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 트레이딩 분야에서 인공지능(AI)의 활용 범위가 한층 넓어지고 있다. 구글의 AI 모델 젬미니(Gemini)는 기존의 단순 요약을 넘어서 실시간 시장 뉴스, 트렌드 분석, 투자 심리 추적 등 다양한 용도로 크립토 트레이더들에게 주목받고 있다. 특히 외부 확장 프로그램 없이도 구글 검색 기능을 자체 탑재한 ‘젬미니 프로(Gemini Pro)’ 버전은 자동화된 시장 스캐닝 툴로 각광받고 있다.
젬미니 프로는 트레이더가 시장 촉매나 주요 뉴스 업데이트를 검색 요청하면, 자동으로 관련 내용을 분석해 설명해주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는 기존의 AI 챗봇들이 외부 플러그인이나 API에 의존한 것과는 다른 흐름이다. 암호화폐 시장처럼 속도와 정밀성이 중요한 환경에서, 이러한 실시간 정보 내비게이션 능력은 큰 강점이다. 특히 뉴스 신호(signal)와 소음(noise)을 구분해야 하는 디지털 자산 시장에선 ‘이 의미 없는 뉴스가 실제 시장 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가’라는 판단에 도움을 준다.
다만 트레이딩 플랫폼을 대체하지는 못한다. 젬미니는 차트 시각화, 거래소 연동, 포트폴리오 관리 또는 백테스트 기능이 전무하다. 따라서 실제 주문을 실행하려면 여전히 외부 도구에 의존해야 한다. 트레이더 입장에서는 젬미니를 분석 보조 도구로 활용하면서도, 실행 단계에서는 자신의 판단력을 동반해야 한다는 점을 유의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젬미니는 가격을 예측하지 않는다. 대신 특정 내러티브나 매수·매도 신호가 합리적인지를 검증하는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종목과 관련한 뉴스가 다수 등장했을 때 정말 트렌드로 받아들여야 할 만한 수준인지 여부를 분석해 과잉 반응을 피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AI는 어디까지나 보조 수단이지, 인간의 투자 판단을 대체할 수는 없다는 경고가 여기서 다시 한번 강조된다.
젬미니 활용 예시로는 렌더토큰(RNDR)에 대한 실시간 뉴스 스캔이 있다. ‘마지막 24시간 내 RNDR 관련 구글뉴스 및 크립토 주요 매체 기사 목록을 정리하고, 핵심 촉매 이벤트를 요약하라’는 프롬프트를 입력했을 경우, 젬미니는 자동으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핵심 내용을 정리해 제공한다. 이처럼 거래 전략 수립 초기 단계에서 특정 프로젝트의 분위기를 파악하는 데 특히 강력한 도구임을 입증하고 있다.
AI 도구의 성능이 나날이 고도화되고 있지만, 모든 판단은 결국 실시간 데이터 확인과 인간의 직관이 함께할 때 완성된다. 급변하는 암호화폐 시장에서 젬미니와 같은 AI 분석기는 새로운 표준이 될 수 있지만, 투자자 자신에게 필요한 것은 아직도 ‘결정의 순간을 읽는 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