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토큰포스트 브리핑] 틱톡, 잘못된 '암호화폐 투자 정보' 전달...30% 이상 해당 外

프로필
토큰포스트 기자
댓글 14
좋아요 비화설화 0
 사진 = shutterstock

사진 = shutterstock

[틱톡, 잘못된 '암호화폐 투자 정보' 전달...30% 이상 해당]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가 "글로벌 숏폼 동영상 플랫폼 틱톡에 업로드된 암호화폐 투자 관련 영상 중 30% 이상이 오해의 소지가 있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고 22일 보도했다. 이와 관련 미디어는 "현재 틱톡 플랫폼에 암호화폐 관련 해시태그를 포함한 동영상은 60억 회 이상의 누적 조회수를 기록하고 있다. 하지만 일부 인플루언서들은 암호화폐 투자 관련 검증되지 않은 허위 정보를 공유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투자 손실을 초래하기도 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최근 댑갬블이 1,161개 이상의 암호화폐 관련 틱톡 동영상을 분석한 결과, 영상 중 1/3에서 잘못된 정보를 전달하고 있는 것을 발견했고 1/10 만이 암호화폐 투자 위험에 대해 경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업로드된 영상 중 47%는 크리에이터가 광고료를 받고 서비스를 홍보해주는 콘텐츠였다"고 설명했다.

[테더 점유율 63%...2년래 최고]

블록웍스 리서치 데이터에 따르면 테더 시장 점유율은 63%로, 2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USDT 시가총액은 목요일 $815억을 기록해 2022년 5월 테라 붕괴 이후 최대치에 달했다.

[비트코인 채굴업체 스페어 3D, $300만 사모 펀딩 완료]

외신에 따르면 비트코인 채굴업체 스페어 3D(Sphere 3D)는 $300만 사모 펀딩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LDA 캐피탈이 투자에 참여했다. 조달한 자금은 채굴자 인센티브 제공을 위해 사용된다.

[아비트럼 원 누적 트랜잭션 수 100만건 돌파]

듄애널리틱스에 따르면 이더리움 레이어2 네트워크 아비트럼 원 누적 트랜잭션 수가 100만건을 넘어섰다. 아비트럼 원에 예치된 ETH는 242만 6341개로 집계됐다.

[팍스풀 전 CEO "개인 지분 99.9% 공공 신탁에 맡길 예정...사용자 자금 회수 돕는다"]

앞서 미국 규제 영향으로 운영을 중단한 P2P 암호화폐 거래소 팍스풀의 전 CEO 레이 유세프가 "동결된 사용자 자금의 88%가 동결 해제돼 고객 자금의 약 3.3%만이 팍스풀 지갑에 남아있는 상황이다. 나머지 계정의 동결을 해제하기 위해 나는 회사 지분의 45% 이상을 차지하는 팍스풀 개인 지분 99.9%를 공공 신탁에 맡길 계획이다. 남는 자금은 학교를 짓기 위해 빌트 위드 비트코인 재단(Built With Bitcoin Foundation)에 전달할 예정이다. 나는 이 신탁에서 1사토시도 받지 않을 것이다. 최소 2년 동안 팍스풀 지갑을 유지해 모든 동결 자금을 해제, 사용자가 자금을 회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내 목표"라고 미디움을 통해 밝혔다.

[코인베이스 CEO, 의회에 암호화폐 규제 개입 촉구]

브라이언 암스트롱 코인베이스 CEO는 새벽 "오늘(현지시간) SEC(증권거래위원회)와 만났다. 우리는 명확한 암호화폐 규제안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다. 미국은 금융 시스템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이 중요한 기술에서 뒤처져서는 안 된다. 명확한 규칙이 마련되기 전에 집행을 해선 안된다. 이 시점에서는 의회가 개입해야 할 것 같다"고 트윗했다.

[윌리 우 "스위스 프라이빗 뱅킹 그룹, 7/1 첫 암호화폐 펀드 출시"]

암호화폐 온체인 애널리스트 윌리 우는 "7월 1일 $230억 자산을 관리하는 스위스 프라이빗 뱅킹 그룹 Syz가 첫 암호화폐 펀드를 출시한다. Syz는 스위스 고액자산가에게 당시 25% 이상 수익률을 기록하던 월가 헤지펀드에 접근할 수 있도록 최초 지원한 기관으로 유명하다. 이제 그들은 암호화폐 업계에서도 동일한 기회를 보고 있다. 나는 Syz와 협업하게 되어 기쁘다"고 트윗했다.

