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본격적인 사이버 보안 강화를 위해 정보통신과 금융업계를 아우르는 공동 대응체계를 발표했다. 해킹 등 디지털 위협이 갈수록 정교해지고 있는 가운데,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금융위원회가 공동 보조를 맞춰 피해 확산을 막겠다는 전략이다.
류제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2차관과 권대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9월 19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공동 브리핑을 열고, 최근 증가하는 해킹 시도에 대응하기 위한 협력방안을 발표했다. 이번 조치는 정보기술 인프라와 금융 시스템이 서로 밀접하게 연결돼 있는 현실을 반영한 것으로, 한쪽의 보안 취약점이 다른 분야로 확산될 가능성을 사전에 차단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최근 몇 년간 국내외에서는 국가 기반시설을 겨냥한 사이버 공격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특히 AI(인공지능)와 사이버 병기가 결합하면서 기존 방식보다 훨씬 교묘하고 피해 범위도 넓어진 상황이다. 이처럼 위험이 복합화되면서 정부 역시 경계를 한층 높이고 있다. 금융권 해킹은 단순 정보 유출을 넘어 실물 경제에 직접적인 타격을 줄 수 있는 만큼, 선제적인 조치가 불가피하다.
이번 협력은 실질적인 기술 공유, 위기 대응 훈련 강화, 업계와의 협업 체계 구축 등을 포함하고 있다. 과기정통부는 통신망과 클라우드 등 ICT 영역을 관할하고, 금융위는 금융회사의 정보보호 실태를 상시 점검하는 등 역할을 분담해 효율적인 대응이 가능하도록 설계됐다. 이밖에도 양 부처는 긴급상황 발생 시 공동 대응 프로토콜을 따르고, 주기적으로 민간 전문가들과 합동 훈련도 실시할 계획이다.
정부의 이번 발표는 최근 국제 해킹 조직들의 국내 시스템 침투 시도에 대한 우려가 고조된 시점에 맞춰 나온 것이다. 양 부처는 점점 더 지능화되는 공격에 대응하기 위해 단순 예방을 넘어, 실제 침투 상황을 가정한 ‘레드팀’ 훈련 확대, 해킹 탐지 인력의 전문화 등도 추진할 방침이다.
이 같은 흐름은 앞으로 국가 핵심 인프라를 겨냥한 해킹 공격이 일상화되는 환경 속에서 정부 부처 간의 협업 모델이 더욱 중요한 대응 수단으로 자리잡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궁극적으로는 공공과 민간을 아우르는 통합 보안 체계 구축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