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해 복지와 돌봄 서비스를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청사진을 내년 상반기까지 마련하기로 하면서, 관련 분야의 디지털 전환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보건복지부는 9월 10일 'AI 복지·돌봄 혁신 추진단'의 두 번째 회의를 열고 이러한 계획을 공식화했다. 이 추진단은 지난 8월 출범해 복지와 돌봄 분야에 인공지능 기술을 접목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논의하고 있으며, 이번 회의는 점차 구체화 단계에 접어든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번 회의에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사회보장정보원, 중앙사회서비스원, 국민건강보험공단 등 복지 정책 및 서비스와 관련 있는 주요 기관들이 대거 참여했다. 복지부는 이들과 협력해 인공지능 기반의 맞춤형 상담, 돌봄 수요 조기 감지, 서비스 연계 자동화 등 다양한 기술적 응용 가능성을 검토할 예정이다.
특히 주목할 점은 이번 정책 구상이 단순한 구상선에서 머무르지 않고, 실제 예산 투입을 통해 현실화의 발판을 마련했다는 점이다. 올해 새롭게 편성된 관련 예산은 전체 359억 원 규모로, 이 가운데 300억 원은 AI 응용 제품의 신속 상용화를 지원하는 종합 사업(AX-Sprint)에, 59억 원은 복지상담 자동화와 위기 상황 조기 감지 시스템 시범사업에 각각 배정됐다. 이는 기술 개발과 서비스 도입을 병행하겠다는 정부 의지를 보여주는 대목이다.
복지부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과 함께 AI 복지 로드맵의 기초 연구를 착수할 방침이며, 이를 바탕으로 실효성 있는 정책들을 순차적으로 추진하겠다는 입장이다. 이스란 보건복지부 제1차관은 "국민이 피부로 느낄 수 있는 변화가 가장 중요하며, AI와 인간이 조화를 이루는 사회적 기반을 조성하겠다"고 강조했다.
이 같은 흐름은 향후 고령화와 돌봄 인력 부족이라는 사회적 문제를 기술 기반으로 대응하려는 정부의 방향성과 맞닿아 있다. 향후 정책 실행 과정에서 실제 서비스의 품질 향상과 현장 적용 가능성이 입증된다면, 복지 분야 전반에 걸친 디지털 혁신이 가속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