[트러스트 월렛 확장 프로그램 사용자 중 작년 11월 지갑 생성자 리스크 노출]

블록체인 보안업체 슬로우미스트 설립자 Cos(余弦)는 "트러스트 월렛 브라우저 확장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2022년 11월 14일~23일 지갑을 만들었다면 해당 지갑은 위험에 노출돼 있다. 당시 트러스트 월렛 브라우저 확장 프로그램에서 사용한 MT19937 난수 생성기가 충분한 무작위성을 제공하지 않아 개인 키 암호가 해제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전했다. 앞서 트러스트 월렛은 관련 취약점 공지를 한 상태이고, 현재 해당 이슈는 해결됐다.

[룩스레어 모바일 앱 베타 테스트 중]

NFT 마켓플레이스 룩스레어는 앱 베타 테스트 중이라고 전했다. 현재 베타 테스터를 모집 중이다. 곧 iOS, 안드로이드 앱을 출시할 예정이다.

[제미니 암호화폐 파생상품 거래소 출범...미국인 이용 불가]

제미니는 미국 사용자는 이용 불가한 암호화폐 파생상품 거래소 제미니 파운데이션(Gemini Foundation) 출범을 발표했다. 첫 지원 상품은 BTC/GUSD 무기한 선물이다. 곧 ETH/GUSD 무기한 선물 거래도 지원할 계획이다. 한국, 싱가포르, 홍콩, 인도, 아르헨티나, 베트남 등 여러 국가 고객이 이용할 수 있다. 기본 레버리지는 20배이고, 최대 레버리지는 100배다.

[바이낸스 CEO "특정 그룹, 내가 팔로우한 계정 사서 밈코인 발행 시도"]

자오창펑 바이낸스 최고경영자(CEO)가 방금 전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내 개인 계정이 트위터 상에서 팔로우하고 있는 계정을 사서 밈코인을 발행하려는 그룹이 있는 것 같다. 나는 이들을 언팔로우하고 차단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이러한 밈코인을 멀리하고 리스크를 인지하고 있어야 한다"고 경고했다.

[룩스레어 모바일 앱 베타 테스트 중]

NFT 마켓플레이스 룩스레어는 앱 베타 테스트 중이라고 전했다. 현재 베타 테스터를 모집 중이다. 곧 iOS, 안드로이드 앱을 출시할 예정이다.

[도지코인 재단 이사회 멤버 "DOGE, 비트코인 포크 코인...증권 아냐"]

유투데이에 따르면, 암호화폐 결제 솔루션 메탈페이의 최고경영자(CEO)이자 도지코인(DOGE) 재단 이사회 멤버인 마샬 헤이너(Marshall Hayner)가 최근 한 인터뷰에서 "DOGE는 비트코인의 포크로 탄생한 코인으로, 비트코인을 증권으로 분류할 수 없다면 도지코인도 증권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증권이란 미래의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금융 자산으로, 배후에는 중앙화된 주체가 존재한다. 도지코인이 처음 등장했을 때 사람들은 그저 장난이나 '밈'으로 치부했으며, 중앙화된 통제 기관도 없었다. 또 도지코인 창시자인 잭슨 팔머와 빌리 마커스는 자신들의 부를 축적하기 위해 프로젝트를 이용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밈'으로 시작했던 덕분에 도지코인은 특유의 탈중앙화 구조를 갖출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미 국세청, 싱가포르 등 4개국에 수사관 파견 예정...암호화폐 범죄 대응]

테크크런치에 따르면, 미국 국세청(IRS)이 올 여름 암호화폐, 탈중앙화 금융(DeFi, 디파이), 암호화폐 자금 세탁 관련 사이버 범죄에 대응하기 위해 호주, 싱가포르, 콜롬비아, 독일 등 국가에 사이버 범죄 전문 수사관 4명을 파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 IRS는 "현재 해외에 파견된 수사관은 네덜란드에서 활동 중인 한 명이 유일했으며, 해당 인원도 2021년부터 유로폴과 함께 활동했다. 올 여름부터 콜롬비아 보고타, 독일 프랑크푸르트, 싱가포르, 호주 시드니에 IRS 범죄수사국 산하 사이버 범죄 전담 부서를 설치해 암호화폐 관련 범죄에 대응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전 SEC 위원장 "이더리움 증권 분류 여부, 상황에 따라 달라"]

