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33 "투기자본 BTC→ETH 전환 중...이번 주 변동성 유의"
K33은 최근 OG 고래의 8만 BTC 매도에도 불구하고 기업 매수, ETF 유입에 힘입어 BTC가 회복력을 유지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7월 기업, ETF는 115,165 BTC를 매수했다. 갤럭시 매도량을 빼면 35,165 BTC 순매수다. 무기한 선물 미결제약정은 30만 BTC를 돌파하면서 2024년 말 이후 최대 수준에 달했다. 하지만 펀딩비율은 중립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K33는 갤럭시 같은 OTC 데스크의 헷지 영향일 수 있다고 분석하며 미결제약정 증가가 연쇄 청산 위험을 증가시킨다고 경고했다. 이더리움에 대해서는 "6월 중순 이후 ETH ETF 순유입이 급증해 지난 6주 동안 160만 ETH가 유입됐다. ETH가 BTC 시가총액의 1/5에도 미치지 못함에도 불구하고 7월 ETF 유입은 이더리움 51억 달러, 비트코인 57억 달러로 집계됐다. CME 비레버리지 액티브 플레이어들의 미결제약정은 7월에 527,000 ETH 증가했는데, 이는 기관 투자자들이 헷지 전략을 넘어 방향성 매수 포지션을 취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신호다. ETH 미결제약정 도미넌스(지배력)는 2023년 4월 이후 최고 수준(40%)으로, 이는 BTC에서 ETH로의 의미 있는 투기적 전환을 시사한다. 한편 백악관 암호화폐 보고서, 8월 1일 관세 마감일, FOMC 회의, 미국 고용지표 등으로 이번 주 시장 변동성은 높아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더리움 언스테이킹 74만명 대기...역대 최다
이더리움 밸리데이터 언스테이킹 대기열이 74.4만명에 달해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고 더블록이 보도했다. 불과 2주 전만 해도 일평균 1000명 미만이었다. 매체는 대기열 급증 이유로 아베(Aave) 차입 금리와 관련한 유동성 쇼크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일주일 전 16.7만 ETH($6.3억)가 아베 대출풀에서 출금돼 아베의 wETH 금리 연이율이 약 3% 수준에서 두 자릿수로 급등했다. 차입 비용 상승으로 인해 stETH/LRT 루프 레버리지 거래 전략이 타격을 받아 트레저리, 고래 투자자들은 대출금과 원금을 상환하기 위해 ETH가 필요해졌다.
JP모건 “코인베이스, 서클로 최소 $550억 경제가치 확보”
JP모건이 보고서를 통해 “코인베이스는 올 1분기에만 서클을 통해 3억 달러 상당의 수익을 얻었다”고 밝혔다.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보고서는 “시장은 USDC 생태계의 전략적 중요성을 아직 간과하고 있다. 코인베이스가 서클을 통해 얻게 될 경제적 가치는 총 550억~600억 달러 규모일 것으로 추산된다. 아울러 코인베이스는 지난 25일 기준 16억 달러 규모의 서클 주식 850만 주를 보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트웬티원, 테더서 5800 BTC 추가 수혈 예정
테더, 비트파이넥스, 칸토 피츠제럴드가 공동으로 설립한 비트코인 투자 회사 트웬티원 캐피털이 상장 전 테더로부터 5,800 BTC를 추가로 받을 예정이라고 밝혔다. 해당 물량을 수령하면 보유량은 43,500 BTC로 늘어난다. 앞서 미국 투자은행 캔터 피츠제럴드 특수목적법인인(SPAC) 캔터 에쿼티 파트너는 이달 초 트웬티원 캐피털과 합병을 추진 중이라고 밝힌 바 있다.
ECB “스테이블코인 확산, 유로존 통화정책 위협”
유럽중앙은행(ECB)이 스테이블코인의 빠른 확산이 유로존 통화정책에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고 파이낸셜타임즈가 보도했다. 유럽중앙은행(ECB) 고문 위르겐 샤프(Jürgen Schaaf)는 기고문을 통해 "달러 기반 스테이블코인이 유로 지역에서 결제, 저축, 청산 수단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될 경우, ECB의 통화 환경 통제력이 약화될 수 있다. 스테이블코인의 광범위한 사용은 유로존이 일부 신흥국처럼 '달러화된 경제' 상태로 전환될 위험이 있다. 이 경우 ECB는 금리 결정이나 통화량 조절에 있어 자율성을 상실하고, 미국 통화정책에 종속될 수 있다는 것이다"고 지적했다.
샤프링크 지난주 $2.9억 ETH 매수
이더리움(ETH)을 전략 비축하는 나스닥 상장사 샤프링크 게이밍(티커 SBET)이 7월 21일(현지시간)부터 27일까지 평단가 3,756달러에 77,210 ETH를 추가 매수했다고 X를 통해 밝혔다. 약 2억9000만 달러 상당이다. 총 보유량은 438,190 ETH로 늘었다.
비트마인, $10억 자사주 매입 방침
이더리움을 전략 매수하는 나스닥 상장 비트코인 채굴업체 비트마인(BMNR)은 이사회가 최대 10억 달러 상당의 자사주 매입을 승인했다고 밝혔다. 비트마인은 현재 625,000 ETH, 192 BTC를 보유하고 있다.
나스닥 상장사 ATNF, ETH 매입 목적 $4.25억 조달
나스닥 상장사 180라이프사이언스(ATNF)가 ETH 매수를 위해 4.25억 달러를 사모 조달한다고 밝혔다. 조달 후 사명을 ETH질리아 코퍼레이션(ETHZilla Corporation)으로 변경할 예정이다.
스탠다드차타드 “ETH $4000 넘는다…기관 자금 유입 지속”
외신에 따르면 스탠다드차타드 암호화폐 애널리스트 제프 켄드릭(Geoff Kendrick)이 “글로벌 상장 기업들이 이더리움을 전략 비축하는 영향으로 ETH 가격이 4,000 달러를 돌파할 가능성이 크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상장사들은 그간 BTC를 주로 매집해왔는데, 최근에는 ETH를 매집하는 기업들이 크게 늘었다. 기관들의 매수 강도만 놓고 봤을 때는 ETH가 BTC를 앞서고 있다. 아직 여러 국가에서 기관들의 암호화폐 직접 투자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기업을 통해 ETH 익스포저(노출)를 노리는 기관들도 많다”고 설명했다.
ETH 미결제약정 도미넌스 2년래 최고…BTC서 자금 이동
이더리움의 무기한 선물 미결제약정 도미넌스가 지난 2023년 4월 이후 최고 수준인 40%에 육박하고 있다고 온체인 분석업체 글래스노드가 전했다. 그러면서 “이는 투기적 관점이 바뀌고 있으며 비트코인에서 이더리움으로 자금이 이동하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하이퍼리퀴드 주문 및 청산 오류 발생
DEX 하이퍼리퀴드에서 오류가 발생하고 있다고 우블록체인이 전했다. 일부 유저들은 주문 및 청산을 할 수 없다고 제보했다. 담당자는 현재 이슈를 조사 중이라고 밝혔다.
BTC $118,000 하회
코인니스 마켓 모니터링에 따르면 BTC가 118,000 달러를 하회했다. 바이낸스 USDT 마켓 기준 BTC는 117,994.22달러에 거래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