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자산 실명계좌, 증권사에 허용 안 한다]
금융당국이 가상자산 거래에 필요한 가상자산 실명확인 계좌 발급 기관을 은행 외로 확대하지 않기로 했다. 은행의 과점 체제를 깨기 위한 여러 방안의 하나로 증권사에 이를 허용하는 방안이 금융권에서 제기됐지만, 금융당국은 선을 그었다. 실명확인 입출금계좌 제도는 2017년 말 ‘가상자산 거래실명제’를 시행하며 한국이 최초로 도입한 방안이다. 현재 국내는 은행만 실명확인계좌를 발급하고 있다. 금융당국은 증권사 등이 은행에 비해 자금세탁방지 역량이 상대적으로 낮은 데다 거래소 부실, 폐쇄 등 발생 시 계좌 개설 금융회사에도 다양한 부담이 발생할 수 있어 충분한 재무 능력을 보유한 기관이 담당할 필요가 있다고 봤다. 또 증권사에 가상자산 실명계좌 발급을 허용하는 것은 엄격한 정책적 방향성과 배치되며, 원화거래 가능 거래소의 난립으로 투자버블 등의 발생 우려가 있다고 했다.
[클린스파크, 2월 576 BTC 채굴...778 BTC 현금화]
비트코인 채굴업체 클린스파크(CleanSpark)가 보도자료를 통해 2월 총 576 BTC를 채굴했으며, 올들어 약 1,273 BTC를 채굴했다고 밝혔다. 또 클린스파크는 운영비 충당을 위해 2월 약 778 BTC를 평단가 23,000 달러에 현금화했다. 클린스파크의 2월 보유 해시레이트는 6.6 EH/s를 기록했으며 2월 28일 기준 100 BTC를 보유 중이다.
[비트멕스 공동 창업자 "강대국 간 에너지 분쟁... BTC 채굴에 영향"]
비트멕스 공동 창업자 아서 헤이즈(Arthur Hayes)가 자신의 블로그를 통해 에너지를 둘러싼 강대국 간의 분쟁이 비트코인 채굴 업계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석유 자원이 전세계의 정치적 충돌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며 "에너지 무역 감소 등의 영향으로 비트코인 채굴 업계가 다수의 에너지 부족 지역정부의 규제 및 압력에 직면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바이낸스US "자금 세탁 규제 관련 美 상원의원 정보 요청에 곧 답변할 것"]
크립토슬레이트에 따르면 다수 미국 상원의원이 바이낸스US에 자금 세탁 규제 세부 정보를 요청한 가운데, 바이낸스US 관계자가 "상원의원 요청에 곧 직접 답변할 것"이라고 밝혔다. 대변인은 "바이낸스US는 자금세탁방지법(AML)을 포함, 모든 규제를 준수하고 있으며, 충분한 준비금을 보유하고 있다. 아울러 고객 자금을 유용하지 않는다. 상원의원들은 서한을 통해 바이낸스 거래소가 의도적으로 규제를 회피하고, 범죄자의 자산 이체를 지원했다고 주장하며 이를 소명할 데이터를 제출할 것을 요청했다. 우리는 직접 이에 대해 답변할 준비가 돼 있다"고 밝혔다. 앞서 코인니스는 엘리자베스 워렌 등 다수의 미국 상원의원이 "바이낸스 거래소는 불법 금융 활동의 온상"이라고 비난했다고 전한 바 있다.
[서클 CEO "개발자 및 기업가, 미국서 블록체인 앱 구축 두려워 해"]
스테이블코인 USDC 발행사 서클 CEO 제레미 알레어(Jeremy Allaire)가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미국 개발자와 기업가들은 미국에서 블록체인 소프트웨어 앱을 구축하는 것을 점점 더 두려워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그는 "서클도 개발자 프로그램, 이벤트, 헤커톤 등 영역을 확장하고 있지만, 대부분은 미국 이외의 지역에서 진행하고 있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3대 선물 거래소 BTC 무기한 선물 롱숏 비율]
코인니스 마켓 모니터링에 따르면, 미결제 약정 규모 기준 세계 3대 암호화폐 마진 거래소 내 최근 24시간 BTC 무기한 선물 롱·숏 포지션 비율은 다음과 같다.
1. 바이낸스 (BTC-USDT, 시장 점유율 28.31%)
롱 47.31% | 숏 52.69%
2. 바이비트 (BTC-USDT, 시장 점유율 14.28%)
롱 47.86% | 숏 52.14%
3. 비트겟 (BTC-USDT, 시장 점유율 12.57%)
롱 49.42% | 숏 50.58%
[미국 내 암호화폐 관심도 가장 큰 주는 '네바다']
비인크립토가 크립토베팅(Cryptobetting.org) 데이터를 인용, 네바다가 미국 내 암호화폐에 대한 관심이 가장 큰 주라고 보도했다. 지역별 암호화폐 용어에 대한 검색 관심도를 분석한 결과, 네바다가 1위를 차지했으며 캘리포니아, 뉴욕, 뉴저지, 워싱턴이 그 뒤를 이었다. 미디어는 "네바다는 지난 2019년 미국 내 처음으로 블록체인 기술을 법적으로 인정하는 등 암호화폐 친화적인 정책을 펼치고 있다"고 설명했다.
