 글로벌 경기 둔화 흐름이 맞물리면서 상승세가 급격히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제베르그의 분석이 인기를 끄는 이유는 ‘기술이 아닌 유동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이다. 그는 비트코인의 가치나 기술적 통합의 실패 때문이 아니라, '돈이 빠지면 자산도 무너진다'는 단순하면서도 냉정한 논리에 힘을 싣고 있다. 시장이 여전히 낙관론에 치우친 상황에서 그의 경고는 투자자들에게 경각심을 일깨우는 메시지로 작용하고 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2

추천

4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4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빅리치

08:52

등급

광란의우덩

07:16

등급

광란의셔터

07:01

등급

릴라당

05:02

댓글 2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빅리치

2025.08.06 08:52:49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릴라당

2025.08.06 05:02:41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