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채굴자, 지난해 6월 이후 일 평균 수익 최고치...평균 약 2700만 달러]
로이터통신은 블록체인닷컴 데이터를 인용, 비트코인 채굴자의 30일 평균 채굴 수익이 하루 $2734만으로, 작년 6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라고 보도했다. 2022년 하반기 채굴 수익이 $1500만~$2100만이었던 걸 감안하면 상당 부분 회복된 셈이다. 하지만 2021년 11월에 기록한 $6120만 최고점에는 아직 미치지 못하고 있다. 비트코인 채굴 서비스 업체 룩소르의 애널리스트 자란 멜러드는 "작년 말 많은 채굴 상장사들이 파산 위기에 처했으나 현재는 이들의 현금 흐름이 상당히 개선됐다. 대금 지불 등 비용 문제는 해결됐을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마라톤 디지털 홀딩스의 부채자본비율(debt-to-equity ratio)은 올해 초 2에서 현재 0.5로 떨어졌고, 그리니지 제너레이션 홀딩스의 부채비율도 이 기간 11.7에서 5.8로 낮아졌다. 이에 힘입어 마라톤, 라이엇의 주가는 올 들어 3배 이상 올랐고, 발키리 비트코인 마이너 ETF, 그리니지는 각각 162%, 137% 올랐다. BTIG 애널리스트는 미국 전기료 하락으로 1 BTC를 생산하는 데 드는 전기료가 작년 말보다 40% 가량 저렴해졌다고 설명했다.
[스페이스ID, DAO 트레저리 구축...ID 바이백 및 소각 구현]
BNB체인 기반 도메인 서비스 제공업체 스페이스ID(ID)가 토큰 바이백 및 소각 메커니즘 구현을 위해 DAO 트레저리를 구축한다고 공식 블로그를 통해 발표했다. 스페이스ID 플랫폼에서 발생한 순수익의 50%는 ID 바이백 및 소각에 사용되며 나머지 50%는 스테이블코인으로 전환돼 모든 적격 ID 보유자가 관리하는 DAO 트레저리에 보관된다.
[코인원, QTUM 및 QI 입출금 일시 지연]
코인원이 퀀텀 계열(QTUM, QI) 지갑 안정화를 위한 입출금 일시 지연이 발생하고 있다고 공지했다.
[싱가포르 법원, 바벨파이낸스 모라토리엄 3개월 연장]
싱가포르 법원이 파산한 암호화폐 대출 플랫폼 바벨파이낸스의 모라토리엄(채무 이행 유예) 기간을 3개월 연장했다고 블룸버그가 전했다. 이에 따라 모라토리엄 만료 기한이 7월 21일(현지시간)로 변경됐다. 앞서 블룸버그는 바벨파이낸스가 '바벨 리커버리 코인'을 발행하는 새로운 디파이 프로젝트를 통해 채권자에 부채를 상환할 계획이라고 보도한 바 있다.
[中 증시 블록체인 테마주 상승 마감]
중국 증시 A주 블록체인 테마주가 상승 마감했다. 중국 선전거래소 블록체인 50지수는 전날 대비 0.25% 오른 3525.44 포인트를 기록했다. 블록체인 섹터는 0.6% 하락했고, 디지털화폐 섹터는 1.07% 하락 마감했다.
[美 SEC 위원장 4년전 "알고랜드, 훌륭한 기술" 발언 재조명]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비트렉스를 기소하면서 알고랜드( ALGO)를 증권으로 지목한 가운데, 4년 전 게리 겐슬러 SEC 위원장이 "ALGO는 훌륭한 기술"이라고 언급한 영상이 SNS에서 재조명되고 있다고 코인텔레그래프가 전했다. 해당 영상에서 겐슬러 위원장은 "알고랜드는 고성능 스마트 컨트랙트 네트워크를 우버나 리프트 등 애플리케이션에 통합할 수 있는 훌륭한 기술"이라고 밝혔다.
[업비트 4/25 ZIL 입출금 중단...네트워크 업그레이드]
업비트가 질리카(ZIL)의 네트워크 업그레이드로 인해 4월 25일 12시 입출금을 일시 중단한다고 공지했다.
[스트라티스, 영국 금융당국에 운영 허가 신청]
레이어1 블록체인 플랫폼 스트라티스(STRAX)가 트위터를 통해 "영국 파운드화 기반 스테이블코인 출시를 위해 영국 금융감독청(FCA)에 운영 허가를 신청했다"고 밝혔다.
