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 "BTC, 21,000 달러선까지 밀려... 美 연준 매파적 스탠스 여파"]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가 "오는 26일 제롬 파월 미 연준 의장의 잭슨홀 심포지엄 연설 등 거시경제 불확실성으로 인해 비트코인(BTC)이 월요일 오후 21,000 달러선까지 밀려났다"고 분석했다. 비트코인은 7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록이 공개된 후 지난 5일간 약 10% 하락했다. 이와 관련 미국 외환 트레이딩 업체 오안다(Oanda)의 수석 애널리스트 에드워드 모야(Edward Moya)는 "잭슨홀 미팅을 앞두고 연준의 매파적 스탠스를 전망한 투자자들의 투심 악화로 위험 자산 시장 전반이 약세를 보이고 있으며, 비트코인 모멘텀이 증발했다. 월가의 대다수 전문가들은 미국의 인플레이션 이슈 해소에는 최소 2년 이상 걸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BTC는 현재 0.55% 내린 21,352.83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스테이블코인 프로젝트 아브라카다브라, 보유 CRV 물량 1/3 4년간 락업]
달러 연동 스테이블코인 매직인터넷머니(MIM) 발행 프로토콜 아브라카다브라(SPELL) 커뮤니티가 최근 진행한 AIP-9 거버넌스 투표에서 보유 CRV 물량 중 1/3을 4년간 락업하기로 결정했다. 아브라카다브라 트레저리는 수개월 전 평단가 0.6962 달러에 약 459.63만 CRV를 인수한 바 있다. 현재 아브라카다브라 트레저리는 1,400만 달러 상당의 10,380,153 CRV를 보유하고 있다. 또 5,843,907 MIM, 541,029 USDT, SPELL 제외 60만 개의 토큰도 보유하고 있어, 총 21,176,901 달러 상당의 암호화폐를 보유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약 330만 CRV가 락업 됨에 따라 veCRV(거버넌스 투표 참여용 토큰) 투표 권한은 아브라카다브라 풀로 양도된다. 이를 통해 유동성 기여자에 보다 많은 CRV 예치 보상을 지급하고, MIM 유동성 확대, SPELL 공급량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게 아브라 측의 설명이다. 또 아브라 측은 이번 CRV 락업을 통해 자체 CRV 래핑 토큰인 매직CRV를 출시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아브라카다브라의 거버넌스 토큰인 SPELL은 현재 코인마켓캡 기준 2.92% 내린 0.00148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해큰, 카탈라이즈 리서치와 전략적 파트너십 체결]
블록체인 업계 화이트 해커 집단인 해큰(Hacken)이 웹3 리서치 기업 카탈라이즈 리서치(Catalyze Research)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단독 파트너십에 따라 카탈라이즈 리서치는 해큰의 사이버 보안 솔루션 한국 진출을 지원하게 된다. 이를 기반으로 해큰은 카탈라이즈 리서치와 함께 국내 블록체인 산업에서 발생하는 사이버 해킹의 위험을 사전에 차단하고 예방하여 국내 블록체인 기업의 해킹 피해를 최소화할 계획이다.
[문빔, 이더리움 개발 환경 '파운드리 다큐멘테이션' 지원]
폴카닷(DOT) 기반 스마트 컨트랙트 파라체인 문빔(GLMR)이 공식 트위터를 통해 "이더리움 개발 환경인 파운드리 다큐멘테이션(Documentation for Foundry)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문빔은 "파운드리는 러스트(Rust) 코드로 작성했고, 문빔의 이더리움 API와 직접적으로 상호 작용할 수 있다. 또 문빔에 이더리움 스마트 컨트랙트 언어 솔리디티(Solidity)를 배포할 때도 활용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앱토스 마션월렛, 10만 다운로드 기록...키스톤 월렛 연동 지원]
페이스북이 추진하던 블록체인 프로젝트 디엠 개발자들이 창업한 레이어1 블록체인 스타트업인 앱토스(Aptos)의 자체 개발 암호화폐 지갑 마션월렛(MartianWallet)이 공식 트위터를 통해 "마션월렛 다운로드 수가 10만 건을 돌파했다"고 밝혔다. 아울러 마션월렛은 오픈소스 하드웨어 월렛 키스톤과의 연동을 지원한다고 덧붙였다. 마션월렛을 통해 사용자는 앱토스 블록체인 기반 디파이앱에 직접 액세스할 수 있으며 월렛은 현재 크롬 확장 프로그램과 아이폰 앱 버전이 제공되고 있다.
