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비트코인파이, 2분기 예치금 73억 달러 돌파…“디지털 금에서 온체인 금융으로”

프로필
서도윤 기자
댓글 2
좋아요 비화설화 2

비트코인 기반 디파이 생태계 ‘비트코인파이’가 스테이킹·대출·스테이블코인을 중심으로 총 73억 달러 이상의 예치금 기록하며 급성장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를 비트코인의 온체인 금융 플랫폼 전환 신호로 평가했다.

 비트코인파이, 2분기 예치금 73억 달러 돌파…“디지털 금에서 온체인 금융으로” / TokenPost.ai

비트코인파이, 2분기 예치금 73억 달러 돌파…“디지털 금에서 온체인 금융으로” / TokenPost.ai

비트코인의 디파이 생태계 확장을 뜻하는 '비트코인파이(BitcoinFi)'가 지난 2분기에도 눈에 띄는 성장세를 보였다. 블록체인 인프라 기업 마에스트로(Maestro)에 따르면, 비트코인 기반 금융 플랫폼은 이제 단순한 가치 저장 수단을 넘어 온체인 금융의 중심으로 발전하고 있다.

마에스트로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비트코인이 탈중앙화 금융(DeFi)과 전통 금융(TradFi)의 연결고리가 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마에스트로 공동창업자이자 CEO인 마빈 베르탱(Marvin Bertin)은 “비트코인 생태계 내에서 거래소, 대출, 스테이블코인 등 핵심 금융 인프라가 처음으로 완비됐다”며 “이는 비트코인이 정적인 준비 자산이 아닌 동적인 금융 플랫폼으로 진화하고 있다는 방증”이라고 평가했다.

비트코인파이의 대표 사례는 스테이킹이다. 현재 총 예치된 비트코인은 6만8,500개로, 시가 기준 약 73억 9,000만 달러(약 1조 258억 원)에 달한다. 이 중 재스테이킹된 금액도 약 33억 2,000만 달러(약 4,621억 원)에 이른다. 가장 큰 플랫폼은 바빌론(Babylon)으로 약 47억 9,000만 달러(약 6,653억 원)를 맡고 있다. 솔브(Solv), 롬바드(Lombard), 코어DAO(CoreDAO) 등은 유동성 스테이킹 토큰(LST), 듀얼 스테이킹 모델 등 다양한 전략으로 생태계를 확장 중이다.

비트코인 대출 부문도 주목받고 있다. 리퀴디움(Liquidium)은 비트코인 네이티브 대출을 선도하며 총 5억 달러(약 6,950억 원) 이상의 채권 거래량을 달성했다. 한편, 코어DAO의 듀얼 스테이킹은 약 6억 1,500만 달러(약 8,554억 원) 상당의 비트코인이 예치되어 있으며, 블록 보상과 수수료 쉐어로 수익을 제공하고 있다.

확장 레이어인 레이어2와 사이드체인도 빠르게 증가 중이다. 해당 레이어들의 총 예치 자산은 약 55억 2,000만 달러(약 7조 6,728억 원)를 넘었다. 특히 스택스(Stacks)는 올해 2분기 동안 가파른 성장세를 보였고, 사이드체인 외에 롤업과 실행 레이어 도입이 늘면서 비트코인 생태계는 프로그래밍 가능성을 현실화하고 있다.

비트코인 기반 메타 프로토콜도 살아나고 있다. 룬(Runes), 오디널(Ordinals), BRC-20 토큰은 올해 상반기에 전체 비트코인 거래 중 40.6%를 차지했으며, BRC-20 거래량은 약 1억 2,800만 달러(약 1,779억 원)에 달했다. 오디널의 경우, 상반기까지 약 8,000만 건 이상이 발행되며 거래 수수료로 약 6,940 BTC(약 681억 원)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스테이블코인 부문에서는 약 8억 6,000만 달러(약 1조 1,954억 원)가 예치되어 있으며, 이 중 대부분은 L2 환경을 기반으로 한 담보형(CDP) 스테이블코인이다. 특히 아발론(Avalon)의 USDa는 약 5억 5,900만 달러(약 7,761억 원) 수준의 유동성을 확보했고, 헤르메티카(Hermetica) 같은 고수익(연 25%) 상품도 인기를 끌고 있다.

가장 눈에 띄는 변화 중 하나는 벤처투자다. 2025년 상반기만 해도 비트코인파이 관련 프로젝트에 1억 7,500만 달러(약 2,433억 원)가 32건의 투자로 유입됐다. 이 중 20건은 디파이 앱이나 커스터디 서비스 등 사용자 지향적 제품에 집중됐다. 기존 인프라보다는 실용성에 초점이 맞춰지고 있다는 평가다.

대표적 투자사로는 판테라캐피털, 파운더스펀드, 스탠다드크립토 등이 있으며, 이들의 참여는 비트코인파이가 더는 실험적인 영역이 아니라는 것을 방증한다. 전통 금융사와 암호화폐 네이티브 자본이 동시에 진입하는 추세가 형성되고 있다.

결국 비트코인파이는 저장 수단이라는 본연의 정체성을 유지하면서도, 프로그래밍성과 수익화를 통해 새로운 금융 세계를 구축해가고 있다. 비트코인의 미래는 ‘디지털 금’에 머물지 않을 전망이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2

추천

2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2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낙뢰도

19:10

등급

사계절

18:45

댓글 2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낙뢰도

2025.08.10 19:10:15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사계절

2025.08.10 18:45:24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