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력공사와 전력거래소가 최근 5년간 총 341건에 달하는 해킹 시도에 노출된 것으로 드러나면서, 국가 핵심 전력 인프라에 대한 사이버 보안 문제에 우려가 커지고 있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허종식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9월 26일 한전과 전력거래소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인용해, 2021년부터 2025년 8월까지 두 기관을 겨냥한 해킹 시도가 각각 한전 230건, 전력거래소 111건으로 총 341건에 달한다고 밝혔다. 특히 2021년에만 112건으로 가장 많았고, 그 이후로는 다소 감소하고 있는 추세다. 연도별로 보면 2022년에는 98건, 2023년 57건, 2024년에는 45건, 올해 8월까지는 29건이 발생했다.
유형별로 살펴보면, 악성코드 유포가 전체 해킹 시도 가운데 절반을 넘는 54.3%를 차지하며 가장 빈번했다. 이외에도 비정상 접속 시도(19.4%), 서비스 거부 공격(11.7%), 홈페이지 공격(7.0%) 등 다양한 사이버 위협이 확인됐다. 이는 단순한 기술적 장난이 아닌 인프라 마비를 의도한 조직적인 시도로 볼 수 있어 안전망 강화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한전과 전력거래소는 각각 국내의 전력 공급과 운영을 책임지는 핵심 기관으로, 시스템이 마비될 경우 산업 전반은 물론 일상생활에도 직접적인 피해가 불가피하다. 특히 전력거래소는 실시간 수요에 따라 전국 전력 흐름을 조정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이곳의 피해는 곧 전국 규모의 정전이나 에너지 수급 혼란으로 이어질 수 있다.
허종식 의원은 “전력망은 한 번의 사이버 공격으로도 국가 전체가 흔들릴 수 있는 중요한 기반시설”이라며, “단순히 민간 영역을 넘어서 국가 주요 기간망도 위협받고 있는 만큼 정부 차원의 보다 정밀하고 체계적인 대응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같은 해킹 시도 감소 추세는 긍정적 신호로 볼 수도 있으나, 사이버 공격 수법이 점점 지능화되고 있는 만큼 단순 수치에 대한 안도보다는 대응 체계 전반의 점검과 고도화가 요구된다. 향후 정부가 국가 기반시설에 대해 보다 강한 방어 체계를 갖추지 않는다면, 실질적인 피해로 이어질 위험은 여전하다는 우려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