[美 SEC, 권도형 '싱가포르 테라 법인' 열어본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미국 뉴욕 남부지방법원 제드 라코프 판사가 공판에서 권도형 측이 신청한 싱가포르 금융당국의 테라폼랩스 관련 자료 비열람 요청을 기각했다고 머니투데이가 전했다. 이에 따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싱가포르 테라폼랩스 자료를 확보할 수 있게 됐다. 다만 SEC가 싱가포르에서 확보하려는 문서가 어떤 것인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외신 "디지털 홍콩달러, 허가형 블록체인 상에서 발행 가능성"]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디지털 홍콩달러(e-HKD)가 허가형 블록체인 상에 발행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홍콩 소재 은행 관계자는 이에 대해 "디지털 위안화와 달리 홍콩 디지털 화폐는 중앙 정부의 지시를 받지 않고 있다. 규제 당국이 원장의 성격을 홍콩은행이 결정하도록 지시했다"고 전했다.
[영국 재무부장관 "12개월 내 암호화폐 규제 법안 도입"]
영국 재무부장관 앤드류 그리피스(Andrew Griffith)가 CNBC 인터뷰에서 "12개월 내 암호화폐 산업 규제 법안이 도입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영국의 규제 방식은 기존 규제와 새로운 규제를 결합한 형태가 될 것"이라며 "가능한 한 동일한 자산에 동일한 규제가 적용되길 원한다"고 설명했다. 앞서 존 컨리프(Jon Cunliffe) 영란은행 부총재도 "올해 말 스테이블코인 관련 새로운 규정에 대해 협의를 진행할 계획"이라며 "스테이블코인을 시중 은행 자금(Commercial Bank Money)처럼 규제하는 방안 등이 포함된다"고 밝힌 바 있다.
[비트파이넥스 "BTC 거래량 감소에도 온체인 지표 낙관"]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파이넥스 팀이 최근 '비트파이넥스 알파'(Bitfinex Alpha) 보고서를 통해 "지난 14일(현지시간) 주요 거래소의 암호화폐 현물 거래량이 164억달러로 전월 동기 대비 4분의 1토막 났으며 BTC 선물 및 옵션 거래량도 현저히 감소했다. 이는 BTC가 3만달러를 돌파하면서 일부 트레이더가 수익 실현 또는 포지션 헷지 등을 했기 때문으로 파악된다. 하지만 거래량 감소에도 불구, 장기 온체인 지표는 여전히 낙관적이다. BTC 일일 활성 주소 수, 보유 주소 수 등의 증가세는 BTC가 가치저장수단 및 결제수단으로 자리잡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분석했다.
[개구리 밈코인 PEPE 홀더 수, 출시 이틀 만에 1만명 돌파]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일요일(현지시간) 새롭게 출시된 페페 더 프로그(Pepe the Frog) 밈코인 PEPE가 지난 3일 동안 21000% 이상 상승했다. 유니스왑 거래량은 $3000만에 이른다. PEPE 웹사이트는 "개들의(도지 등 강아지 밈코인) 시대는 가고 이제 페페의 시대가 왔다"고 소개했다. 이더스캔 데이터에 따르면 PEPE 개인 홀더 수는 화요일(현지시간) 1만명을 돌파했다. PEPE 유통량은 420조개로, 미국 히피 문화에서 유래한 대마초의 날 4월 20일에서 착안했다. 단, PEPE는 페페 밈 최초 제작자인 맷 퓨리와는 아무런 관련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바이낸스랩스 MVB 파이널리스트 12개팀 발표]
바이낸스랩스는 가장 가치있는 빌더(MVB) 프로그램 파이널리스트 프로젝트 12개 팀을 발표했다. MVB는 BNB체인 생태계 성장에 초점을 맞춘 액셀러레이터 프로그램이다. MVB 액셀러레이터 프로그램 시즌 6는 4월 17일에 공식적으로 시작됐다. 다음은 파이널리스트 프로젝트.
디파이: Kinza, Hinkal Protocol, KiloEx, Cashmere Labs, EthosX
인프라: AltLayer, ZKCross
애플리케이션 레이어: HIM, Sparkle.xyz, Masa Finance, Slise, xBank
[코인베이스 CEO "영국, 웹3 경제 허브 전망... 현지 사업 확대 계획"]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브라이언 암스트롱 코인베이스 CEO가 블로그를 통해 코인베이스가 영국과 유럽에서의 사업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강조하면서 "영국이 웹3 경제 허브가 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18일(현지시간) 런던 핀테크 컨퍼런스에 참석해 '영국이 웹3 허브로서의 입지를 강화할 수 있는 9가지 방법'에 대해 연설할 계획이다. 이는 우리가 영국 사업을 얼마나 중시하고 있는지를 보여준다"고 전했다.