[위메이드, 신규 디파이 서비스 '커런시' 티저 페이지 공개]
위메이드가 3일 탈중앙화금융(디파이) 서비스 '커런시(Kurrency)' 론칭을 앞두고 티저페이지를 공개한다고 밝혔다. 커런시는 부채담보부포지션을 통해 크립토달러를 발행하는 서비스다. 이용자들은 커런시에서 지원하는 가상자산을 담보로 맡기고 ‘위믹스 크립토 달러(WCD)’를 발행할 수 있다. WCD는 가격 변동을 최소화한 가상자산이다. 총 발행량보다 예치된 담보의 가치가 큰 과담보 대출방식으로 발행된다. 커런시는 이용자가 예치한 담보를 클레바(KLEVA) 프로토콜에서 운용해 자사 서비스 간 시너지와 함께 운용 수익에 따라 이용자의 수수료를 최소화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커런시는 이달 중 정식 론칭된다.
[업비트, FIL 입출금 일시 중단...월렛 시스템 점검]
업비트가 방금 전 공식 사이트를 통해 파일코인(FIL) 월렛 시스템 점검 작업 진행에 따라 FIL 입출금을 일시 중단한다고 공지했다.
[상위 100개 이더리움 고래 지갑, 24시간 WETH·MATIC 매집]
상위 100개 이더리움 고래 지갑이 지난 24시간 동안 가장 많이 구매한 토큰은 다음과 같다. 스테이블코인은 제외.
1. WETH $246,414
2. MATIC $82,524
3. YFI $40,503
4. WBTC $31,846
5. GALA $21,688
6. FTM $20,285
7. CVX $11,234
[분석 "특정 미스터리 펀드, 지난 8시간 3.12억 USDC 거래소로 입금"]
블록체인 데이터 분석 업체 룩온체인(Lookonchain)이 공식 채널을 통해 "지난 8시간동안 특정 암호화폐 펀드가 서클에서 3.12억 USDC를 인출해 거래소로 입금했다"고 분석했다. 이와 관련 룩온체인은 "약 14시간 전 코인베이스는 실버게이트를 통한 결제를 받지 않겠다고 선언했고, 13시간 전 해당 펀드는 서클에서 USDC를 인출해 거래소로 옮기기 시작했다. 이러한 활동은 약 5시간 전 멈췄으며, 해당 기간 ETH 현물 가격은 2% 올랐다. 오늘 실버게이트 리스크로 시작된 암호화폐 급락은 약 2.1억 달러 상당의 암호화폐 포지션을 청산시켰다. 암호화폐 가격 급락이 펀드와 관련이 있는지는 명확하지 않지만, 확실히 해당 펀드의 입출금 활동은 이상한 부분이 있다"고 설명했다.
[코인베이스 규제 대응 VP "상장 토큰 중 증권 없다"]
블록웍스에 따르면, 미국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의 글로벌 규제 정책 담당 VP 스콧 바게스(Scott Bauguess)가 2일(현지시간) 워싱턴D.C.에서 열린 디지털 자산 관련 심포지엄에 참석해 "코인베이스가 미국에서 제공하는 상품 중 증권에 해당하는 것은 없다고 확신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코인베이스에 상장된 토큰은 증권의 성격을 갖고 있지 않다. 설령 모든 토큰이 증권으로 간주되더라도 코인베이스는 규제를 준수하며 플랫폼 운영이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코인베이스, 접속 장애 복구 완료]
코인베이스가 공식 채널을 통해 "웹사이트 Coinbase.com에 접속 장애 문제를 해결했다. 현재 정상 이용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아이언뱅크, 알파호모라 대출 계정 동결... 악성부채 분쟁 이슈]
아이언뱅크(Iron Bank)가 공식 트위터를 통해 "악성부채 이슈로 인해 알파호모라(Alpha Homora) 프로토콜 대출 계정을 일시 동결했다. 다른 모든 프로토콜 및 IB 이용자는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전했다. 지난 2월 아이언뱅크는 알파호모라에 3일 내 담보 추가를 요청했고 알파호모라 측은 이에 대응하지 않았다. 이에 아이언뱅크는 3월 6일 8시(한국 기준)까지 대출금을 상환할 것을 요구했다.
[트레저다오, 스몰버스 NFT 게임 개발 스튜디오 '다크브라이트' 출시]
아비트럼 기반 블록체인 게임 플랫폼 트레저다오(MAGIC)가 공식 트위터를 통해 새로운 게임 스튜디오 '다크브라이트(Darkbright)'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다크브라이트는 아비트럼 기반 스몰버스(Smolverse) NFT 프로젝트 게임 개발을 담당한다.
[메티스 "옵티미스틱-영지식 결합 하이브리드 롤업 개발 중"]
이더리움(ETH) 레이어2 솔루션 메티스DAO(METIS)가 공식 블로그를 통해 "옵티미스틱 롤업(Optimistic Rollups)의우수한 확장성과 영지식 롤업(Zero-Knowledge Rollups)의 보안성 및 완결성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롤업을 개발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메티스 측은 "두 롤업 아키텍처의 결합은 트랜잭션 완결성을 확보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기존 7일에서 4시간까지 줄일 수 있다. 또 네트워크의 트랜잭션 처리량을 늘려 이더리움 블록체인에서 발생하는 병목 현상을 완화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METIS는 현재 6.29% 내린 30.28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코인베이스, 웹사이트 연결 문제 발생]
코인베이스가 공식 채널을 통해 웹사이트 Coinbase.com 연결에 문제가 발생했다고 밝혔다. 거래소는 "이로인해 웹 로그인이 어려워질 수 있으며, 로딩이 느려질 수 있다.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