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큰포스트
안녕하십니까? 토큰 포스트입니다. 2025년 8월 1일 금요일 오늘은 공유해주신 자료들을 통해서 암호화폐 시장의 여러 소식들 같이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자 우선 현재 시장 상황부터 좀 알아볼까요? 오늘 오후 4시 기준인데요. 시장이 전반적으로 좀 하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비트코인이 11만 5천 달러 선에서 거래되면서 어제보다 한 3% 정도 내렸구요. 이더리움은 3660달러 선인데 음 이건 5% 이상 좀 빠졌네요. 리플이나 솔라나도 상황이 비슷해요. 각각 거의 6% 또 6.5% 정도 하락하고 있습니다.
진행자
네 맞습니다. 시장 전체적으로 약간 조정받는 그런 모습이에요. 전체 시가총액도 3조 7500억 달러 수준으로 좀 내려왔구요. 근데 여기서 좀 재미있는 포인트가 이렇게 시장이 좀 안 좋은데도 비트코인 시장 점유율은 오히려 약간 0.47% 정도 올랐다는 거예요. 네 반면에 이더리움 점유율은 0.22% 정도 소폭 감소했구요.
토큰포스트
음 가격은 다 같이 내리는데 비트코인 영향력만 살짝 커졌다 이건 왜 그럴까요?
진행자
뭐 여러 가지 해석이 있겠지만, 아무래도 시작이 좀 불안할 때는 투자자들이 음 비트코인을 상대적으로 더 안전하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좀 반영된 걸 수 있겠죠. 실제로 보면 스테이블 코인 거래량도 한 4.6% 넘게 늘었거든요. 네 이것도 이제 변동성이 크니까 좀 안정적인 자산으로 가려는 그런 심리 그렇게 볼 수 있고요. 파생상품 거래량도 한 6% 넘게 증가했는데 이것도 변동성에 대비하려는 움직임으로 해석될 수 있겠습니다.
토큰포스트
시장 분위기는 좀 가라앉았는데 이런 분위기랑은 좀 다르게 굉장히 큰 규모의 매수 소식이 있었어요. 특정 고래랑 또 유명 인사가 비트코인을 대량으로 샀다는 건데 이게 오늘 좀 주목할 만한 뉴스 같애요.
진행자
네 맞습니다. 그 0xd8d0 이걸로 시작하는 특정 고래 지갑 주소가 있는데요. 최근 5시간 동안 비트코인을 893개 이게 달러로 하면 약 1억 1천만 달러 정도 됩니다. 그리고 이더리움도 2만 개 한 7400만 달러 어치를 매수했다는 분석이 나왔어요. 굉장히 단기간에 큰 규모로 사들인 거죠.
토큰포스트
5시간 만에요. 대단하네요. 그리고 또 미국의 유명 사업가 그랜트 카돈 소식도 있죠.
진행자
아 네 그랜트 카돈도 본인 이름으로 비트코인 천 개 약 1억 1천만 달러치를 매수했고요. 또 본인이 운영하는 부동산 투자사 카르도네의 캐피털을 통해서도 천 개를 추가로 매입해서요.
토큰포스트
아 그럼 총 1100개군요.
진행자
네 총 1100BTC를 확보했고 심지어 연내에 3천 개를 더 사겠다고 계획까지 밝혔습니다.
토큰포스트
3천 개 주가요 와 정말 공격적인데요. 프랑스 상장사 CBI 얘기도 있었구요. 거기도 최대 2천 BTC 매입 계획을 발표했다고요.
진행자
그렇죠. 이런 고액 자산가나 기관 기업들의 매수 소식은 사실 시장 참여자들 심리에 꽤 중요한 영향을 줄 수 있거든요. 특히 시장이 좀 주춤할 때 오히려 아 이때다 하고 매수 기회로 보는 시각이 있다는 걸 보여주는 신호니깐요. 그랜트 카돈처럼 이렇게 공개적으로 매수 사실 이런 추가 계획까지 밝히는 건 비트코인의 장기 가치에 대한 뭐랄까 강한 믿음을 보여주는 행동으로 볼 수 있죠.
