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일주일간 브리지 자산 흐름에서 아비트럼과 베라체인이 강한 유입세를 보인 반면, 유니체인은 두드러진 자금 이탈을 겪으며 대조적인 흐름을 나타냈다.
유입 상위 체인
8일 기준 암호화폐 분석 플랫폼 아르테미스에 따르면 최근 7일간 가장 많은 브리지 자산 유입을 기록한 체인은 이더리움으로, 약 6억7146만 달러 규모의 자금이 유입됐다.
뒤이어 ▲아비트럼(2억9422만 달러) ▲베이스(1억3336만 달러) ▲스타크넷(8762만 달러) ▲베라체인(7416만 달러) ▲솔라나(6162만 달러) 순으로 유입세가 이어졌다.
또한 ▲아발란체 C-체인(4624만 달러) ▲유니체인(4459만 달러) ▲폴리곤 PoS(4314만 달러) ▲OP 메인넷(1323만 달러)도 비교적 뚜렷한 자금 유입을 보였다.
유출 상위 체인
같은 기간 가장 많은 자금 유출이 발생한 체인도 이더리움이다. 총 6억5719만 달러가 빠져나가며 가장 큰 유출세를 기록했다.
그 외에도 ▲아비트럼(2억3518만 달러) ▲유니체인(1억4404만 달러) ▲스타크넷(9366만 달러) ▲베이스(9327만 달러) ▲폴리곤 PoS(7324만 달러) ▲솔라나(4822만 달러) 순으로 유출 규모가 컸다.
▲베라체인(3296만 달러) ▲아발란체 C-체인(3239만 달러) ▲비트코인(1865만 달러) 역시 일정 수준 이상의 자금 유출이 확인됐다.
순유출입 상위 체인

브리지 자산의 순유출입 규모를 보면 ▲아비트럼이 약 5904만 달러로 가장 많은 순유입을 기록했다. 총 2억9422만 달러가 유입되고 2억3518만 달러가 유출되며 뚜렷한 자금 유입 흐름을 보였다.
이어 ▲베라체인(4120만 달러) ▲베이스(4009만 달러) ▲이더리움(1427만 달러) ▲아발란체 C-체인(1385만 달러) ▲솔라나(1339만 달러) 순으로 순유입이 이어졌다.
반면, 순유출이 두드러졌던 체인은 ▲유니체인(–9944만 달러)이다. 총 4459만 달러가 유입된 반면, 1억4403만 달러가 유출되며 대규모 자금 이탈이 발생했다.
이어 ▲폴리곤 PoS(–3009만 달러) ▲비트코인(–1549만 달러) ▲소닉(–964만 달러) 순으로 순유출세가 이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