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서산시, AI 전기 셔틀 'CV1' 도입…현대차·엠티알 손잡고 DRT 혁신 확산

프로필
연합뉴스
댓글 0
좋아요 비화설화 0

서산시가 현대차와 협력해 AI 기반 DRT 플랫폼과 전기 셔틀 CV1을 도입해 교통약자 중심의 유연한 대중교통 시스템을 구축 중이다. CV1은 향후 통학차·경찰차 등 다양한 특수 목적 차량으로 확장 가능성이 있다.

 서산시, AI 전기 셔틀 'CV1' 도입…현대차·엠티알 손잡고 DRT 혁신 확산 / 연합뉴스

서산시, AI 전기 셔틀 'CV1' 도입…현대차·엠티알 손잡고 DRT 혁신 확산 / 연합뉴스

충청남도 서산시가 현대자동차의 전기차 기반 모빌리티 기술을 활용해 새로운 방식의 대중교통 서비스를 도입하면서, 전국 지방자치단체들의 '수요 응답 교통(Demand Responsive Transport·DRT)' 확산 흐름에 본격적으로 동참했다.

서산시는 지난 2월부터 인공지능 기반의 DRT 플랫폼 ‘셔클(Circle)’을 적용한 ‘행복버스’를 운행 중이며, 이번에는 여기에 더해 전용 친환경 전기차인 ‘CV1 셔틀’ 4대를 추가 도입하기로 했다. 기존에 운영하던 친환경 ‘카운티 일렉트릭’ 8대와 함께, 보다 다양한 노선과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유연한 대중교통 체계를 추진하는 셈이다.

CV1 셔틀은 현대차가 자체 개발한 전동화 상용 플랫폼 ‘ST1 샤시캡’을 기반으로 특수차량 제조업체 엠티알이 제작한 차량이다. 이 셔틀은 실내고가 높고 저상형 차체 구조를 갖춰 노약자나 교통약자 이용에 적합하며, 자동 슬라이딩 스텝과 인공지능 기반 안내 시스템 등 편의 기능도 탑재해 있다.

현대차는 이번 차량 개발 과정에서 중소 특장업체인 엠티알을 밀착 지원해, 설계 단계부터 인증 절차까지 전반적인 가이드를 제공했다. CV1 차량에는 운전자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내장된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이 설치돼 있어, 별도의 장비 없이도 효율적인 배차 및 운행이 가능하다. 차량 내부에는 전력과 통신을 한 번에 연결할 수 있는 ‘플러그 앤 플레이’ 커넥터도 적용됐다.

이 같은 구조를 바탕으로 엠티알은 이후 CV1 파생 모델을 통해 어린이 통학차, 장애인용 차량, 응급 구조차량, 경찰차 등 다양한 특수 목적 차량 개발을 계획하고 있으며, 현대차 역시 중소기업의 상용차 제작 참여를 확대하고 ST1 기반 플랫폼의 판매를 늘리겠다는 방침이다.

한편 현대차가 2021년부터 실증·운영 중인 셔클 플랫폼은 현재 전국 30개 지자체, 총 68개 지역에서 361대가 운행 중이다. 2025년 7월 기준 누적 탑승객은 이미 1,132만 명을 돌파했다. 이처럼 DRT와 맞춤형 차량이 결합한 시스템은 대중교통 접근성이 취약한 지역 중심으로 더욱 확산될 가능성이 있으며, 향후 자율주행 기술과 융합되면 또 다른 전환점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0

추천

0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