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국 정부가 샘 알트먼이 지원하는 생체 인증 프로젝트 ‘월드(World)’에 대해 전격적인 중단 조치를 내렸다. 개인정보 보호법 위반을 이유로 활동 중단과 이용자 정보 삭제를 공식 요구했다.
태국 경제사회개발위원회는 1일 디지털경제사회부(MDES) 발표를 통해, 월드가 자국민 120만 명으로부터 채취한 ‘홍채 스캔’을 삭제할 것을 명령했다고 밝혔다. 당국은 월드의 생체 정보 수집 행위가 개인정보 보호법(PDPA)을 위반했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이 법은 개인정보의 수집·이용·공개에 대해 엄격히 규율하고 있다.
월드는 홍채 인식을 통해 이용자를 인증하고, 대가로 자체 토큰 ‘월드코인(WLD)’을 지급하는 방식으로 운영돼 왔다. 하지만 태국 당국은 이 과정에서 사용자 동의와 적절한 법적 절차가 미흡했다는 점을 문제 삼았다. 이 같은 조치는 지난 10월 월드의 홍채 스캔 거점 중 하나가 디지털자산법 위반 소지로 현지 규제기관의 급습을 받은 지 수 주 만에 나온 것이다.
월드 측은 11월 30일 공식 X(구 트위터) 계정을 통해 태국 내 서비스 및 홍채 인증 절차를 일시 중단한다고 밝혔다. 동시에 태국을 ‘오브(Orb)’ 영지식 기기 운영 국가 목록에서도 제외했다. 현지 언론에 따르면, 월드의 태국 내 사업 운영체는 ‘TIDC 월드버스(Worldverse)’로 확인된다.
월드는 성명을 통해 “현지 법령을 준수했고 규제기관에 투명하게 정보를 제공했다”며 PDPA 위반 지적에 유감을 표했지만, 위법 행위에 대해 직접 인정하지는 않았다.
이번 사안은 생체 정보와 민감 정보 수집에 따른 규제 강화 흐름과 맞물리며, 글로벌 디지털 ID 프로젝트가 직면할 수 있는 법적·윤리적 과제를 잘 보여준다. 특히 국가별 PDPA 적용 해석에 따라 사업 확장이 제약될 수 있다는 점에서, 향후 관련 업계 전반에 상당한 파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기사요약 by TokenPost.ai
🔎 시장 해석
생체 인증 기반 ID 시스템에 대한 각국 규제가 강화되면서, 월드코인(WLD)의 글로벌 확장 전략에 제동이 걸릴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의 민감 정보가 암호화폐 보상 수단으로 활용되는 방식에 대한 윤리적 비판도 커질 전망이다.
💡 전략 포인트
- 로컬 규제 프레임워크는 생체 정보 수집 정책 수립 시 핵심 고려 요소
- 각국의 개인정보보호법(PDPA) 미준수 시 사용 정지 및 사업 철수 가능
- 월드코인 등 자산 기반 모델은 단기 보상 유인보다 장기 공공성 확보 전략 필요
📘 용어정리
- 월드(World): 샘 알트먼이 설립한 글로벌 디지털 ID 프로젝트로, 생체 정보를 통해 신원 인증
- 월드코인(WLD): 월드 플랫폼에서 지급하는 암호화폐
- 오브(Orb): 월드가 활용하는 생체 인증용 구형 기기
- PDPA(Personal Data Protection Act): 태국을 포함한 일부 국가의 개인정보보호법
TP AI 유의사항
TokenPost.ai 기반 언어 모델을 사용하여 기사를 요약했습니다. 본문의 주요 내용이 제외되거나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