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BNB체인, ‘페르미 하드포크’ 단행…블록 생성 속도 40% 단축

프로필
서도윤 기자
댓글 0
좋아요 비화설화 0

BNB체인이 페르미 하드포크를 통해 블록 간격을 450ms로 줄이고 거래 효율성을 대폭 높일 계획이다. 이번 개선안은 테스트넷에서 실시된 후 메인넷에 적용될 예정이다.

 BNB체인, ‘페르미 하드포크’ 단행…블록 생성 속도 40% 단축 / TokenPost.ai

BNB체인, ‘페르미 하드포크’ 단행…블록 생성 속도 40% 단축 / TokenPost.ai

BNB체인이 성능 개선을 위한 대규모 업그레이드에 나선다. 이른바 ‘페르미(Fermi) 하드포크’로, 블록 생성 시간을 대폭 줄여 거래 효율성과 네트워크 처리량을 한층 끌어올릴 계획이다.

BNB체인 개발팀은 최근 공식 트위터를 통해 이번 페르미 하드포크의 테스트넷 도입 일정을 공개했다. 테스트넷에는 오는 11월 10일 오전 11시 25분(한국시간 기준)부터 적용되며, 메인넷 출시 일정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메인넷 업그레이드는 테스트넷에서 충분한 스트레스 테스트를 거친 뒤 시행될 예정이다.

이번 하드포크의 핵심은 블록 간격(Block Interval)을 기존 750밀리초(ms)에서 450ms로 약 40% 단축하는 것이다. 블록 간격이 짧아지면 거래 처리 속도가 빨라지고, 전체 네트워크의 처리 효율도 개선된다. 이는 사용자 입장에서 전반적인 사용 경험 향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페르미 하드포크에는 블록체인 개선 제안서(BEP) 5가지도 포함됐다. 대표적으로는 ‘최종성 안정성을 위한 확장된 투표 규칙(BEP-590)’, ‘450ms 블록 간격을 위한 단계적 조정안(BEP-619)’, ‘합의에 기반하지 않는 블록 수준 접근리스트(BEP-592)’, ‘점진적 스냅샷 기능(BEP-593)’, ‘이더리움 가상머신(EVM) 최적화 명령어 구현(BEP-610)’ 등이 있다. 이 외에도 소프트웨어 v1.6.2에는 채굴자, MEV(Maximal Extractable Value) 처리, 성능 측면에서의 추가 개선사항과 신규 기능이 포함될 예정이다.

BNB체인은 최근 디파이 프로토콜인 밸런서(Balancer)에서 발생한 1억 1,700만 달러(약 1,170억 원) 규모의 해킹 이후 보안 점검도 강화하고 있다. 현재로선 BNB체인 기반 프로젝트엔 피해가 미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지만, 포크된 프로젝트의 경우 운영을 잠시 멈추고 보안 점검을 강화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페르미 하드포크는 단순한 블록 시간 단축을 넘어, BNB체인의 기술적 진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분기점으로 평가된다. 성공적으로 메인넷에 적용될 경우, 속도와 확장성 경쟁이 치열한 블록체인 인프라 시장에서 BNB체인이 한층 더 강력한 입지를 다질 것으로 기대된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0

추천

0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