유투데이에 따르면, 전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위원장 제이 클레이튼(Jay Clayton)이 최근 CNBC와의 인터뷰에서 "이더리움(ETH)은 브로드웨이 공연 티켓에 비유할 수 있다. 만약 티켓 판매 수익에 대한 약속과 함께 공연 제작에 투자한 초기 투자자들에게 이는 증권으로 간주될 수 있다. 하지만 공연이 흥행에 성공하고 티켓이 매표소에서 판매되기 시작하면 이는 증권이 아니라 그냥 '티켓'일 뿐"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그는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이더리움은 자금 조달을 위한 수단이라기 보다 '티켓'의 성격이 더 강해 보인다. 다만, 이더리움의 증권 분류 여부 관련 모든 상황을 다 이해하고 있는 것은 아니라 뭐라고 단정짓긴 어렵다"고 설명했다. 또 그는 "상당 수의 암호화폐가 증권의 범주에 속할 수 있다는 게리 겐슬러 SEC 위원장의 주장에는 동의한다. 이 문제를 법원에 의존하는 지금의 방식은 비효율적"이라고 설명했다.

[블러 개발자 "NFT 입찰 관련 버그 복구 완료, 손해액 2배 금액 배상"]

NFT 마켓플레이스 블러(BLUR) 개발자 '팩맨'(Pacman)이 공식 트위터를 통해 "한국시간 기준 22일 13시 기준 지난 80시간 동안 이미 사용자가 취소한 일부 NFT 입찰이 체결되는 메시지 처리 버그를 발견했다. 블러 팀은 이에 대한 복구를 완료한 상태로, 일시적으로 비활성화했던 입찰 수락 기능을 한국시간 22일 16시 5분부터 재활성화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또 그는 "이번 버그 복구 과정에서 문제가 다시 발생하지 않도록 두 번의 안전 점검을 추가로 실시했다. 버그가 발생한 기간 약 36 건의 입찰이 체결됐으며, 영향을 받은 사용자에게는 주문 체결에 의해 발생한 손해의 2배를 배상할 예정이다. 예를 들어 최고 입찰가보다 1 ETH 높은 가격에 NFT를 낙찰 받았다면, 2 ETH를 환불받게 된다"고 설명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BLUR는 현재 4.54% 내린 0.5959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외신 "틱톡 암호화폐 투자 관련 영상 중 30% 이상, 미검증 내용 포함"]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가 "글로벌 숏폼 동영상 플랫폼 틱톡에 업로드된 암호화폐 투자 관련 영상 중 30% 이상이 오해의 소지가 있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고 22일 보도했다. 이와 관련 미디어는 "현재 틱톡 플랫폼에 암호화폐 관련 해시태그를 포함한 동영상은 60억 회 이상의 누적 조회수를 기록하고 있다. 하지만 일부 인플루언서들은 암호화폐 투자 관련 검증되지 않은 허위 정보를 공유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투자 손실을 초래하기도 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최근 댑갬블이 1,161개 이상의 암호화폐 관련 틱톡 동영상을 분석한 결과, 영상 중 1/3에서 잘못된 정보를 전달하고 있는 것을 발견했고 1/10 만이 암호화폐 투자 위험에 대해 경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업로드된 영상 중 47%는 크리에이터가 광고료를 받고 서비스를 홍보해주는 콘텐츠였다"고 설명했다.

[카르다노 "재단 자산 BTC 및 ADA로 보유, 업계 리스크 직접 영향 없어"]

레이어1 블록체인 프로젝트 카르다노(ADA, 에이다) 재단이 최근 발표한 2022년 연례 보고서를 통해 "재단은 보유 자산을 주로 ADA 및 BTC로 콜드 스토리지에 보관하고 있으며, 일부는 스위스 암호화폐 커스터디 업체 및 은행에 예치하고 있다. 따라서 지난해 업계 전반에 발생했던 사건 사고의 리스크 관련 직접적인 영향은 받지 않았다"고 밝혔다. 재단은 1,900만 달러 상당의 BTC, 1.66억 달러 상당의 ADA를 보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어 재단은 "재단은 항상 보수적인 접근 방식으로 재무를 관리한다. 특히 약세장에서 재단은 충분한 자원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한다. 우리는 상당한 유동성을 보유하고 있으며, 차질없이 자금을 운용하고 있다. 재단에 대한 회계 감사는 그랜트 손튼에 의뢰했으며, 오는 5월 2022년 데이터에 대한 감사가 완료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빗썸, 4/22 BNB 입출금 일시중단...네트워크 이슈]

코인원이 바이낸스코인(BNB) 네트워크 네트워크이슈로 22일 BNB 입출금을 일시 중단한다고 공지했다.

