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네이티브 기술의 핵심 주자로 떠오른 트래픽랩스(Traefik Labs)가 급변하는 IT 환경 속에서 입지를 더욱 강화하고 있다. 최근 열린 'KubeCon + CloudNativeCon NA 2025' 행사에서 이 회사는 주요 파트너십 확대와 함께 AI 게이트웨이 통합 및 인그레스 NGINX를 대체하는 매끄러운 마이그레이션 전략을 공개하며 시장의 주목을 받았다.
트래픽랩스는 하이브리드, 멀티클라우드, 소버린 환경에 걸쳐 일관된 운영 모델을 제공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수디프 고스와미(Sudeep Goswami) 최고경영자(CEO)는 뉴타닉스(Nutanix) 및 오라클(Oracle)과의 새로운 협력을 통해 가상머신, 컨테이너, 서버리스 환경을 통합하는 ‘유니파이드 애플리케이션 인텔리전스’ 개념을 제시했다. 고스와미 CEO는 “애플리케이션 계층을 담당하는 트래픽과, 인프라 및 전송 계층을 책임지는 파트너 간의 결합은 유연한 인프라 운영을 가능하게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같은 통합 전략은 단지 기술적 조합에 그치지 않는다. 특히 운영 효율을 중시하는 기업들은 점점 더 단일한 클라우드 운영 모델을 요구하고 있으며, 트래픽은 이 같은 요구에 부응해 완전한 선언형 구성과 인프라 코드 기반 접근 방식을 계속 고수하고 있다. 이는 고립된 환경이나 공공 클라우드, 프라이빗 클라우드 등 어떤 조건의 워크로드에서도 일관된 사용자 경험을 보장한다는 의미다.
고스와미 CEO는 비용, 컴플라이언스, 리스크 요인이 클라우드 전략의 중심에 있는 현 상황에서 '옵셔널리티', 즉 선택권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공공 클라우드와 프라이빗 클라우드를 모두 경험한 기업들이 이제는 비용 통제와 규정 준수를 바탕으로 최적화를 추구하고 있다”며, “트래픽은 이러한 복합적 요구에 맞는 유연한 대안을 제공한다”고 말했다.
트래픽의 행보는 단순한 기술 진화가 아니라, 클라우드 인프라 생태계 전반에 걸친 철학적 전환을 시사한다. 인프라 최적화와 AI 통합이라는 두 개의 대세 흐름에 대응하며, 기업들과의 전략적 제휴를 확장하는 트래픽의 접근 방식은 클라우드 네이티브 운영에 있어 점점 더 매력적인 해답이 되어가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