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플의 최고기술책임자(CTO) 데이비드 슈워츠(David Schwartz)가 최근 비트코인(BTC) 가격이 급락할 경우 마이크로스트래티지($MSTR)가 심각한 타격을 입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해당 기업이 본질적으로 높은 레버리지를 활용한 비트코인 투자 형태라고 지적하며, "비트코인이 추락한다면 마이크로스트래티지는 잘 견디지 못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슈워츠의 발언은 최근 마이크로스트래티지를 둘러싼 논란 속에서 나왔다. 그의 발언은 평소보다 더 강도 높게, 이 기업이 비트코인 상승에 지나치게 의존하고 있다는 점을 부각했다. 해당 코멘트는 X 플랫폼(구 트위터)을 통해 공개되었으며, 같은 시점에 웹3 콘텐츠 크리에이터 닉 오닐(Nick O'Neill)은 마이크로스트래티지를 비판한 영상 이후 돌연 성명을 발표해 논조를 바꾸었다. 성명에서 오닐은 “마이크로스트래티지는 폰지 사기가 아니며, 마이클 세일러(Michael Saylor)는 합법적이고 선량한 인물”이라는 입장을 피력했다.
그러나 온라인 커뮤니티는 이 번복에 의구심을 표하며 ‘법률 대응을 우려한 수세적 후퇴’라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한 유저는 “정말 경고문을 받았다면 두 번 눈을 깜빡였을 것”이라는 농담을 던지기도 했다. 슈워츠 또한 오닐이 외압에 의해 영상을 제작한 것 같다며, “그의 초기 발언이 진심이었다고 본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사람들이 특정 기업에 대해 솔직한 의견을 말하는 것이 두려워져선 안 된다"고 덧붙이며, 표현의 자유와 기업의 대응 방식 사이 균형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마이크로스트래티지는 비트코인을 누적 기준 약 226,331 BTC 이상 보유한 가장 큰 기업 투자자로, 이는 현재 시세 기준 약 1조 7,317억 원(약 12억 4,400만 달러)에 달한다. 하지만 이러한 전략은 시장 하락기에 막대한 손실로 이어질 수 있어, 슈워츠는 이를 “레버리지 베팅”이라 칭하며 리스크의 본질을 지적한 셈이다.
슈워츠의 발언은 암호화폐 기업의 장기적 포트폴리오 전략에 대한 재고를 요구하는 목소리로 해석된다. 실제로 비트코인 중심의 일방적 편중이 기업 전체의 존립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는 메시지는, 시장 내 투자자들에게도 중요한 경고로 다가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