[애널리스트 "다음주 중으로 EIP-4844 다섯 번째 개발 테스트넷 시작예정"]

갤럭시디지털 애널리스트 크리스틴 킴(Christine Kim)이 최근 열린 제7회 개발자 합의 회의 결과를 정리, 이더리움(ETH) 코어 개발자 팀 베이코(Tim Beiko)가 "다음주 중으로 EIP-4844의 다섯 번째 개발 테스트넷이 시작될 것"이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또한 "합의 회의에서 개발자들은 데네브(Deneb) 업그레이드에 EIP-4788을 포함할 것을 제안했으며, EIP-6914와 관련하여 개발자들은 코드 변경에 대한 세부 사항을 마무리하고 데네브 하드포크 이후로 구현을 미루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권도형 "美 SEC의 증권 사기 혐의 소송에 근거 없어...기각 요청"]

블룸버그에 따르면 권도형(도권) 테라폼랩스 대표의 변호사측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제기한 증권 사기 혐의 소송은 근거가 없다. 이번에 문제가 된 스테이블코인은 증권이 아닌 통화이기 때문"이라고 입장을 밝혔다. 그러면서 "이번 사건에 연방 증권법을 사용하는 것을 금지해야 한다"며 판사에게 "소송을 기각해달라"고 요청했다.

[보안업체 "결제 솔루션 업체 메탈리커스 디스코드 해킹...피싱 주의"]

블록체인 보안 감사 전문 업체 써틱(CertiK)이 트위터를 통해 "결제 솔루션 업체 메탈리커스(Metallicus)의 디스코드 서버가 해킹됐다. 팀에서 서버가 복구됐다고 확인하기 전까지 어떤 링크도 클릭해선 안된다"고 경고했다.

[실리콘밸리은행 CEO·CFO 사임]

블룸버그에 따르면 파산한 미국 크립토 친화적 은행 실리콘밸리은행(SVB)의 CEO와 CFO가 사임했다. SVB는 "CEO 그레고리 베커(Gregory Becker) 와 CFO 다니엘 베크(Daniel Beck)가 이번 주에 사임했다"고 전했다. 베커는 "필요에 따라 회사에 무료 컨설턴트로 활동할 것"이라고 입장을 밝혔다.

[데이터 "유니스왑 거래량 사상 최대치...이전 고점보다 66%이상 증가"]

디크립트가 듄애널리틱스 데이터를 인용, 탈중앙화 암호화폐 거래소 유니스왑의 거래량이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고 전했다. 유니스왑의 연구원 오스틴 아담스는 트위터를 통해 "거래소 거래량이 이전 최대치보다 66% 이상 증가했다"고 밝혔다. 연구원은 유니스왑의 거래가 급증한 이유로 '밈 코인 열풍'을 꼽았다. 그는 "최근 밈 코인이 인기를 끌고 있으며, 특히 이번 주 출시된 페페(PEPE)가 가장 큰 요인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인테그레이티드벤처스, 올해 1분기 63.85BTC 채굴]

피알뉴스와이어에 따르면 미국 채굴기업 인테그레이티드벤처스가 올해 1분기 63.85BTC를 채굴한 것으로 나타났다. 매달 약 21개의 BTC를 채굴했으며, 1분기 총 채굴 수익은 147.2만달러를 기록했다.

[마이엘리스팅, 코인베이스 커머스와 통합...암호화폐로 부동산 매매 지원]

피알뉴스와이어에 따르면 부동산 데이터 플랫폼 마이엘리스팅(MyEListing)이 코인베이스 커머스와 통합해 사용자는 암호화폐로 미국 주거 및 상업용 부동산을 사고 팔 수 있도록 지원한다. 마이엘리스팅닷컴이 마켓플레이스를 호스팅하고, 코인베이스 커머스가 구매자의 암호화폐를 판매자를 위한 현금으로 전환한다.

[서스퀘하나 등 투자사 4곳, OPNX투자 의혹 즉각 부인]

더블록에 따르면 파산한 암호화폐 헤지펀드 쓰리애로우캐피탈(3AC)의 공동 창업자들이 창업해 논란이 되고 있는 암호화폐 거래소 OPNX가 투자자 라인업을 공개한 것과 관련해, 투자를 진행했다고 언급된 관계사들이 이를 부인하고 나섰다. 외신에 따르면 DRW, Nascent, MIAX Group, Susquehanna(SIG)는 모두 인터뷰를 통해 "OPNX에 투자한 사실이 없다"며 앞선 보도를 즉각 부인했다.

