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들어 잇따른 근로자 사망 사고로 논란이 된 포스코이앤씨가 기업 이미지를 둘러싼 신뢰 저하로 인해 향후 사업성과와 자금조달 능력에서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7일 한국신용평가는 포스코이앤씨에 대한 보고서를 통해, 반복되는 산업재해로 인한 ‘평판 리스크’가 이 회사의 수주 경쟁력을 위협할 소지가 크다고 지적했다. 건설업 특성상 브랜드 신뢰도와 안전관리 능력이 발주처의 사업 선정에 큰 영향을 미치는데, 최근 사고로 인해 이 부분에 대한 신뢰가 약화됐다는 설명이다. 신평사는 구체적인 제재 가능성은 아직 예단할 수 없다고 전제했지만, 공정 및 안전관리 능력에 대한 의구심이 커지면 수주 물량 감소와 실적 악화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수익성 측면에서도 포스코이앤씨는 이미 적잖은 부담을 안고 있는 상황이다. 올해 2분기에는 해외사업의 원가 증가로 인해 약 910억 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여기에 하반기에는 수도권 광역철도 사업 중 하나인 신안산선 공사 현장에서 발생한 손실이 추가로 반영될 가능성이 높다고 신용평가사는 밝혔다. 공기(공사 기간) 지연과 안전 관리 강화에 따른 원가 증가가 실적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분석이다.
자금시장 접근성 문제도 대두되고 있다. 신용평가사는 포스코이앤씨가 앞으로 회사채 등을 통해 자금을 조달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고 전망했다. 정부가 최근 반복된 사고를 일으킨 기업에 대해 대출 제한 등을 검토하고 있는 가운데, 투자자들의 심리 또한 위축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이는 신용도가 유지되더라도 자금 조달 비용이 상승하거나 조달 여건 자체가 악화될 수 있다는 의미다.
실제로 포스코이앤씨는 올해에만 1월과 4월에 각각 근로자 사망 사고가 발생했고, 지난 7월에도 건설 현장에서 60대 노동자가 사망하는 사고가 추가로 발생했다. 특히 이와 관련해 국무회의에서 대통령의 질책이 이어졌고, 그 직후에는 미얀마 국적 노동자가 감전 추정 사고로 인해 심정지 상태가 되는 등 부실한 안전관리 실태가 거듭 논란이 됐다. 이런 사고나 언론 노출이 이어지면 기업 이미지 훼손으로 사업 전반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다만, 한국신용평가는 이번 보고서에서 포스코이앤씨의 회사채 신용등급(A+)과 등급 전망(안정적)을 유지하며, 단기적 위험보다는 중장기적 관찰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러나 현재와 같은 구조적 리스크가 관리되지 않을 경우, 등급 조정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여지도 남겼다.
이 같은 흐름은 자칫하면 대형 건설사 전반에 대한 신뢰 저하로 확산될 수 있으며, 안전관리 능력을 중심으로 수주 환경이 재편되는 계기가 될 가능성도 있다. 정부와 금융시장 모두 기업의 실적뿐 아니라, 안전경영 수준까지 주요 평가 지표로 삼을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