[이더리움 7일 평균 가스비, 2년래 최저]
글래스노드에 따르면 이더리움 7일 평균 가스 비용이 16.041 gwei로, 지난 2020년 7월 이후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직전 최저치는 21.518 Gwei였다. 코인마켓캡 기준 ETH는 현재 0.68% 오른 1,621.52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가상자산 운용사 하이퍼리즘, 클레이튼 네임 서비스에 투자]
더구루에 따르면 가상자산 운용사인 하이퍼리즘이 클레이튼 네임 서비스(KNS)에 투자를 단행했다. 상세 투자 내용은 공개되지 않았다. KNS는 클레이튼 기반 도메인 서비스로 가상 지갑 주소나 메타데이터 등의 길고 복잡한 주소를 간단한 도메인으로 변환해주는 서비스다. 하이퍼리즘 관계자는 "KNS는 클레이튼이 향후 폭넓게 확대되는 데 속도를 붙일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도메인 네임 서비스(DNS) 웹2 환경을 크게 바꾼 것처럼 KNS를 포함한 네임 서비스가 웹3 블록체인 시스템의 개선으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앞서 하이퍼리즘은 지난 6월 넷마블에프앤씨의 암호화폐 큐브(ITAMCUBE)에도 투자한 바 있다.
[페이팔, 코인베이스 주도 트래블룰 준수 그룹 '트러스트' 합류]
페이팔이 코인베이스 등 미국 암호화폐 관련 기업들이 주도하는 트래블룰 준수 그룹 트러스트(TRUST)에 합류했다. 코인베이스는 23일 블로그를 통해 이같은 사실을 알리며 "페이팔은 은행비밀보호법에 따라 트래블룰 준수를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트러스트는 지난 2월 출범했으며 현재까지 총 38개 회사가 가입돼 있다. 회원사로는 바이낸스US, 서클, 로빈후드, 팍소스, 제미니, 크라켄, 피델리티 등이 있다.
[아르헨티나 대선 후보, 암호화폐 폰지사기 조장 혐의로 고소 당해]
아르헨티나 대선 후보 하비에르 밀레이가 암호화폐 폰지사기를 조장한 혐의로 고소당했다고 디크립트가 전했다. 그는 작년 본인의 인스타그램 계정에 암호화폐 투자 플랫폼 코인엑스(CoinX)에 대한 홍보 글을 게시한 바 있다. 코인엑스는 AI, 봇 등을 통해 투자자들에게 막대한 수익을 보장한다고 광고했으나 투자자들에게 수익금을 지급하지 않았으며 지난 6월에는 미등록 플랫폼으로 간주, 현지 규제당국으로부터 운영 중단 명령을 받아 폐쇄됐다. 코인엑스 투자자들은 "밀레이의 조언을 따라 투자했으나 수익을 거두지 못했다"며 손해배상을 요구했다.
[업비트, 27개 암호화폐 백서 '한글판' 제공한다]
서울경제에 따르면 암호화폐 거래소 업비트는 암호화폐 백서 전문을 국문으로 번역해 제공한다고 23일 밝혔다. 백서는 암호화폐 발행 주체가 작성하는 일종의 ‘사업계획서’다. 백서에는 프로젝트 구성, 암호화폐 발행량 및 유통계획, 기술력 등이 담긴다. 이날 기준 업비트가 제공하는 국문 백서는 비트코인 백서를 비롯해 총 27개로, 최대 60쪽에 달하는 백서가 국문으로 제공된다. 업비트는 내년까지 업비트에서 거래되는 모든 디지털 자산에 대한 국문 백서를 제공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