[아바랩스 CEO "암호화폐, 어떤 규제 단속에도 무너지지 않을 것"]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에민 귄 시러(Emin Gün Sirer) 아바랩스(아발란체 개발사) 창업자가 21일(현지시간) 뉴욕 루즈벨트 아일랜드에서 개최된 코넬 블록체인 컨퍼런스에서 "어떤 강력한 규제 단속도 암호화폐를 무너뜨리진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그는 "규제당국이 암호화폐를 완전히 금지한다고 하더라도, Z세대는 여전히 디지털 기술을 우선시하며 암호화폐 기술이 사라지는 것을 허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그는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 산업은 규제당국이 코드를 분석하고 감사할 수 있는 날이 오기 전까지 성숙했다고 볼 수 없다"며 "아직 규제당국은 그 단계까지 올라오지 못했다. 암호화폐가 10억 명의 사용자를 수용할 수 있으려면, 확장성, 사용 편의성 등 아직 개선해야 할 부분이 많다. 영지식 증명 기술이 떠오르고 있지만, 아직 확장성 측면에서 검증을 거쳐할 부분이 존재한다"고 부연했다.

[외신 "이더리움, 상하이 업그레이드 후 기관 스테이킹 유입 증가"]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가 "4월 12일(현지시간) 상하이 업그레이드 이후 기관 투자자들의 이더리움(ETH) 스테이킹 자금 유입이 뚜렷하게 증가했다"고 22일 보도했다. 이와 관련 이더리움 인프라 개발사 컨센시스 소속 애널리스트 미하엘 밀라노비치(Michiel Milanovic)는 "4월 이더리움 스테이킹 서비스 제공 업체로 유입된 기관 자금은 지난달 대비 약 3배 증가했다. 유입 자금의 약 80%는 상하이 업그레이드 활성화 이후 집중 유입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지난 1시간 0.74억 달러 규모 선물 포지션 강제 청산]

주요 거래소에서 지난 1시간 0.74억 달러 규모의 선물 포지션이 강제 청산됐다.

24시간 기준으로는 1.88억 달러 규모의 선물 포지션이 강제 청산됐다.

[리서치 "이더리움 스테이킹 보상 중 약 80% 출금 완료"]

비트코이니스트에 따르면, 암호화폐 전문 리서치기관 K33리서치가 최근 발표한 보고서를 통해 "상하이 업그레이드가 적용된 이후 이더리움(ETH) 네트워크에 쌓여있던 스테이킹 보상 물량 중 약 80%가 출금 완료됐다"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샤펠라(상하이+카펠라) 하드포크가 적용된 이후 약 150만 ETH(약 28억 달러)가 언스테이킹(인출)됐다. 그중 검증자 노드 자격을 위해 스테이킹한 32 ETH와 스테이킹 보상 모두를 출금하는 '전체 출금' 물량은 약 462,468 ETH로, 총 언스테이킹 물량 중 약 1/3을 차지했다. 나머지 2/3는 스테이킹 보상만을 출금하는 '부분 출금' 물량이었다. 상하이 적용 전 네트워크에 누적된 ETH 스테이킹 보상 물량의 약 80%는 이미 회수가 완료된 것으로 보인다. 언스테이킹 활성화에 따른 ETH 매도 압력은 거의 소진됐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email protected]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관련된 다른 기사

주요 기사

[KBW2025]

[KBW2025] "AI는 신뢰가 핵심"…블록체인 해법에 시선 집중

[KBW2025]

[KBW2025] "기관 첫 발 뗐다"...아메리칸 비트코인 , 채굴·DAT 결합 전략 구사

댓글

댓글

14

추천

0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14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남이대장군

2023.04.25 10:23:13

난안해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엠마코스모스

2023.04.24 16:13:23

정보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cryptoworld

2023.04.24 15:31:33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블루레인

2023.04.24 12:37:01

잘봤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금동보안관

2023.04.24 12:25:10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der4827

2023.04.24 12:23:23

좋은 정보 잘보고갑니다.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khsp8001

2023.04.24 12:20:03

서베이 이 사이트, 앱 저럼 내려가는 거 처럼 처리 해 주세요. ^^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StarB

2023.04.24 12:18:41

ㄱㅅ

답글달기

1

0
0

이전 답글 더보기

oH옹이

2023.04.24 11:08:47

빠른 기사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FADO

2023.04.24 11:08:14

오늘도 좋은 뉴스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2