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대학 연구실 UPS 배터리 전수조사…화재 재발 막는다

프로필
연합뉴스
댓글 0
좋아요 비화설화 0

과기정통부가 화재 재발 방지를 위해 전국 대학 연구실의 UPS 배터리에 대한 전면 실태조사를 진행 중이다. 사용 연한 초과 여부와 외관 이상 여부 등을 점검해 안전을 강화한다.

 대학 연구실 UPS 배터리 전수조사…화재 재발 막는다 / 연합뉴스

대학 연구실 UPS 배터리 전수조사…화재 재발 막는다 / 연합뉴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최근 전국 대학 연구실에서 사용되고 있는 무정전전원장치(UPS) 배터리에 대한 대대적인 안전 점검에 착수했다. 지난 9월 발생한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같은 사고의 재발을 막기 위한 선제적 조치다.

이번 실태조사는 전국 약 270개 대학 연구실을 대상으로 10월 24일까지 진행된다. 주요 점검 대상은 UPS에 탑재된 배터리 종류(납축전지나 리튬이온 배터리 등), 배터리의 사용 연한 초과 여부, 외관 손상이나 이상 징후 등이다. 각 연구실은 이를 자체 점검한 후 정부에 결과를 제출해야 한다.

과기정통부는 자체 조사에서 이상 소지가 확인되었거나, 관리 실태가 불분명한 기관에 대해서는 11월까지 별도 현장 점검을 이어간다는 계획이다. 현장에서는 UPS 및 배터리의 교체 주기 준수 여부, 보관 및 유지 상태 등을 종합적으로 살펴 사고 위험 요소들을 사전에 차단하겠다는 방침이다.

무정전전원장치는 전력 공급이 중단됐을 때 일정 시간 전기를 유지시켜주는 장치로, 연구실에서는 실험 장비나 저장 장치처럼 정전 시 큰 피해를 초래할 수 있는 설비에 폭넓게 사용된다. 특히 배터리 종류와 상태에 따라 화재 위험이 크게 달라지는 만큼, 정기적인 유지보수가 필수로 요구된다.

정부는 이번 점검을 계기로 대학과 연구기관이 자율적으로 UPS 배터리 상태를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안전 가이드를 철저히 따르도록 유도할 방침이다. 홍순정 과기정통부 미래인재정책국장은 “배터리는 널리 사용되지만, 관리가 소홀하면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며 연구환경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의 일환임을 강조했다.

이 같은 흐름은 앞으로 연구장비 운영에 있어 배터리 등 보조 설비에 대한 안전 규정 강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동시에 자율적 점검 체계와 정부의 관리감독이 병행되면서, 장기적으로는 과학기술 인프라의 전반적인 안전성과 신뢰도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0

추천

0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