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매사추세츠주 소속 엘리자베스 워런(Elizabeth Warren) 상원의원이 암호화폐 규제를 위한 법제화 필요성을 다시 한 번 강조했다. 그녀는 최근 MSNBC와의 인터뷰에서 "암호화폐 산업이 규제의 방향을 좌우해서는 안 된다"며, 투자자 보호가 법안의 핵심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워런 의원은 "정치인이 암호화폐를 거래하는 행위를 제한해야 한다"며, 공직자의 투기적 활동이 정책 결정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을 우려했다. 이어 "시장 전반의 안정성을 해치는 암호화폐 붕괴를 막기 위해 최소한의 안전장치라도 마련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는 암호화폐가 시스템 리스크로 확대될 가능성을 사전 차단하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그녀는 지난 6월 논란의 중심에 섰던 ‘GENIUS 법안’에 반대표를 던진 바 있다. 이와 관련해 워런 의원은 인터뷰에서도 해당 법안에 대해 별다른 비판을 가하지 않았으며, 오히려 규제 원칙에 대한 확대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피력했다. 이는 단순한 반대를 넘어 보다 강력하고 명확한 법적 틀이 필요하다는 메시지로 읽힌다.
진보 성향의 대표 정치인으로 꼽히는 워런 의원의 이 같은 발언은 규제 도입에 회의적인 정치인들과 대비되는 태도다. 이에 대해 암호화폐 전문 투자회사 파라다임(Paradigm)의 규제 담당 부사장 저스틴 슬로터(Justin Slaughter)는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워런 의원이 드디어 암호화폐 규제를 미흡하나마 수용하고 있는 모습"이라고 평가하며, 일부 진전된 태도 변화로 해석할 수 있다고 전했다.
다만 시장 내에서는 워런 의원의 발언이 단기적 정책 변화보다는 중장기적인 입법 방향성에 초점을 맞춘 신호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그녀는 수차례 강경한 입장을 밝혀온 만큼, 향후 미국 의회에서 암호화폐 관련 규제가 보다 본격적인 공론화 단계로 진입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번 발언은 특히 미국 대선이 다가오는 시점에서, 주요 정치인들이 암호자산 문제를 경제 및 금융정책 의제로 끌어올리고 있음을 시사한다. 암호화폐 산업 전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법적 틀의 강화는 업계에도 상당한 방향성을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