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블록체인, 제도권 수용 가속에 ‘탈중앙화 본질’ 흔들…“사회 기술로서의 방향 잃을 수도”

프로필
서도윤 기자
댓글 0
좋아요 비화설화 0

블록체인의 제도권 진입 가속화와 함께 탈중앙화라는 본질이 훼손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아즈텍랩스 CEO는 블록체인이 단순 효율 기술에 머물며 사회적 조정 수단으로서의 가치를 잃고 있다고 경고했다.

 블록체인, 제도권 수용 가속에 ‘탈중앙화 본질’ 흔들…“사회 기술로서의 방향 잃을 수도” / TokenPost.ai

블록체인, 제도권 수용 가속에 ‘탈중앙화 본질’ 흔들…“사회 기술로서의 방향 잃을 수도” / TokenPost.ai

블록체인 기술이 기존 금융 시스템과 탈중앙화 정신 사이에서 갈림길에 서 있다. 제도권 수요가 급증하며 제도 중심의 방향으로 흘러가는 가운데, 초기 철학을 지켜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자크 윌리엄슨(Zac Williamson) 아즈텍랩스(Aztec Labs) 최고경영자는 최근 인터뷰에서 “블록체인이 단지 비자(Visa)나 마스터카드보다 약간 더 효율적인 결제 인프라로 수렴할 위험이 있다”며 “사회적 조정 기능이 사라진다면 기술의 핵심 가치는 무의미해진다”고 경고했다.

그는 원래 입자물리학 분야 연구자였으나 2017년 블록체인 스타트업의 개발 제안을 계기로 암호학, 특히 ‘영지식증명(Zero-Knowledge Proof)’ 분야에 뛰어들었고 개인 정보 보호 중심의 이더리움 레이어2 솔루션인 아즈텍랩스를 공동 창업했다.

윌리엄슨은 “블록체인은 기존 금융 시스템에 대한 대안으로 시작됐지만, 지금은 기관 채택이 중심이 됐다”며 “이런 흐름 속에서 블록체인의 본질적 목적이 퇴색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동시에 그는 탈중앙화 거버넌스의 실패 사례들이 블록체인이 사회적 조정(coordination) 수단으로서의 길을 잃게 만든 주요 요인이라고 분석했다.

실제로 최근 리플(Ripple)이 기관 시장 확대를 위해 팔리세이드(Palisade)를 인수하는 등 대형 암호화폐 기업들이 본격적으로 제도권 진출에 나서면서, 개발자들은 블록체인의 본질에 대한 고민을 다시금 하게 만들고 있다.

블록체인이 단순한 기술 그 이상이 되기 위해서는 사회적 참여와 협력이 뒷받침돼야 한다는 주장이 다시 제기되는 가운데, 기술의 진화 방향이 단순한 ‘효율 강화’에 그칠지, 아니면 공동체 중심의 ‘사회 기술’로 자리잡을지는 여전히 미지수다.

기사요약 by TokenPost.ai

🔎 시장 해석

블록체인의 제도권 진입 가속화는 산업 발전의 중요한 전환점이지만, 탈중앙화라는 핵심 철학이 훼손될 우려도 커지고 있다. 투자자와 개발자 모두 기술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다.

💡 전략 포인트

- 영지식증명(ZKP) 같은 프라이버시 중심 기술의 성장은 탈중앙화 유지에 필수

- 기관 존중과 커뮤니티 중심 거버넌스 사이 균형 모색 필요

📘 용어정리

- 영지식증명(ZKP): 본인의 정보를 직접 공개하지 않고도 사실을 증명할 수 있는 암호 기술

- 레이어2: 블록체인의 확장성과 속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보조 네트워크

- 사회적 조정(Social Coordination): 블록체인 참여자들이 규칙이나 목적에 따라 자발적으로 협업하는 구조

TP AI 유의사항

TokenPost.ai 기반 언어 모델을 사용하여 기사를 요약했습니다. 본문의 주요 내용이 제외되거나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0

추천

0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