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030년까지 인공지능(AI) 분야에서 세계 3대 강국으로 도약하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이를 위한 국가 차원의 종합 전략을 추진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약 25조 원의 예산을 투입하고, 인프라 구축부터 제도, 교육까지 전방위적인 방안을 마련한 것이 핵심이다.
우선 정부는 ‘AI 고속도로’라는 이름의 디지털 인프라 프로젝트를 시작한다. 첨단 그래픽처리장치(GPU) 5만 장 이상과 대규모의 고품질 데이터를 확보해 이를 민간 기업과 연구기관 등에 제공함으로써, 국내 AI 생태계를 전반적으로 강화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산업 전반의 디지털 전환을 촉진하고, 지역 간 격차 해소를 위해 AI 활용 기반을 전국적으로 확산시킬 방침이다. 정부는 이를 경부고속도로(1970년대)나 초고속인터넷망 구축(1990년대 말)에 비견되는 국가적 전환점으로 간주하고 있다.
AI를 단순한 산업 기술로 보는 데 그치지 않고, 국민 생활 속으로 깊숙이 확산시키려는 시도도 병행된다. 이른바 ‘AI 기본사회’ 구현이 그 목표로, 모든 국민이 손쉽게 AI에 접근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교육과 인프라 지원을 강화한다. 또한, 재난 예측·대응, 세무 행정, 법률 상담, 복지 서비스 등 공공 분야에도 AI를 전면 도입해, 궁극적으로는 ‘세계 1위 AI 정부’로 거듭나겠다는 의지를 내비쳤다.
이러한 범정부 차원의 AI 정책을 조율할 조직으로는 대통령 직속의 ‘국가 AI 위원회’가 중심 역할을 맡는다. 향후 이 위원회는 각 행정부처의 정책을 종합적으로 심의·조정하며, 데이터를 포함한 핵심 자산이 효율적으로 공유·활용될 수 있도록 관리 체계를 강화하게 된다.
정부는 이 같은 전략들과 별개로도 인공지능 관련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해 꾸준히 투자를 늘려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현재 네이버클라우드, SK텔레콤, LG AI 등 민간 기업들과 공동으로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며, 여기에 연구개발 자금, GPU, 데이터 등을 집중 지원 중이다. 이와 함께 ‘국민성장펀드’ 100조 원 조성 계획도 병행되며, AI 혁신펀드 역시 당초 예정했던 900억 원에서 3천억 원으로 크게 확장됐다. 기업 투자를 장려하기 위한 세제 혜택과 규제 완화 방안도 논의되고 있다.
이 같은 정책 흐름은 앞으로 국내 AI 기술 경쟁력 강화를 넘어,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사회 질서를 정착시키는 데까지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특히 AI 고속도로와 같은 기반 인프라가 조기에 안착할 경우, 국내 기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도 한층 가속화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