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 시장에서는 ETH로 대규모 자금이 몰리는 동시에 BTC에서 큰 폭의 유출이 발생했다.
13일 기준 크립토미터 집계에 따르면 미국 달러(USD) 기반 자금은 총 1억3790만 달러가 유입됐다.
달러 자금은 ▲ETH(7460만 달러)로 가장 많이 흘러갔으며 ▲BTC(2700만 달러) ▲ZEC(1440만 달러) ▲XRP(1330만 달러) ▲USDT(450만 달러) ▲ICP(260만 달러) ▲UNI(150만 달러)로도 이동했다.
한국 원화(KRW) 자금 3610만 달러, 터키 리라(TRY) 기반 자금 1360만 달러 전체가 USDT로 이동했다.
유로화(EUR) 자금 2090만 달러는 ▲BTC(980만 달러) ▲ETH(590만 달러) ▲USDC(370만 달러) ▲USDT(160만 달러)로 분산됐다.
일본 엔화(JPY) 자금은 800만 달러 전부가 BTC로 유입됐다.
스테이블코인 USDT에는 5000만 달러 상당이 유입됐다가 1억2390만 달러 상당이 빠져나갔다. 자금은 ▲ZEC(2470만 달러) ▲XRP(1850만 달러) ▲LINK(1230만 달러) ▲FDUSD(1010만 달러) ▲XMR·POPCAT·XPL 등으로 분산 이동했다.
USDC에서는 5330만 달러가 움직여 ▲ETH(2290만 달러) ▲XRP(2000만 달러) ▲SOL(890만 달러) ▲DOGE(160만 달러)로 빠져나갔다.
FDSUD에서는 7470만 달러가 움직였다.▲ETH(2980만 달러) ▲BTC(2300만 달러) ▲XRP(1170만 달러) ▲SOL(1030만 달러) 순으로 분산됐다.
이날 BTC에는 6780만 달러가 모였다가 ETH(1480만 달러), SOL(130만 달러)로 전환됐다.
ETH는 1억4970만 달러의 자금이 유입됐으며 ▲XRP(6350만 달러) ▲SOL(2050만 달러) 등에도 자금이 쏠렸다. ZEC(3910만 달러) LINK(1230만 달러), XMR(770만 달러) 등도 최종 종착지가 됐다.
암호화폐 시장의 자금 유출 흐름을 보면 BTC는 총 2억3920만 달러 규모의 유출이 발생해 ▲USDT(2억3280만 달러) ▲원화(630만 달러)로 분산됐다.
SOL에서는 총 6090만 달러가 유출되며 ▲USDT(4400만 달러) ▲달러화(870만 달러) ▲원화(690만 달러) 순으로 분산됐다.
▲KERNEL(3770만 달러) ▲USDEC(3340만 달러) ▲RECALL(1770만 달러)는 유출액 전체가 USDT로 이동했다.
ETH에서는 3070만 달러가 빠져나가며 ▲USDT(2720만 달러) ▲원화(350만 달러)로 이동했다. XRP의 자금 유출 규모는 1960만 달러로, ▲원화(1330만 달러) ▲BTC(330만 달러) ▲TRY(180만 달러) ▲EUR(120만 달러)로 분산됐다.
KERNEL에서 37.7억 달러가 USDT로 이동했다. USDE에서도 33.4억 달러가 전액 USDT로 빠져나갔다. RECALL은 17.7억 달러가 USDT로 유출됐다.
DIAM, AAVE, BNB, TAO, VIRTUAL, AERO, PUMP 등 주요 알트코인에서도 매도세가 확인됐다.
이날 USDT에 총 6억490만 달러 상당의 자금이 결집했고 USDC에는 1억5860만 달러가 안착했다.
법정화폐 중에서는 ▲원화(4200만 달러) ▲달러(2330만 달러) ▲BRL(600만 달러)에 자금이 모이며 암호화폐 시장 매도세의 주요 종착지 역할을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