[대시 커뮤니티, SEC DASH 증권 분류에 반박... "합리적인 이유 없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비트렉스를 기소하면서 DASH, ALGO, OMG, TKN, NGC, IHT를 증권으로 지목한 가운데, 대시(DASH) 커뮤니티가 이에 대해 반박하고 나섰다. 대시 커뮤니티는 18일(현지시간) "SEC가 DASH를 증권이라고 분류한 것에 대한 합리적인 해석이 없다"며 "대시는 개인 정보 보호에 중점을 둔 지불 기술이다. 채굴자가 채굴에 대한 대가를 받고, 마스터노드가 노드 운영에 대한 대가를 받지만, DASH를 보유하고 있는 것 만으로 대가를 받는 투자자는 없다"고 강조했다.
[메타마스크 인스티튜셔널, 연평균 매출 성장률 26% 전망]
메타마스크가 공식 블로그를 통해 메타마스크 기관 버전 MMI(MetaMask Institutional)의 1분기 성과를 발표하면서 "MMI의 8주 사용자 유지율이 65%를 넘었다. 연평균 매출 성장률은 25.87%로 예상된다. 2분기에는 MMI의 개선과 관련 중요한 발표가 있을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스타크웨어, 확장성 엔진 StarkEx V5.0 출시]
zk 롤업 기반 이더리움 레이어2 네트워크 스타크넷(STRK) 개발사 스타크웨어(StarkWare)가 자체 확장성 엔진 StarkEx V5.0을 출시했다고 공식 미디움을 통해 밝혔다. 해당 버전은 암호화폐 현물 거래, ERC-1155 및 ERC-20 토큰 발행을 지원한다.
[팍스풀 CEO 사임]
P2P 암호화폐 거래소 팍스풀(Paxful)의 레이 유세프(Ray Youssef) CEO가 CEO직을 사임했다고 트위터를 통해 밝혔다. 앞서 그는 "모든 상황을 설명할 수 없지만 일부 주요 직원들이 회사를 떠났고 P2P 시장에 대한 미국의 규제 관련 문제가 있다"며 거래소 운영을 중단한 바 있다. 현재 그는 탈중앙화 P2P 비트코인 거래 애플리케이션 '시빌리제이션 키트(Civ Kit)' 출시를 준비하고 있다.
[바이낸스 ACH/TRY, XVS/TRY 거래 페어 추가]
바이낸스는 4월 19일 17시 ACH/TRY, XVS/TRY 거래 페어를 추가한다고 공지했다.
[비트겟, 알케미페이 온램프 솔루션 도입]
알케미페이는 비트겟 거래소가 알케미페이 온램프 솔루션을 도입했다고 밝혔다. 비트겟 사용자는 현지 법정화폐를 사용해 암호화폐를 더 쉽게 매수할 수 있게 됐다. 알케미페이의 페이먼트 램프는 173개국에서 비자, 마스터카드, 디스커버, 다이너스 클럽 등 여러 법정화폐 모바일 지갑을 통한 결제를 지원한다.
[문버드, 리워드 토큰 TALONS 출시 예정]
NFT 프로젝트 문버드가 리워드 토큰 TALONS를 출시할 예정이라고 트위터 실시간 방송(스페이스)을 통해 밝혔다. 문버드 NFT 보유자는 매일 TALONS을 적립할 수 있으며 독점 상품 등 일부 서비스에 이를 활용할 수 있다.
[분석 "DWF랩스, 바이낸스로 2000 ID 입금"]
온체인 분석가 비트코인엠버가 트위터를 통해 "스페이스ID(ID) 제네시스 주소가 지난 3월 30일부터 4월 1일 사이 바이낸스에서 2000만 ID를 출금했다. 그리고 약 9시간 전 DWF 랩스가 2000만 ID를 바이낸스로 입금했다. DWF랩스는 ID 가격이 상승하기 시작한 지난 4월 14일 바이낸스에서 740만 ID를 인출한 후, 이틀에 걸쳐 이를 다시 바이낸스로 이체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비트코인 엠버는 ID 가격 상승을 스페이스ID 프로젝트 측과 DWF랩스가 주도했을 가능성을 점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