토큰포스트
네, 그렇군요.
진행자
다만 뭐 이런 움직임이 바로 시장 전체의 흐름을 바꿀 거다 이렇게 단정하기는 아직 좀 이릅니다. 조금 더 지켜봐야겠죠.
토큰포스트
네 맞아요. 좀 신중할 필요는 있겠네요. 시장은 좀 내려가는데 이렇게 적극적으로 사는 주체들이 있다는 점이 참 인상 깊습니다. 다른 소식들도 좀 중요한 흐름 위주로 짚어볼게요 우선 규제 관련해서 눈에 띄는 소식이 있네요. 홍콩 쪽이요.
진행자
아 네 홍콩에서는 올해부터죠 그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하려면 라이센스 그니까 정부 허가를 받아야 하는 새로운 규제안이 공식 발효됐습니다. 아시아 금융 허브로서 이제 암호화폐 관련 제도를 좀 더 구체화하려는 그런 움직임으로 볼 수 있구요. 시장 투명성이나 안정성을 높이려는 시도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토큰포스트
홍콩은 제도화에 속도를 내는군요. 반면에 미국에서는 약간 정치적인 이슈가 좀 불거졌어요. 엘리자베스 워런 상원의원 등이 트럼프 전 대통령 일가랑 연관된 걸로 알려진 특정 스테이블 코인 USD1이라고 하던데요. 이거 관련해서 이해 충돌 가능성이 있다. 이러면서 조사를 요구하는 서한을 통화감독청 OCC에 보냈다는 소식입니다. 이게 뭐 정책 결정에 사적인 이익이 개입될 수 있다는 그런 우려인데 저희는 뭐 이 사실을 전달하는 거지 어떤 정치적인 입장을 지지하는 건 아닙니다.
진행자
그렇죠. 이처럼 규제 환경이 지역별로 좀 다르게 진행되는 모습이에요. 한쪽에서는 제도화가 진행되고 다른 쪽에서는 이런 정치적인 논란이 있기도 하구요. 또 다른 흐름으로는 코인시어스라는 곳에서 미국 델라웨어주의 솔라나 SOL 스테이킹 ETF 등록을 완료했다는 소식도 있습니다.
토큰포스트
솔라나 스테이킹 ETF요 이것도 좀 주목할 만하겠네요.
진행자
기관 투자자들이 이제 솔라나에 좀 더 쉽게 투자하고 또 스테이킹 보상까지 얻을 수 있는 길이 열리는 셈이니까요?
토큰포스트
외에도 뭐 베트남이 웹3 인력이랑 정부 지원 바탕으로 동남아의 규제 기반 암호화폐 허브로 부상할 수 있다는 분석 보고서도 있었고, 또 비트레이어의 거버넌스 토큰 BTR 출시 계획 소식도 있었는데, 오늘은 시간상 이 정도로 주요 뉴스들을 정리해야 할 것 같습니다.
진행자
네 오늘 살펴본 것처럼 시장 지표 자체는 좀 하락세를 보이고 있지만 그 이면을 보면 또 고래나 기관들은 꾸준히 비트코인을 매집하는 움직임이 있구요. 동시에 홍콩처럼 규제 틀을 마련하려는 노력도 진행 중입니다. 이렇게 좀 상반된 신호들이 같이 나타나고 있는데, 여러분께서는 앞으로 암호화폐 시장 방향성이 어떻게 갈 거라고 보시나요? 이런 거시적인 규제 환경의 변화 그리고 또 개별 참여자들의 미시적인 투자 움직임 이 중에서 어떤 요인이 앞으로 시장에 더 큰 영향을 미치게 될지 한번 생각해 보시는 것도 재미있을 것 같습니다.
토큰포스트
이상 토큰 포스트였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