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이 약 한 달간의 하락장을 딛고 반등 전환 신호를 보이고 있다. 온체인 및 파생상품 지표들이 약세 피로감을 드러내면서 단기적으로는 9만 6,000달러(약 1억 4,080만 원)에서 9만 9,000달러(약 1억 4,509만 원) 구간까지 회복 가능성이 제시되고 있다.
25일 기준, 비트코인 가격은 약 8만 7,000달러(약 1억 2,753만 원) 선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최근 며칠 사이에 약세 모멘텀이 다소 약화된 조짐이 나타났다. 온체인 분석가 악셀 애들러 주니어는 비트코인 강세-약세 구조 지수가 11일부터 한동안 -43% 수준으로 깊은 음영에 머물곤 했으나, 최근 -20% 수준까지 상승하며 하락 압력이 완화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비트코인 선물 흐름 지수는 여전히 41로, 중립권으로 여겨지는 45~55 구간에 미치지는 못하고 있다. 애들러는 해당 수치를 넘어서기 전까지는 ‘확실한 상승세 전환’을 기대하긴 어렵다고 분석했다.
한편, 비트코인의 현재 공정가치는 약 9만 9,000달러로 추정된다. 이는 현물 가격과 약 1만 1,000달러(약 1,612만 원)의 괴리율을 보이며, 심리적 회복 구간이 9만 6,000~9만 9,000달러대로 좁혀질 수 있다는 가능성이 나오고 있다.
시장 분석가 Daan Crypto Trades는 미국 최대 거래소 코인베이스에서의 비트코인 프리미엄이 지난 금요일 현지 저점 이후 중립 수준으로 회복된 점에 주목하며 매도 압력이 진정되고 있다고 판단했다.
하지만 현재 구조는 여전히 불안정하다. 분석가 Titan of Crypto는 비트코인 가격이 단기적으로 회복세를 지속하려면 8만 8,700달러(약 1억 2,999만 원)를 먼저 회복해야 한다고 평가했다. 또 다른 분석가 Ed_NL은 9만 3,500달러(약 1억 3,696만 원) 구간에 ‘저항 박스’를 설정하며 이 수준이 상승장의 발판이 될지 아니면 하락 전환의 정점이 될지를 지켜봐야 한다고 밝혔다.
비트코인은 24시간 기준 1% 미만 상승했지만, 주간 기준으로는 5%, 최근 2주 기준으론 약 18% 하락하면서 여전히 약세 흐름을 탈피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지난달 기준으로는 23% 하락해 역대 최고가인 약 12만 6,000달러(약 1억 8,467만 원) 대비 약 30% 낮은 수준이다.
이번 하락세는 이른바 ‘기관 투자자들의 매도 재배치’ 성격을 띠고 있다. 1,000개에서 1만 개 이상의 비트코인을 보유한 고래들이 꾸준히 매도에 나서며 유의미한 반등을 저지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반면, 산티먼트(Santiment)에 따르면 100개 이상 비트코인을 보유한 지갑 수는 지난 11일 이후 91개 증가했다. 즉, 중형 규모 고래군(10~1,000 BTC)에서는 점진적인 매집이 이뤄지고 있다는 신호다.
기사요약 by TokenPost.ai
🔎 시장 해석
비트코인의 현재 가격이 공정가 대비 약 1만 1,000달러 낮아진 가운데 기술적 반등 여지가 생기고 있다. 하지만 중립권 지표 도달 전까지는 추세 전환보다 단기 반등 가능성으로 보는 신중한 접근이 유효하다.
💡 전략 포인트
중형 고래들의 매집 흐름이 나타나는 구간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고래 매도세가 완전히 진정될 때까지는 구간별 매수나 저항선 돌파 여부 중심의 대응이 요구된다.
📘 용어정리
- 공정가치(Fair Value): 자산 가격의 ‘이론상 적정 가치’를 뜻하며, 온체인 데이터나 파생지표로 유추된다.
- 코인베이스 프리미엄: 해외에서 가장 유동성이 높은 코인베이스 거래소에서의 비트코인 가격이 글로벌 평균보다 얼마나 높은지를 보여주는 지표.
- 강세-약세 구조 지수: 시장 내 매수세와 매도세 균형을 숫자로 나타낸 비트코인 전용 지표.
TP AI 유의사항
TokenPost.ai 기반 언어 모델을 사용하여 기사를 요약했습니다. 본문의 주요 내용이 제외되거나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