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샘슨 모우 "모든 자산, 결국 비트코인($BTC) 앞에 무너질 것... 장기 목표는 100만 달러"

프로필
손정환 기자
댓글 0
좋아요 비화설화 0

비트코인 옹호자 샘슨 모우가 모든 자산은 결국 비트코인으로 수렴할 것이라며 100만 달러 전망을 재확인했다. 그는 ETF 자금 유입과 기업의 BTC 투자 사례를 근거로 장기 강세를 강조했다.

 샘슨 모우

샘슨 모우 "모든 자산, 결국 비트코인($BTC) 앞에 무너질 것... 장기 목표는 100만 달러" / TokenPost.ai

비트코인(BTC) 옹호자이자 JAN3의 최고경영자인 샘슨 모우(Samson Mow)가 다시 한 번 비트코인의 미래에 대한 강한 신념을 드러냈다. 그는 최근 X(옛 트위터)를 통해 “모든 자산은 결국 비트코인에 대해 제로로 수렴하게 될 것”이라며, BTC의 독보적인 자산 가치를 강조했다.

모우는 그간 비트코인이 언젠가는 1코인당 100만 달러(약 13억 9,000만 원)를 달성할 것이라고 주장해온 대표적인 ‘비트코인 맥시멀리스트’로, 이번에도 이전 발언을 재확인했다. 그는 “비트코인에는 중앙 발행 주체가 없으며, 발행량도 최대 2,100만 개로 제한돼 있어 희소성이 계속 강화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까지 1,900만 개 이상이 채굴되어 유통 중이며, 이같은 공급 구조는 기존 금융 자산과 비교해 비트코인만의 강점을 부각시킨다.

또한 모우는 2024년부터 시작된 현물 비트코인 ETF의 지속적인 매입 활동과, 마이클 세일러가 이끄는 마이크로스트래티지 사례를 인용해, 여러 기업들이 채권 발행을 통해 BTC에 간접적으로 투자하는 움직임도 이루어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는 점차 더 많은 기업들이 비트코인을 자산 보유 전략으로 활용하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된다.

이와 유사한 시각은 엘살바도르 대통령의 비트코인 고문이자 초기 투자자인 맥스 카이저(Max Keiser)에게서도 자주 언급된다. 그는 비트코인의 잠재력을 알리며 각국 정부의 채택을 적극 장려해 왔으며, 엘살바도르는 지난 2021년 세계 최초로 비트코인을 법정통화로 채택했다.

한편, 비트코인은 최근 반등세에도 불구하고 변동성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지난 주말 5% 상승하며 12만 2,300달러(약 1억 6,997만 원)까지 상승했으나, 이후 2.42% 하락하며 현재는 11만 9,300달러(약 1억 6,577만 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발표된 미국의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예상치였던 2.8%보다 낮은 2.7%로 나타나 금리 인하 기대감을 높였지만, BTC 가격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은 모습이다.

모우의 발언은 단기 시장 반응과 별개로, 장기적으로 비트코인이 기존 자산을 대체할 중심 통화로 자리할 것이라는 신념을 다시 한 번 부각시키고 있다. 비트코인의 가치는 단순한 가격 등락보다 그 경제적 패러다임 전환에 있다는 것이 그의 메시지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0

추천

0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