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미국 첫 솔라나(SOL) 스테이킹 ETF 출시…크립토 전통 금융과 본격 통합 신호탄

프로필
손정환 기자
댓글 2
좋아요 비화설화 4

미국 최초의 솔라나 스테이킹 ETF가 7월 2일 상장되며 암호화폐와 전통 금융의 융합이 본격화되고 있다. 발행사는 규제 우회 구조를 통해 SEC 장벽을 넘었다.

 미국 첫 솔라나(SOL) 스테이킹 ETF 출시…크립토 전통 금융과 본격 통합 신호탄 / TokenPost Ai

미국 첫 솔라나(SOL) 스테이킹 ETF 출시…크립토 전통 금융과 본격 통합 신호탄 / TokenPost Ai

미국에서 첫 솔라나(SOL) 스테이킹 ETF가 이번 주 공식 출시되며, 투자자들이 디지털 자산을 통해 수익을 얻을 수 있는 새 지평이 열리고 있다. 오는 7월 2일 상장 예정인 ‘REX-오스프리 솔라나 스테이킹 ETF(티커 SSK)’는 투자자에게 솔라나 블록체인 검증에 참여함으로써 보상을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최초의 상품이다.

이번 ETF는 블룸버그 보도에 따르면 관련 사안을 잘 아는 인사의 말을 인용해 승인 절차를 마쳤다. ETF 전문 분석가인 에릭 발추나스(Eric Balchunas)에 따르면, 발행사는 규제 장벽을 피하기 위해 펀드 자산의 40% 이상을 해외에 기반을 둔 다른 솔라나 관련 ETF에 투자하는 형태로 구조를 설계했다.

스테이킹 기능을 ETF에 연계하는 방식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법적 정의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다는 이유로 초기 승인이 철회되는 등 제도적 난관에 부딪혔지만, 발행사는 일정 비율 이상을 기존 ETF에 재투자하는 방식으로 타협점을 찾았다. 이 중 상당수는 스테이킹된 SOL을 추종하는 해외 상장지수상품(ETP)들로 구성돼 있다.

FRNT 파이낸셜의 데이터 및 분석 책임자인 스트라히냐 사빅(Strahinja Savic)은 블룸버그에 "스테이킹 수익을 제공하는 ETF의 등장은 전통 금융 시장과 암호화폐 경제 간 상호작용이 본격화되고 있다는 증거"라며, "이 상품은 트럼프 행정부가 공공 시장을 통해 암호화폐를 미국 경제에 통합하려는 움직임의 일환"이라고 평가했다.

이번 신규 ETF 출시는 최근 시장에 출시된 변동성 주도 솔라나 ETF인 SOLZ 및 레버리지 상품 SOLT에 이은 후속 조치다. 미국 내 ‘크립토 ETF의 여름 시즌’이 본격 개막했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시장 반응도 즉각적이었다. 관련 소식이 전해진 직후 솔라나(SOL) 가격은 일중 저점인 150달러(약 20만 8,500원)에서 158달러(약 22만 200원)까지 약 5.3% 급등했다. 하지만 상승세는 일시적이었고, 이후 153달러(약 21만 2,700원) 수준으로 소폭 조정됐다. 지난 일주일 간 SOL은 7% 가까이 상승하며 알트코인을 중심으로 한 시장 회복 흐름을 반영했다.

다만 솔라나는 여전히 1월 기록한 사상 최고가 대비 50% 이상 하락한 상태로, 그 당시 급등은 밈코인 열풍에 힘입은 일시적 현상으로 평가받는다.

기존 금융 시스템과 암호화폐 생태계의 경계가 빠르게 허물어지고 있는 가운데, 이번 솔라나 스테이킹 ETF 출시는 양자 간 본격적인 통합의 신호탄이 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2

추천

4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4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위당당

16:20

등급

사계절

16:08

등급

바다거북이

15:53

등급

낙뢰도

15:37

댓글 2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사계절

2025.07.01 16:08:59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낙뢰도

2025.07.01 15:38:06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