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트코인 시장에서 상위 테마 중심의 선별적 매수세가 나타나며 전체적으로 얕은 회복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
6월 5일 기준 업비트 데이터랩에 따르면, 전체 28개 섹터 중 17개가 상승, 11개가 하락하며 시장 회복세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상승 테마 중 상당수가 1%를 웃도는 등락률을 보이며 시장 전반에 긍정적 정서를 형성했다.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한 섹터는 유동화 스테이킹/리스테이킹(+3.09%)으로, 주요 구성 종목인 ▲지토(JTO, +3.99%) ▲펜들(PENDLE, +2.69%) ▲슬레이어(LAYER, +0.59%) 등이 동반 상승했다.
2위는 상호운용성/브릿지(+2.80%)로, ▲옴니네트워크(OMNI, +32.27%)가 폭등하며 섹터 상승을 견인했고, ▲윔홀(W, +1.83%) ▲쓰레스홀드(T, +1.29%)도 동반 상승했다. 3위 월렛/메시징(+2.18%) 섹터에서는 ▲세이프(SAFE, +4.11%) ▲월렛커넥트(WCT, +1.95%) ▲마스크네트워크(MASK, +0.17%)가 상승하며 긍정적인 흐름을 이어갔다.
NFT/게임 섹터(+1.90%)도 ▲빔(BEAM, +8.94%) ▲이뮤터블엑스(IMX, +3.38%) ▲왁스(WAXP, +1.77%)가 강세를 보이며 4위를 차지했다. 그 외 ▲DEX/애그리게이터(+1.33%) ▲RWA(+1.15%) 섹터도 꾸준한 상승세를 기록했다.
반면 하락폭이 두드러진 섹터는 ▲교육/기타 콘텐츠(–0.64%) ▲광고(–0.60%) ▲의료(–0.22%) ▲스테이블 코인(–0.16%) ▲미디어/스트리밍(–0.11%) 등이다.
‘교육/기타 콘텐츠’ 섹터에서는 ▲아하토큰(AHT, –0.75%) ▲아이큐(IQ, –0.60%)가 약세를 보였고, '광고' 섹터에선 ▲베이직어텐션토큰(BAT, –0.95%)과 ▲밀크(MLK, +0.46%)가 혼조세를 나타냈다. '의료' 테마의 ▲히포프로토콜(HP, –1.07%)은 하락했으나 ▲메디블록(MED, +0.38%)은 소폭 반등했다.
스테이블 코인 섹터에서는 ▲테더(USDT, –0.14%) ▲유에스디코인(USDC, –0.07%) 등 주요 종목이 약세를 보였고, '미디어/스트리밍' 분야의 ▲무비블록(MBL, –0.32%)도 하락세를 보였다.
한편 원형 분포도 기준으로 비중이 큰 주요 대형 섹터인 ▲인프라 ▲디파이 ▲스마트 컨트랙트 플랫폼 등은 비교적 안정적인 흐름을 나타냈다. 특히 인프라 섹터는 안정적인 상승세를 보였고, 디파이 테마도 대부분 종목이 상승했다. 스마트 컨트랙트 플랫폼 섹터는 일부 강세 종목들 중심으로 상승을 주도했으며, 지급결제 인프라 섹터는 거의 변동 없이 0.03% 상승하는 데 그쳤다.
전체적으로 상승 테마들이 하락 테마보다 강한 모멘텀을 보이며 시장 분위기 개선에 기여했다. 일부 강한 섹터별 오름세와 대형 섹터의 안정성이 맞물리며 현재 시장은 회복 흐름 속에서 긍정적인 기조를 이어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